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1월 29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72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72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12월5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장소후원 :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 

주본기 12


4-012.
(원문)
武王卽位, 太公望爲師, 周公旦爲輔, 召公、畢公之徒左右王, 師脩文王緖業。

(음역)
무왕즉위, 태공망위사, 주공단위보, 소공、필공지도좌우왕, 사수문왕서업。

(주석)
1. 무왕(武王)-3-032-주석31 참고.
2. 태공망(太公望)-성씨는 여(呂)이고 이름은 망(望)이며, 자는 자아(子牙)이다. 달리 강상(姜尙), 여상(呂尙), 강태공(姜太公), 태공망(太公望), 사상보(師尙父), 단호아(單呼牙) 등으로 일컬었다. 주(周)나라 문왕(文王) 시기에 태사(太師)에 임명되었고, 6명의 왕을 섬겼다. 무왕(武王)을 보좌하여 상(商)나라를 멸망시키고, 제(齊)나라에 책봉되었다. 중국 역사상 유명한 정치가, 군사가, 지략가이다.
3. 사(師)-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주(周)나라 시대 군주를 보좌하는 무관으로 태사(太師)를 가리킨다. 태부(太傅), 태보(太保)와 더불어 3공(三公)의 하나로 최고위 관직이다. 또 사의 명칭은 하(夏)나라 이후에 계속 있었고, 갑골문에는 문사(文師)의 칭호로 등장하였다. 둘째, 음악을 담당하는 악사이다.
4. 주공(周公)-3-034-주석7 참고.
5. 보(輔)-천자 좌우에서 보필하는 대신을 통칭하는 말이다.
6. 소공(召公)-이름은 석(奭)이고 문왕의 아들이고 무왕의 동생이다. 최초로 소(召, 陜西省 岐山)에 책봉을 받아서, 소공(邵公), 소백(召伯), 소강공(召康公), 태보소공(太保召公) 등으로 일컬었다. 주공(周公)과 더불어 통치하였고, 또 주공의 섭정과 반란을 평정하는 것을 지지하였다.
7. 필공(畢公)-이름은 고(高)이고 문왕의 아들이다. 무왕이 상나라를 정벌한 이후에 필(畢)에 책봉을 받아서 필공, 필공고(畢公高)라고 일컬었다.
8. 좌우(左右)-보좌하다.
9. 문왕(文王)-3-031-주석7 참고.
10. 사수(師脩)-본받고 계승하다.
11. 서업(緖業)-사업

(국역)
무왕은 즉위하고(기원전 1061년) 태공 망을 태사로 임명하였고, 주공 단은 천자를 보필하는 보로 임명하였으며, 소공과 필공 등 무리는 왕의 좌우에서 보좌하게 하고, 문왕의 사업을 본받고 계승하였다.

사기 강의 제70회 보충설명


제70강, 2014, 11, 28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元曉, 《發心修行章》 󰡒破車不行, 老人不修󰡓-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현재 최선을
* 한자획수
1) 한국은 64획-龍+龍은 위쪽, 龍+龍은 아래쪽=말 많을 절 ; 용×2=두려워 할 답, 용 ×3=꿈틀거리며 기는 모양 답
2) 중국은 128획-우렛소리 병--田回田(세로 배열)×8 ; 비앙(뱡)면 비앙(뱡)-넓적하고 길 쭉한 면-山西省--중국집에 크게 써 붙인 것 있다. ; 비슷한 것으로 오인하는 招財進寶
순서-寶進財招가 아니고, 招財進寶 ; 항아리 입구-금두꺼비(개구리) ; 양쪽 가운데 동물 -豼貅-催財辟邪 ; 康熙御製 ; 풍수상 북쪽에 놓거나 큰 것은 실제 재물을 담기도 한다.
3) 일본-193획 たいと(타이토)
* 李陵之禍-사실은 틀린 말 ; 李廣利와 武帝의 愛妾 李夫人의 관계를 몰라서 하는 말
李廣-李當戶-李陵
李廣利(장군)-李陵(부장)---李陵이 李廣利를 무시하고 그의 부하가 되기 싫다고 武帝에게 요청---武帝는 愛妾 李夫人의 오빠인 李廣利를 무시하자 화가 남---李陵에게 단독으로 匈奴를 공격하게 함---기병 5천명을 李廣利에게 넘겨주고 보병 5천명을 인솔하게 함---다른 장군에게 李陵을 후원하지 말도록 명령함---李陵은 匈奴에게 포로가 됨---李陵의 식구 80여명을 살해함---李陵에 대한 대책을 司馬遷에게 물음---司馬遷은 李廣利의 무능을 질책하고 李陵을 변호함---武帝는 司馬遷이 愛妾 李夫人의 오빠 李廣利를 질책한 것에 대노하였는데 거기다가 李陵까지 변호하면서 이성을 잃음---핵심은 武帝=李夫人=李廣利=李陵의 관계
결론적으로 李廣利의 무능이 司馬遷을 宮刑받게 하고 李陵을 죽게 하였다.
* 李廣-활을 잘 쏨󰡒其射,見敵急,非在數十步之内, 度不中不發, 發即應弦而倒󰡓, 射巖-나중에는 불가 ; 병사를 자식같이 사람 司馬遷-“其身正,不令而行;其身不正,雖令不從”。其李將軍之謂也?......及死之日,天下知與不知,皆爲盡哀。......諺曰 “桃李不言,下自成蹊”。
《朱子語類》,卷8 󰡒精神一到, 何事不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