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24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52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52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5월 30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장소후원 :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

은본기 27


3-027.
(원문)
帝甲崩, 子帝廩辛立。 帝廩辛崩, 弟庚丁立, 是爲帝庚丁。 帝庚丁崩, 子帝武乙立。 殷復去亳, 徙河北。

(음역)
제갑붕, 자제늠신입。 제늠신붕, 제경정입, 시위제경정。 제경정붕, 자제무을입。 은부거박, 사하북。

(주석)
1. 제갑(帝甲)-3-026-주석2 참고.
2. 늠신(廩辛)-이름은 수(受)이고, 달리 풍신(馮辛)으로 일컬었다.
3. 경정(庚丁)-이름은 효(囂)이고 8년간 재위하였으며, 갑골문에는 강정(康丁), 강조정(康祖丁), 강차정(康且丁) 등으로 달리 기록되어 있다.
4. 무을(武乙)-이름은 구(瞿)이고 35년 재위하였으며, 은(殷)에 장사지냈다. 상나라 후기에 신권정치(神權政治)에서 왕권정치(王權政治)로 변해가는 과정에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5. 은(殷)-3-001-주석1 참고.
6. 박(亳)-3-003-주석5 참고.
7. 하북(河北)-황하 북쪽.

(국역)
갑왕(조갑)이 사망하고 아들 늠신왕이 즉위하였다. 늠신왕이 사망하고 동생 경정이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경정왕이다. 경정왕이 사망하고 아들 무을왕이 즉위하였다. 상나라는 다시 박을 떠나서 황하 북쪽으로 이동하였다.

은본기 26


3-026.
(원문)
帝祖庚崩, 弟祖甲立, 是爲帝甲。 帝甲淫亂, 殷復衰。

(음역)
제조경붕, 제조갑입, 시위제갑。 제갑음란, 은부쇠。

(주석)
1. 조경(祖庚)-3-025-주석2 참고.
2. 조갑(祖甲)-이름은 재(載)이고 차갑(且甲) 또는 제갑(帝甲)으로 일컬었으며, 33년 재위하였다. 《사기》에는 황음무도하여 상나라가 재차 쇠락해졌다고 하였다. 그러나 《죽서기년(竹書紀年)》에는 즉위 초기에는 서융(西戎)을 정벌하고 백성을 잘 보살폈지만 후기에 이르러 가혹한 형벌의 적용으로 상나라의 쇠락을 초래했다고 한다.
3. 제갑(帝甲)-3-026-주석2 참고.
4. 은(殷)-3-001-주석1 참고.

(국역)
조경왕이 사망하고 동생 조갑이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갑왕(조갑)이다. 갑왕은 음란하여 상나라가 다시 쇠락해졌다. 

은본기 25


3-025.
(원문)
帝武丁崩, 子帝祖庚立。 祖己嘉武丁之以祥雉爲德, 立其廟爲高宗, 遂作高宗肜日及訓。

(음역)
제무정붕, 자제조경립。 조기가무정지이상치위덕, 입기묘위고종, 수작고종융일급훈。

(주석)
1. 무정(武丁)-3-23-주석2 참고.
2. 조경(祖庚)-이름은 약(躍)이고 7년 재위하였으며, 은(殷)에 장사지냈다.
3. 조기(祖己)-3-024-주석4 참고.
4. 가(嘉)-칭찬하다.
5. 상치(祥雉)-불길하게 꿩이 울던 일.
6. 고종(高宗)-고대 제왕의 묘호 중에서 명예가 비교적 높은 칭호이다. 특히 창업이후 수성에 뛰어난 군주에게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덕이 만물을 덮을 정도이고, 공덕이 뛰어나며, 백성에게 은혜를 베품이 뛰어날 때(德覆萬物曰高;功德盛大曰高;覆帱同天曰高) 고종이라는 묘효를 부여한다.
7. 고종융일(高宗肜日)-《상서》에 〈고종융일〉 편이 있고, 내용은 조을(祖乙)이 왕을 훈계하는 것이다. 융은 제사를 지낸 다음 날에 또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상나라에서는 융이라 하고 주나라에서는 역(繹)이라고 하였다.
8. 훈(訓)-즉〈고종지훈(高宗之訓)〉 편을 가리키고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내용은 대략 조을(祖乙)이 왕을 훈계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국역)
무정왕이 사망하고 아들 조경왕이 즉위하였다. 조기는 무정이 불길하게 꿩이 울던 일을 계기로 덕치를 실행한 것을 칭찬하고, 무정의 신위를 종묘에 안치하고 고종이라고 일컬었으며, 마침내 〈고종융일〉 및 〈고종지훈〉을 작성하였다.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51회


제51강, 2014, 5, 23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三從四德
《儀禮》〈喪服〉“婦人有三從之儀,無專用之道。故未嫁從父,既嫁從夫,夫死從子。”
《周禮》〈天官〉“九嬪掌婦學之法,以九敎御:婦德、婦言、婦容、婦功。”
* 胡適의 三從四德-(1)부인이 외출하면 꼭 모시고, (2)시키면 무조건 복종, (3)말 같지 않은 소리도 맹종할 것 ; ㉠부인이 화장 끝날 때까지 불평 말고 기다릴 것, ㉡생일을 절대 잊지마라, ㉢야단맞을 때 말대꾸하지 말 것, ㉣부인이 쓰는 돈을 아까워 말 것
* 장개석-ⓐ부인 이외엔 처다보지 말고, ⓑ부인 따라서 와인을 마시고,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고 , ⓓ기독교를 믿었고

1. 崩-山+朋=崩 산이 무너지다 ; 《禮記》〈曲禮〉天子-崩, 駕崩, ; 諸侯-(薨奄), 昇遐 ; 卿, 大夫-, 逝世(去), 他界, 下逝 ; 士-不祿 ; 平民-, 去世, 歸天, 死亡, 永眠, 殞命, 過逝, 謝世, 仙逝, 離世, 辭世, 長逝, 犧牲, 殉国, 捐軀, 就義, 身故, 夭亡, 夭折, 歸西, 咽氣, 喪命, 亡故, 遇難, 罹難(리난), 遇害, 晏駕, 歿, 見背, 圓寂, 坐化, 與世長辭, 駕鶴西去, 斃命 (폐명), 隕落。
군주 죽음에 대한 별칭-등하(登遐), 붕어(崩御), 빈천(賓天), 상빈(上賓), 안가(晏駕), 예척 (禮陟), 용어(龍馭), 조락(殂落), 척방(陟方)
종교의 죽음 ; 기독교-召天 ; 천주교-善終 ; 불교-入寂(涅槃, 寂滅)
2. 立-갑골문 ; 서다, 오르다
3. 嘉-북소리를 따라서 내는 소리 ; 칭찬하다, 아름답다, 훌륭하다, 기쁘다 ; 嘉言善行 ; 亨 嘉之會(우수한 인물이 많이 모여 있음)
4. 祥-갑골문, 흉하고 길한 징조
《易》〈系辭〉󰡒吉事有祥󰡓; 《周書》〈武順〉󰡒無道曰祥󰡓
5. 廟-원래는 조상을 제사지내는 곳。《禮記》“天子七廟,卿五廟,大夫三廟,士一廟。”, 漢 代 이후 귀신을 제사지내는 곳으로 변화(문묘(孔子廟,무묘(關羽廟), 사찰, 도교 등등)
6. 遂-원래 의미는 도망가다 ; 따라가다 ; 稱心如意 ; 순리롭게
7. 作-갑골문, 옷깃을 처음 만든 형상 ; 사람이 몸을 일으키는 것, 일어나다, 수공업 공장 (作坊), 하다......《樂府詩集》󰡒日出而作,日入而息󰡓
8. 高-갑골문, 원래는 이층집 ;《荀子》〈勸學〉󰡒不登高山,不知天之高也󰡓 ; 연세 高壽
9. 宗-宀집 면+示보일 시=宗실내에서 귀신에게 제사지냄
《周禮》〈春官〉󰡒春見曰朝, 夏見曰宗, 秋見曰謹, 冬見曰遇, 時見曰會, 殷見曰同󰡓
10. 及-갑골문, 뒷쪽에 있던 사람이 따라와서 손으로 잡는 것
11. 弟-갑골문, 끈으로 나무 몽둥이를 묶은 것
《爾雅》〈釋親〉󰡒男子先生爲兄,後生爲弟󰡓
12. 淫-氵+음=淫 과다, 점차 가라앉다, 미혹, 부정당한 행위, 방종
13. 亂-헝클어진 실을 정리하는 모습 ; 무질서 ; 부정당한 행위
14. 廩-본래는 쌀 창고 ; 《荀子》〈富國〉󰡒穀藏曰倉,米藏曰廪󰡓
《管子》“倉廩實而知禮節。”
15. 去-갑골문, 사람이 동굴에서 떠나는 것
16. 亳-갑골문,《史記正義》󰡒湯即位都南亳(商丘),後徙西亳(偃師)也󰡓
17. 徙-辵쉬엄쉬엄갈 착+止=徙 옮기다
18. 河-명칭상-黃河長江 ; 규모상-小河大江 ; 지역상-北河南江
19. 北-갑골문, 背의 古字 ; 面(南)明, 背(北)暗

論語》〈里仁〉
子曰:「里仁爲美。擇不處仁,焉得知?」
里-마을 또는 동사로 사용, 거주하다 ; 處-동사,里와 같은 뜻 ; 知-지혜智(《論語》의 “智”는 모두 知로 썼다.
子曰:「不仁者,不可以久處約,不可以長處樂。仁者安仁,知者利仁
約-빈곤 ; 久約必濫 ; 樂-부귀 ; 久樂必淫 ; 利-순종 ; 仁者, 安于仁道 ; 智者, 利于仁道
子曰:「唯仁者,能好人,能惡人。」
唯-오직 ; 好-좋아하다 ; 惡-미워하다
子曰:「苟志於仁矣,無惡也。」
苟-만약, 진실로 ; 惡-악, 사악(나쁜 일을 안 할 것이다) ; 오, 미워함, 싫어함(싫어하는 행동을 안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