2014년 6월 21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55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55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6월27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장소후원 :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

은본기 30


3-030.
(원문)
帝紂資辨捷疾, 聞見甚敏 ; 材力過人, 手格猛獸 ; 知足以距諫, 言足以飾非 ; 矜人臣以能, 高天下以聲, 以爲皆出己之下。 好酒淫樂, 嬖於婦人。 愛妲己, 妲己之言是從。 於是使師涓作新淫聲, 北里之舞, 靡靡之樂。 厚賦稅以實鹿臺之錢, 而盈鉅橋之粟。 益收狗馬奇物, 充仞宮室。 益廣沙丘苑臺, 多取野獸蜚鳥置其中。 慢於鬼神。 大冣樂戱於沙丘, 以酒爲池, 縣肉爲林, 使男女倮相逐其閒, 爲長夜之飮。

(음역)
제주자변첩질, 문견심민 ; 재력과인, 수격맹수 ; 지족이거간, 언족이식비 ; 긍인신이능, 고천하이성, 이위개출기지하。 호주음악, 폐어부인。 애달기, 달기지언시종。 어시사사연작신음성, 북리지무, 미미지악。 후부세이실녹대지전, 이영거교지속。 익수구마기물, 충인궁실。 익광사구원대, 다취야수비조치기중。 만어귀신。 대취악희어사구, 이주위지, 현육위임, 사남녀나상축기간, 위장야지음。

(주석)
1. 자(資)-천부적.
2. 변(辨)-말 잘할 변(辯) 과 동일.
3. 첩질(捷疾)-민첩, 신속.
4. 격(格)-때려죽이다.
5. 거(距)-거부하다 거(拒)와 동일.
6. 식비(飾非)-자신의 나쁜 점을 감쌈.
7. 긍(矜)-뻐기다, 으스대다.
8. 출기지하(出己之下)-자신과 비교할 수 없다.
9. 음(淫)-탐할, 심할, 미혹할.
10. 폐(嬖)-총애하다.
11. 달기(妲己)-유소씨(有蘇氏)의 미녀이고 노래와 춤에 뛰어났다. 하나라의 말희(妺喜), 상나라의 달기(妲己), 주나라의 포사(褒姒), 춘추시대의 여희(驪姬)를 4대 경국지색(傾國之色)으로 일컫는다.
12. 사연(師涓)-이름은 연(延)이고 사는 악사(樂師)의 의미이며, 달리 사연(師延)이라 일컫는 음악가이다. 춘추시기 위(衛)나라의 유명한 음악가이고, 민간 음악의 수집과 거문고 연주 및 대량의 신곡을 작성하였다.
13. 음성(淫聲)-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고대에는 아악(雅樂)을 정성(正聲)이라하고 속악(俗樂)을 음성이라고 하였다. 둘째, 음란하고 사악한 음악을 가리키기도 한다.
14. 북리지무(北里之舞)-일종의 궁중 무도이고, 춤추는 사람은 나체로 온 몸에 술을 뿌리며 자유분방한 형식으로 춤추는 방식을 가리킨다.
15. 미미지악(靡靡之樂)-부드럽고 약하며 의기소침한 모양의 음악을 가리킨다.
16. 부세(賦稅)-전부(田賦)와 기타 세수(稅收)의 총칭이다. 점차 인구수에 따라서 군역 및 군수품을 징수하는 것을 부라고 하고, 토지 및 공상 경영에 따라서 재물을 징수하는 것을 세라고 일컬었다.
17. 녹대(鹿臺)-상나라 조가(朝歌) 성안의 높은 돈대이고, 크기는 3리(里)이며 높이는 1천 척(尺)이다. 위주현(衛州縣) 서남쪽에 있다.
18. 거교(鉅橋)-창고 이름이다. 달리 거록수(鉅鹿水)의 커다란 다리를 가리킨다.
19. 인(仞)-가득 찰 인(牣)과 동일.
20. 사구(沙丘)-고대의 지명으로 현재의 하북성(河北省) 광종현(廣宗縣)이다.
21. 원(苑)-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실 정원으로, 하북성 광종현에 유적이 남아있다.
22. 대(臺)-누대.
23. 비조(蜚鳥)-날 비(飛)와 동일, 나는 새.
24. 만(慢)-오만불손.
25. 취(冣)-모일 취(聚)와 동일.
26. 현(縣)-매달다 현(懸)과 동일.
27. 나(倮)-알몸, 벌거숭이 나(裸)와 동일.
28. 장야(長夜)-밤새도록.

(국역)
주왕은 천부적으로 말을 잘하고, 행동이 민첩하며, 듣고 본 지식이 뛰어났고, 힘이 보통사람보다 강하여 맨손으로 맹수를 때려 죽였으며, 지혜는 신하의 충고하는 말을 거절하기에 충분하고, 말재주는 자신의 나쁜 점을 감싸기에 충분하였으며, 자신의 재능으로써 신하들에게 으스대고, 자신의 명성으로써 천하에 드높였으며, 다른 사람은 모두 자신의 아래에 있어서 비교할 수 없다고 여겼다. 그는 술 마시기를 좋아하고 음악에 미혹되었으며 여성을 매우 좋아하였다. 달기를 총애하여 달기의 말은 모두 따랐다. 그래서 연이라는 악사에게 새로운 속악(또는 음란하고 사악한 곡)을 작곡하게 하고, 나체로 춤추며 온 몸에 술을 뿌리며 자유분방한 형식으로 춤추는 북리라는 춤을 추게 하였으며, 부드럽고 약하며 의기소침한 형식의 음악을 연주하였다. 세금을 증가시켜서 성안의 높은 돈대인 록대에 돈을 가득 채우고, 그리고 거교라는 창고에 곡식을 가득 채웠다. 게다가 개와 말과 기이한 물건을 거둬들여서 궁실을 가득하게 채웠다. 또 사구에 있는 왕실 정원과 누대를 확장하고, 야생동물과 나는 새들을 대량으로 잡아서 그 안에 두고 길렀다. 귀신 섬기는 일에도 오만불손하였다. 사구에서 대규모로 모여서 각종 음악과 유희를 즐겼는데, 술로써 연못을 만들고 고기를 매달아서 숲처럼 만들었으며, 남자와 여자로 하여금 벌거벗게 하고 그 사이에서 서로 잡으러 쫓아다니게 하면서 밤새도록 술을 마셨다.

(참고)
주지육림(酒池肉林)-고사성어이다. 원래는 상(商)나라의 주왕(紂王)이 달기(妲己)와 어울려 극도로 황음무도하고 사치한 생활을 가리켰고, 후대에 이르러는 술과 안주가 매우 많음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역대 왕조의 말기 군주는 대부분 흉폭하고 향락을 추구하였으며, 상나라의 주왕도 예외가 아니었다. 또한 상나라의 귀족과 백성들도 술 마시기를 좋아하였는데, 그 증거로 상나라의 청동기는 술그릇과 술잔이 매우 많이 출토되었다. 현대 과학으로 당시 상나라의 청동 술그릇과 술잔을 분석한 결과, 청동기에 주석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상나라 사람들이 술을 마시면 주석 성분이 용해되어 중독 현상을 일으키고 신체 상황이 심각하게 쇠약해지게 된다. 그래서 주(周)나라가 통치 하면서부터는 상나라 사람들의 거주지에 금주령을 내리고 엄격하게 실행한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사기 강의 제54회 보충설명


제54강, 2014, 6, 20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輕信, 盲信, 狂信, 迷信
* 범죄자의 기본원칙-1逃 2否 3託
* 殖民史觀-半島性, 他律性, 停滯性, 黨派性

1. 矜-갑골문, 원래는 손님을 접견할 때 손에 쥐고 있는 창 ; 의장용 창 ; 긍지, 자존, 홀애 비(鰥)... 《史記》〈五帝本紀有〉󰡒矜在民間,曰虞舜󰡓
2. 人臣-臣下, 臣子
3. 臣-갑골문, 원래는 머리를 숙일때 눈의 모양 ; 남성노예(男曰臣, 女曰妾-臣妾) ; 굴복
4. 高-갑골문, 원래는 이층집 ;《荀子》〈勸學〉󰡒不登高山,不知天之高也󰡓 ; 연세 高壽
5. 聲-원래는 고대 악기 磬의 소리를 듣는다 ; 音
6. 出-원래는 싹이 자라는 모습 ; 나오다, 뛰어나다 ; 出己之下 ; 出一頭地(出人頭地)
《韓非子》󰡒上君盡人之智,中君盡人之力,下君盡己之能󰡓
7. 淫-원래는 물에 잠기다, 지나치다, 방종하다
8. 嬖-총애하다
9. 婦-갑골문, 원래는 술잔 등을 들고 서비스하는 여성 ; 첩 ; 《禮記》〈曲禮〉󰡒士曰婦人, 庶人曰妻󰡓 ; 일반적인 여성
10. 妲己-傾國之色
傾國之色(하나라~당나라)
왕조
상대남성
경국지색
직위
별칭
비고
桀王
妺嬉
愛妾
佩劍帶冠
酒池肉林
紂王
妲己
愛妾
毒婦
酒池肉林
幽王
褒姒
王后
千金買笑
春秋戰國
吳王 夫差
西施
後宮
沈魚
臥薪嘗膽
元帝
王嬙
昭君
落雁
春來不似春
三國
呂布
貂蟬
夫人
閉月
왕윤이 여포와 동탁 이간질에 이용함.
玄宗
楊玉環
貴妃
羞花 , 解語花
11. 師-갑골문, 원래는 文師의 의미 ; 군대편제 ; 선생 ; 지방 단위 《尙書》〈大傳〉󰡒八家 而爲鄰,三鄰而爲朋,三朋而爲里,五里而爲邑,十邑而爲都,十都而爲師󰡓
12. 涓-실개천, 작은 것
13. 舞-갑골문, 원래는 사람이 소꼬리를 잡고 춤추는 모양
14. 靡-낭비, 사치, 쓰러질, 없을 無《詩經》󰡒靡日不思󰡓
15. 厚-원래는 땅 표면이 두꺼운 것, 반대는 薄 ; 厚顔無恥
16. 賦-원래는 군사용의 재물 ; 군역, 군수품 세금 ;《漢書》〈刑法志〉󰡒有稅有賦, 稅以足 食,賦以足兵󰡓
17. 稅-원래는 토지세로 걷는 농산품 ; 《急就篇》󰡒斂財曰賦,斂穀曰稅,田稅曰租󰡓
18. 鹿-갑골문 ; 사각형의 양식창고 ; 정권을 비유。《史記》〈淮陰侯列傳》󰡒秦失其鹿,天 下共逐之󰡓
《淮南子》“逐鹿子不見山,확攫金子不見人。”
19. 錢-원래는 농기구(낫, 鏟) ; 賺錢, 掙錢
20. 盈-그릇에 연속해서 채움 ;《王文憲》󰡒窮涯而反,盈量知歸󰡓
21. 鉅-원래는 고대의 鐵鋼 ; 크다
22. 粟-稻-벼 ; 禾-곡물(쌀)
總-벼(볏단) 전체 ; 銍-벼 이삭 ; 秸服-벼 이삭의 겉잎을 추려낸 것 ; 粟-벼 이삭의 껍질 을 찧지 않은 곡식 ; 米-벼 이삭의 껍질을 찧은 곡식(현미) ; 白米-米를 재차 도정한 것
《憫農》󰡒春種一粒粟,秋收萬顆子󰡓
23. 益-원래는 그릇에 물이 넘쳐나는 모양 ; 장점, 더하다, 점차... ; 延年益壽
24. 收-거두다, 받다...《史記》〈太史公自序〉󰡒春生夏長,秋收冬藏󰡓
25. 仞-차다, 충만 牣과 동일
26. 廣-원래는 사방에 벽이 없는 큰 집
27. 苑-개방식 동식물 서식지
28. 酒-갑골문 ; 《博物志》󰡒三人晨行。一人飮酒,一人飮食,一人空腹;空腹者死,飽食者 病,飮酒者健󰡓
29. 倮-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음 ; 裸-비키니 처럼 가린 것
30. 飮-사람이 혀를 내밀고 술 그릇에 술을 맛보는 모양

《論語》〈里仁〉
子曰:「人之過也,各於其黨。觀過,斯知仁矣。」
過-과실 ; 黨-유형, 종류, 습벽 ; 斯-이것, 즉
子曰:「朝聞道,夕死可矣!」
道-진리의 길, 진리 추구
子曰:「士志於道,而恥惡衣惡食者,未足與議也!」
士-전국이전은 지식분자, 전국이후는 文士와 武士 ; 恥-부끄러울 ; 惡-나쁜, 거친, 조악한
子曰:「君子之於天下也,無適也,無莫也,義之與比。」
適-可, 친밀 ; 莫-不可, 소원 ; 與-어기조사 ; 比-따르다
子曰 : 「君子懷德, 小人懷土 ; 君子懷刑, 小人懷惠。」
懷-생각한다 ; 土-삶의 터전, 토지 ; 刑-법 질서 ; 惠-요령, 사적인 은혜
德-刑 ; 禮-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