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월 27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14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14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3월 4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인생이모작센터(종로3가역 3번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13회 보충 설명

제113강, 2016년 2월 26일 사마천의 사기 강의
 
*唾面自乾-《隋唐嘉話》, 모욕을 참고 견디다
1. 史-갑골문, 원래는 필기구를 들고 기록하는 사람 ; 갑골문의 위쪽은 中, 중은 깃발에서 유래하고 점차 仲으로 통용되어 판단하여 결정하다는 뜻이 되고, 다시 글을 쓰는 도구로 변함. 또는 책을 넣어두는 그릇이라는 설도 있음. 아래쪽은 필기구를 든 사람을 나타냄. 즉 史官을 가리킴. 주나라시기 등장.《禮記》〈玉藻〉󰡒動則左史(內史)書之,言則右史(太史)書之󰡓; 분류《新唐書》〈藝文志〉󰡒列經、史、子、集四庫󰡓; 左史右經(많은 책을 읽거나 혹은 소장하고 있음)
2. 佚-원래는 없어져 보이지 않는 사람, 은거하고 있는 사람 ; 도망,《孟子》〈公孫丑上〉󰡒柳下惠不羞污君,不卑小官;進不隱賢,必以其道;遺佚而不怨,阨窮而不憫󰡓;《荀子》〈宥坐〉󰡒居不隱者思不遠,身不佚者志不廣󰡓; 소실,《逸周書》󰡒牛馬畜獸有郊佚者,取之不詰󰡓; 《論衡》󰡒宣帝之時,得佚《尙書》及《易》、《禮》各一篇󰡓; 방탕,《論語》〈季氏篇〉󰡒益者三樂(쾌락),損者三樂(쾌락)。樂(쾌락)節禮樂(음악),樂(쾌락)道人之善,樂(쾌락)多賢友,益矣。樂(요)驕樂(음악),樂(요)佚游(음악),樂(요)宴樂(음악),損矣󰡓; 안일(逸), 舍佚而爲勞 ; 아름다운, 佚女
3. 展-갑골문, 원래는 단추 같은 것을 풀고 입구를 펼치다 ; 이동하다 ;《說文解字》󰡒展,轉也󰡓;《紅樓夢》󰡒展眼已是夏末秋初󰡓; 몸을 돌려 옷을 벗다,《周礼》〈天官〉󰡒掌王后之六服,褘衣,揄狄,闕狄,鞠衣,展衣,緣衣,素沙󰡓; 펴다,《莊子》〈盗跖〉󰡒盗跖大怒,兩展其足,案劍瞋目󰡓; 연장,《史記》〈王溫鉥列傳〉󰡒令冬月益展一月,卒吾事矣󰡓
4. 九-갑골문, 원래는 손을 뻗어 구덩이 안을 더듬는 것 ;《楚辭》〈九辨〉󰡒九者, 陽之數, 道之綱紀也󰡓; 崇九 풍속(客家族) ; 九牛一毛-《史記》〈報任安書〉󰡒假令僕伏法受誅,若九牛亡一毛,與螻(땅강아지 루)蟻何以異?󰡓사마천, 李陵 장군, 무제, 궁형(腐刑), 자살을 생각하면서... ;《釋文》󰡒九宜爲久.,久, 老也󰡓; 중국인이 좋아하는 숫자, 9,8,6
5. 鼎-갑골문, 원래는 고대 요리용 그릇으로 3足 2耳 ; 성대 ; 국가, 재상, 3공을 비유하는데 사용 ; 신뢰, 一言九鼎. 酌婦
6. 保-갑골문, 원래는 애기를 업고 있는 ;《說文解字》󰡒保,養也󰡓; 유아를 보육하는 여자,《禮記》〈内則〉󰡒國君世子生,…保受,乃負之󰡓;《孟子》〈藤文公上〉󰡒儒者之道,古之人若保赤子󰡓; 애기 싸는 포대기,《後漢書》〈桓郁傳〉󰡒昔成王幼小,越在襁保󰡓; 상점에서 일하는 하인(남자 하인은 酒保, 여성은 酒母 ? )
7. 玉-갑골문, 원래는 실로 꿴 보석 ; 《說文解字》󰡒玉,石之美者。有五德:潤澤以溫,仁之方也(仁人);鰓理自外,可以知中,義之方也(義士);其聲舒揚,부以遠聞,智之方也(智士);不橈而折,勇之方也(勇士);銳廉而不技,絜之方也(廉士)󰡓;《南史》〈王僧達傳〉󰡒大丈夫寧當玉碎,安可以沒沒求活󰡓;《禮記》〈聘儀〉󰡒昔者君子比德於玉焉. 溫潤而澤, 仁也󰡓;

2016년 2월 24일 수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13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13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2월 26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인생이모작센터(종로3가역 3번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강의 제112회 보충설명

7. 橋-원래는 나무로 만든 다리 ;《說文解字》󰡒橋, 水梁也。從木, 喬声。騈木爲之者。獨木者曰 강󰡓 ;《史記》〈秦本紀〉󰡒寧新中更名安陽, 初作河橋󰡓; 교각,󰡒橋閣(傍山架木爲路), 即棧道, 閣道󰡓
8. 粟-갑골문, 원래는 곡식이 가득 매달려 있는 모습 ;《說文解字》󰡒粟,嘉榖實也󰡓;《舊唐書》〈食貨志下〉󰡒其粟麥粳稻之屬各依土地, 貯之州縣󰡓; 李斯《諫逐客令》󰡒臣聞地廣者粟多,國大者人衆󰡓紫米
* 粟-고대에는 稷 ; 현재는 小米 ; 별명, 黍(멥기장) , 高粱(小米 大) ;《禮記》〈内則〉󰡒牛宜稌(찰벼 도),羊宜黍,豕宜稷,犬宜粱,雁宜麥,魚宜菰(향초 고)󰡓
9. 振-갑골문, 원래는 두 손으로 호미(농기구)를 잡고 노동하는 모습 ;《說文解字》󰡒振,舉救也󰡓;《史記》〈禮書〉󰡒擧若振槁󰡓; 곤경에서 벗어나게 도와줌,《韓非子》〈五蠹〉󰡒智困於内而政亂於外,則忘不可振也󰡓
10. 貧-원래는 재물을 나눠줌 ;《說文解字》󰡒貧,財分少也󰡓;《莊子》〈讓王〉󰡒無財謂之貧󰡓;《論語》󰡒貧而無諂󰡓;《荀子》〈天論〉󰡒强本而節用,則天下不能貧󰡓;《孟子》〈滕文公下〉󰡒居天下之廣居,立天下之正位,行天下之大道。得志,與民由之;不得志,獨行其道。富貴不能淫,貧賤不能移,威武不能屈,此之謂大丈夫󰡓
11. 弱-원래는 힘이나 세력이 작음 ;《說文解字》󰡒弱,橈(꺽일 요, 굽을 뇨)也󰡓 ;《孫子》〈謀攻〉󰡒輔隙者則國必弱󰡓;《商君書》〈錯法〉󰡒有土者不可以言貧,有民者不可以言弱󰡓
12. 萌-원래는 초목의 싹 ;《說文解字》󰡒萌,草芽也󰡓;《孟子》〈告子上〉󰡒是其日夜之所息,雨露之所潤,非無萌蘖之生焉󰡓; 향후 발전추세,《韓非子》〈說林上〉󰡒聖人見微而知萌󰡓
12. 隸-원래는 과일 따는 일을 하는 노예 ; 노예, 부속, 글자체... ; 검사,《史記》〈酷吏列傳〉󰡒關東吏隸郡國出入關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