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월 16일 금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75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75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5년 1월 23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시청앞 덕제빌딩 303호(시청역 7번출구, 직진 30미터 파리바게트 옆)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사기 강의 제 73회 보충설명 2


9. 木-갑골문, 원래는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나무 ; 《春秋繁露》󰡒木者,春生之 性。農之本也󰡓;《莊子》〈山木〉󰡒莊子行于山中,見大木,枝葉盛茂󰡓;《孟子》 〈盡心上〉󰡒舜之居深山之中,與木石居,與鹿豕游󰡓;《論語》〈公冶長〉󰡒朽木不可 雕也󰡓;《莊子》〈馬蹄〉󰡒我善治木,曲者中鉤,直者應繩󰡓
10. 主-갑골문, 원래는 나무를 구멍에 끼운 것 ; 柱의 본래 글자 ; 중시하다,《論 語》〈子罕〉󰡒子曰:“主忠信。無友不如己者。過則勿憚改”; 관장하다,《文心雕龍》〈史傳〉󰡒軒轅之時,史有蒼詰,主文之職󰡓
11. 載-금문, 원래는 죄인을 수레에 태워서 백성들에게 보여준 후에 형벌을 가하는 ;《說文解字》󰡒載,乘也󰡓;《史記》〈河渠書〉󰡒陸行載車,水行載舟󰡓; 일년,《爾 雅》〈釋天〉󰡒夏曰歲,商曰祀,周曰年, 夫有勛而不廢,有績而載,唐虞曰載󰡓;《史 記》〈文帝本紀〉󰡒漢興,至孝文四十有餘載󰡓; 오르다, 董仲舒《擧賢良對策三》󰡒 身寵而載高位,家温而食厚祿󰡓; 제사 종류 ; 기록
12. 車-갑골문, 원래는 바퀴가 있고 소나 말에 의지하여 움직이는 전투공구 ;《說 文解字》󰡒車,輿論之總名。夏后時奚仲所造󰡓;《史記》〈陳涉世家〉󰡒比至陳,車 六七百乘,騎千餘,卒數萬人󰡓;《史記》〈秦始皇本紀〉󰡒車同軌,書同文字󰡓; 장 기, 사람이 동력이면 거, 그 나머지는 차
13. 軍-금문, 원래는 전차와 사병이 균등하게 배치됨 ;《周禮》〈小司徒〉󰡒五旅爲 師,五師爲軍󰡓;《周禮》〈夏官〉󰡒凡制軍,萬有二千五百人爲軍。王六軍,大國三 軍,次國二軍,小國一軍󰡓;《説文解字》󰡒軍,圜圍也。四千人爲軍󰡓;《三國志》〈諸葛亮傳〉󰡒亮身率諸軍攻祁山󰡓
14. 發-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표창을 들고 야수나 적을 향하여 던짐 ; 髮이 본래 자 ; 쏘다,《史記》〈李將軍列傳〉󰡒其射,見敵急,非在數十步之内,度不中不發, 發即應弦而倒󰡓;《史記》〈孫子吳起列傳〉󰡒暮見火而俱發󰡓; 歐陽脩《歸田錄》󰡒 見其發矢十中八九󰡓; 선포하다,《孟子》〈梁惠王上〉󰡒今王發政施仁, 使天下仕者皆 立于王之朝󰡓; 두발,《蘇武古詩》󰡒結髮成夫妻󰡓(注)“結髮始成人也。謂男年二十, 女年十五, 時取笄冠爲義也”
15. 奉-원래는 두 손으로 옥을 바치다 ;《莊子》〈說劍〉󰡒太子乃使人以千金奉莊 子,莊子弗受󰡓; 높이 들다
16. 專-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옷감 짜는 도구를 작동하는 것 ;《孟子》〈告子上〉 󰡒不專心致志則不得也󰡓;《漢書》󰡒主弱臣强,專制擅權󰡓
17. 告-갑골문, 원래는 소를 바치고 기도하는 것 ;《呂氏春秋》〈贊能〉󰡒敢以告于 先君󰡓;《列子》〈楊朱〉󰡒不告而娶󰡓; 諸葛亮《出師表》󰡒不效則治臣之罪,以告 先帝之靈󰡓;《史記》〈項羽本紀〉󰡒項伯乃夜馳之沛公軍,私見張良,具告以事󰡓;《禮記》󰡒夫爲人子者,出必告,反必面󰡓
18. 司-갑골문, 원래는 권위의 지팡이+심문=사건을 처리함 ; 관청, 장악, 담당하 다......
19. 馬-갑골문 ; 項羽 烏騅馬, 呂布 赤兔馬, 劉備 的盧馬, 唐太宗 昭陵六駿(特勒驃, 靑騶, 什伐赤, 颯露紫, 拳毛, 白蹄烏), 汗血马 ; 馬虎, 塞翁失馬, 單槍匹馬, 路遙知馬 力......
20. 空-《管子》〈五輔〉󰡒倉禀實而囹圄空󰡓;《史記》〈貨殖列傳〉󰡒此非空言也󰡓
21. 節-원래는 대나무 마디 ; 조절, 절제... 형벌의 일종 節解-사지 관절 부분을 자 르는 것 ; 예절,《論語》〈微子〉󰡒長幼之節󰡓; 符節(사신이 지니고 신분을 증명 함)《漢書》〈蘇武傳〉󰡒持節送匈奴使󰡓; 절약,《荀子》〈無論〉󰡒强本而節用,則 天不能貧󰡓
22. 齊-갑골문, 원래는 벼나 보리 싹 이 가지런히 자란 모양 ; 가지런히, 함께, 전 부...... ;《論語》〈述而〉󰡒子之所愼:齊,戰,疾󰡓;《禮記》〈少儀〉󰡒凡齊,執之 以右,居之以左
23. 栗-갑골문, 원래는 껍질에 가시가 많은 열매 ; 밤, 떨다《論語》〈八佾〉󰡒宰我對曰: 夏后氏以松,殷人以柏,周人以栗,曰:使民戰栗󰡓;《戰國策》〈楚策〉󰡒襄王聞之,顔色變 作,身体戰栗󰡓;《韓非子》〈初見秦〉󰡒戰戰栗栗,日慎一日󰡓
24. 信-원래는 진심, 성의 ;《墨子經》󰡒信,言合于意也󰡓;《白虎通》〈情性〉󰡒信者,誠 也。專一不移也󰡓;《禮記》〈經解〉󰡒民不求其所欲而得之謂之信󰡓
〈公冶長〉
子曰:「已矣乎!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已矣乎-아 끝났구나(절망이다) ; 內-내심 ; 訟-꾸짖다, 질책하다
子曰:「十室之邑,必有忠信如丘者焉,不如丘之好學也。」
室-家, 戶 ; 如-같을 ; 丘-공자 ; 好學-배우기를 좋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