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9일 토요일

시골집 툇마루


                                  시골집 툇마루-사람이 관리하면 잘 보존할 수 있어요.

2013년 11월 8일 금요일

하본기 14

2-014.
(원문)
道九山 : 汧及岐至于荊山, 踰于河 ; 壺口、雷首至于太嶽 ; 砥柱、析城至于王屋 ; 太行、常山至于碣石, 入于海 ; 西傾、朱圉、鳥鼠至于太華 ; 熊耳、外方、桐柏至于負尾 ; 道嶓冢, 至于荊山 ; 內方至于大別 ; 汶山之陽至衡山, 過九江, 至于敷淺原。

(음역)
도구산 : 견급기지우형산, 유우하 ; 호구、뇌수지우태악 ; 지주、석성지우왕옥 ; 태행、상산지우갈석, 입우해 ; 서경、주어、조서지우태화 ; 웅이、외방、동백지우부미 ; 도파총, 지우형산 ; 내방지우대별 ; 문산지양지형산, 과구강, 지우부천원。

(주석)
1. 도(道)-다스리다, 개통하다.
2. 9산(九山)-견산(汧山), 호구산(壺口山), 지주산(砥柱山), 태행산(太行山), 서경산(西傾山), 웅이산(熊耳山), 파총산(嶓冢山), 내방산(內方山), 기산(岐山)을 가리킨다.
3. 견(汧)-9산 중의 하나이고, 달리 오산(吳山)이라고 일컬었으며 섬서성(陜西省) 롱현(隴縣)에 있다.
4. 기(岐)-2-005-주석7 참고.
5. 형산(荊山)-2-010-주석1 참고.
6. 하(河)-황하를 가리킨다.
7. 호구(壺口)-2-005-주석5 참고,
8. 뇌수(雷首)-뇌수산(雷首山)을 가리키고, 하동(河東) 포판현(蒲阪縣) 동남쪽에 있다.
9. 태악(太嶽)-9산 중의 하나이고, 무당산(武當山), 삼상산(參上山), 태화산(太和山)으로 일컫고 호북성(湖北省) 단강구시(丹江口市)에 있다.
10. 지주(砥柱)-9산 중의 하나이고, 달리 지주산(厎柱山), 삼문산(三門山)으로 일컬으며, 황하 중류에 있는 10여 미터 높이의 산 형태의 암석이다.
11. 석성(析城)-석성산(析城山)을 가리키고, 양성현(陽城縣) 서남쪽에 있다.
12. 왕옥(王屋)-왕옥산(王屋山)을 가리키고 왕옥현(王屋縣)에 있다.
13. 태행(太行)-9산 중의 하나이고 산양현(山陽縣)에 있다.
14. 상산(常山)-달리 긍산(恆山)이라고 일컬으며, 상산군(常山郡) 상곡양현(上曲陽縣)에 있다.
15. 갈석(碣石)-2-005-주석23 참고.
16. 서경(西傾)-2-012-주석20 참고.
17. 주어(朱圉)-주어산(周圉山)을 가리키고, 감숙성(甘肅省) 감곡현(甘谷縣)에 있다.
18. 조서(鳥鼠)-2-013-주석17 참고.
19. 태화(太華)-태화산(太華山)을 가리키고, 달리 화산(華山), 화음산(華陰山)으로 일컬으며, 화음현(華陰縣)에 있다.
20. 웅이(熊耳)-9산 중의 하나이고 산동성(山東省) 조장시(棗庄市)에 있다.
21. 외방(外方)-외방산(外方山)은 선진(先秦) 시기의 명칭이고 현재는 숭산(崇山)이라고 일컫는다.
22. 동백(桐柏)-동백산(桐柏山)을 가리키고, 달리 대복산(大復山)이라고 일컬으며 평씨현(平氏縣) 동남쪽에 있다.
23. 부미(負尾)-부미산(負尾山)을 가리키고, 달리 배미산(陪尾山), 횡미산(橫尾山)으로 일컬으며, 안육현(安陸縣) 동북쪽에 있다.
24. 파총(嶓冢)-2-012-주석5 참고.
25. 내방(內方)-9산 중의 하나이고, 달리 장산(章山), 입장산(立章山)으로 일컬으며, 호북성(湖北省) 종상현(鐘祥縣)에 있다.
26. 대별(大別)-대별산(大別山)을 가리키고, 하남성(河南省), 안휘성(安徽省), 호북성(湖北省)의 경계에 있고 서쪽으로는 동백산(桐柏山)과 인접해 있다.
27. 문산(汶山)-2-012-주석4 참고.
28. 형산(衡山)-2-010-주석2 참고.
29. 9강(九江)-2-010-주석8 참고.
30. 부천원(敷淺原)-부천원산(敷淺原山)을 가리키고, 달리 부양산(傅陽山)으로 일컬으며 예장현(豫章縣)에 있다.

(국역)
9개의 산을 다스렸다. 견산 및 기산을 다스리고 형산까지 이르렀으며, 황하를 넘어서까지 다스렸다. 호구산과 뇌수산을 지나서 태악산에 이르렀다. 지주산과 석성산을 지나서 왕옥산에 이르렀다. 태행산과 상산을 지나서 갈석산에 이르렀고, 바다에 들어가기에 이르렀다. 서경산과 주어산 및 오서산을 지나서 태화산에 이르렀다. 웅이산과 내방산 및 동백산을 지나서 부미산에 이르렀다. 파총산을 다스리고 형산까지 이르렀다. 내방산을 지나서 대별산에 이르렀다. 문산(민산)의 남쪽을 지나서 형산에 이르렀고, 9강을 지나 부천원산에 이르렀다.

하본기 13

2-013.
(원문)
黑水西河惟雍州 : 弱水旣西, 涇屬渭汭。 漆、沮旣從, 灃水所同。 荊、岐已旅, 終南、敦物至于鳥鼠。 原隰厎績, 至于都野。 三危旣度, 三苗大序。 其土黃壤。 田上上, 賦中下。 貢璆、琳、琅玕。 浮于積石, 至于龍門西河, 會于渭汭。 織皮昆侖、析支、渠搜, 西戎卽序。

(음역)
흑수서하유옹주 : 약수기서, 경속위예。 칠、저기종, 풍수소동。 형、기이여, 종남、돈물지우조서。 원습지적, 지우도야。 삼위기도, 삼묘대서。 기토황양。 전상상, 부중하。 공구、림、낭간。 부우적석, 지우용문서하, 회우위예。 직피곤륜、석지、거수, 서융즉서。

(주석)
1. 흑수(黑水)-2-012-주석2 참고.
2. 서하(西河)-서하(西河)는 낙하(洛河)에 속한 강중에서 가장 큰 하천으로 섬서성(陜西省) 징성현(澄城縣)에 있다.
3. 옹주(雍州)-9주의 하나이다. 명칭의 유래는 섬서성 봉상현(鳳翔縣)에 있는 옹산(雍山)과 옹수(雍水)이다. 범위는 일반적으로 섬서성 중부와 북부, 감숙성(甘肅省)과 청해성(靑海省) 및 영하(寧夏) 회족자치구 일대를 가리킨다.
4. 약수(弱水)-고대의 하천 명칭으로, 수심이 얕아 배를 띄울 수 없어서 약수라고 일컬었다. 발원지는 감숙성 산단하(山丹河)이다.
5. 경(涇)-경하(涇河)를 가리키고, 황하 중류의 커다란 지류이다. 발원지는 영하(寧夏)이고 위하(渭河)로 흘러 들어간다.
6. 속(屬)-미칠, 이를 체(逮)와 같다.
7. 위(渭)-2-012-주석24 참고.
8. 예(汭)-물 흘러가는 곳의 북쪽.
9. 칠(漆)-칠수(漆水)를 가리키고, 발원지는 섬서성 칠현(漆縣)으로 주(周) 왕조의 발상지이다.
10. 저(沮)-2-006-주석9 참고.
11. 풍수(灃水)-풍수(酆水), 봉수(丰水) 등으로 쓰며 발원지는 섬서성 장안현(長安縣)이고 위수(渭水)로 흘러 들어간다.
12. 형(荊)-2-010-주석1 참고.
13. 기(岐)-2-005-주석7 참고.
14. 여(旅)-산신에게 제사지낼.
15. 종남(終南)-종남산(终南山)을 가리키고, 달리 태을산(太乙山),지폐산(地肺山), 중남산(中南山), 주남산(周南山)으로 일컫고, 간략하게 남산(南山)으로 일컬었다. 또 천하제일 복지(福地)로 불려졌다.
16. 돈물(敦物)-돈물산(敦物山)을 가리키고, 수산(垂山)으로 일컬었으며, 섬서성(陜西省) 무공현(武功縣)에 있다.
17. 조서(鳥鼠)-산의 명칭이다.
18. 지적(厎績)-2-012-주석12 참고.
19. 도야(都野)-도야택(都野澤)을 가리키고 달리 휴도택(休屠澤)으로 일컬었으며 무위(武威)에 있다.
20. 삼위(三危)-1-018-주석19 참고.
21. 도(度)-택(宅)과 같다. 살, 거주할.
22. 3묘(三苗)-1-018-주석10 참고.
23. 구(璆)-2-012-주석14 참고.
24. 임(琳)-아름다운 옥, 푸른색의 옥.
25. 낭간(琅玕)-옥 비슷한 아름다운 돌, 또는 진주로 나무처럼 만든 장식품, 혹은 전설과 신화에 나오는 선수(仙樹)를 가리킨다. 그 외에 진귀하고 아름다운 물건을 비유할 때 사용한다.
26. 적석(積石)-적석산(積石山)을 가리키고, 달리 마적설산(瑪積雪山)이라고 일컫는다. 청해성(靑海省) 동남부에 있고, 곤륜산(崑崙山)의 갈래이다.
27. 용문(龍門)-황하 중류에 있는 용문산(龍門山)을 가리킨다.
28. 직피(織皮)-2-012-주석19 참고.
29. 곤륜(昆侖)-중국 서쪽에 있는 곤륜산(崑崙山)을 가리키고, 중국 제일의 신산(神山), 옥산(玉山), 만조지산(萬祖之山)이라고 일컬었다.
30. 석지(析支)-1-027-주석21 참고.
31. 거수(渠搜)-1-027-주석22 참고.
32. 서융(西戎)-1-018-주석21 참고.

(국역)
서쪽으로는 흑수에 이르고 동쪽으로는 서하에 이르는 지역은 옹주이다. 약수는 이미 서쪽으로 흐르고, 경수도 위수의 북쪽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칠수와 저수도 이미 다스려져서 위수로 흘러들어갔고, 풍수도 위수로 흘러들어가서 모이게 되었다. 형산과 기산에서는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서 치수의 업적이 완료되었음을 알렸고, 종남산과 돈물산은 물론 오서산에 이르기까지 치수가 완료되었다. 고원지대와 낮고 습한 지역도 치수의 업적을 이루었고 도야택까지 완료하였다. 삼위산(삼위지역)은 이미 치수가 완료되어 백성들이 거주하게 되었고, 3묘 부락도 크게 안정되었다. 이곳의 토양은 누렇고 부드러웠다. 토지는 1등급(상상)이고 토지세는 전국에서 5등급(중중)이었다. 공물(특산물)은 아름다운 옥, 푸른색의 옥, 옥 비슷한 아름다운 돌이 있다. 공물은 선박에 싣고 적석산을 지나서 용문산과 서하에 이르고, 위수 북쪽에서 한군데로 모였다. 동물의 털을 사용하여 만든 카페트는 곤륜, 석지, 거수의 물품이며, 서융 종족도 이미 크게 안정되었다.

사기 강의 보충설명 28

제28강, 2013, 11, 8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葛藤-칡과 등나무 ; 칡은 왼쪽으로 돌고, 등나무는 오른쪽으로 돈다.
* 欲蓋彌彰-《左傳》〈昭公31〉󰡒或求名而不得,或欲蓋而名彰,懲不義也󰡓어떤 사람은 좋은 명성을 얻으려 하지만 얻지 못하고, 어떤 사람은 나쁜 명성을 덮으려고 하지만 이름이 더욱 드러나는데, 이것은 의롭지 못한 것을 벌주려는 것이다.
(내용) 邾國 大夫 黑肱-배반-자신의 영지를 가지고 魯나라에 투항, 소인배로 이름을 역사에 남길 필요 없지만 영토에 관계되어 후세에 교훈을 주려고 남긴다.
1. 黑-불법(黑市, 黑人, 黑社會), 악독(黑心), 성씨(賀로 읽음, 回族)
厚黑學(厚面-뻔뻔, 黑心-음흉함)과 薄白學(薄面-체면, 白心-정상적)
     ∥                                                        ∥
韓非子, 性惡說                               孟子, 性善說
역사서적 공부                               유가경전 공부
毛澤東                                            蔣中正(介石)
覇道, 法家                                      王道, 儒家
2. 同-《論語》〈子路〉󰡒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付(附)和雷同 ; 黨同伐異 ; 唯唯諾諾 ; 隨聲附和-明 · 許仲琳《封神演義》第十一回“崇侯虎不過随聲附和,實非本心。”
3. 旅-500名爲旅
4. 終-姜太公《太公家敎》󰡒一日爲師,終身(生)爲父󰡓; 󰡒弟子事師, 敬同于父󰡓
姓姜, 氏呂, 名尙, 別名望, 字子牙, 別字牙, 別號飛熊, 封太公, 官太師, 尊師尙父, 俗姜太公 ; 終了, 完了, 末了, 滿了, 盛了
5. 敦-梁章鉅《歸田瑣記》〈謝古梅先生〉“先生敦品勵學, 實爲儒宗”-臺灣大學 교훈
6. 序-안정되다
7. 黃壤-황색 토양, 누렇고 부드러운 흙
8. 踰-넘을 逾와 같다
9. 壺-손잡이와 주둥이가 있고 차 또는 술을 담는 도구 ; 瓠 표주박 호와 같다 , 葫 藘甁-호려병(호리병?)
10. 常山-《三國志演義》-常山 趙雲(子龍) 《周易》〈乾〉󰡒雲從龍, 風從虎󰡓
11. 圉-말 키우는 곳, 감옥 ; 囹圄(圉) ; 囚

2013년 11월 3일 일요일

인도의 혁신도시 Magarpatta City

인도의 혁신도시 Magarpatta City를 소개합니다.

뭄바이 동쪽 뿌네 인근에 위치
국내외 정보통신 기업 100여곳, 직원 6만여명, 오피스건물 20여개 아파트 300여동 8400가구, 쇼핑몰, 스포츠센터, 온갖 생활 및 편의시설 구비, 주민 2만여명 등 총 10만명의 자족 혁신도시, 인도속의 별천지, 천당.
상세한 내용은 구글에서 Magarpatta City를 검색하세요.


하본기 12

2-012.
(원문)
華陽黑水惟梁州 : 汶、嶓旣蓺, 沱、涔旣道, 蔡、蒙旅平, 和夷厎績。 其土靑驪。 田下上, 賦下中三錯。 貢璆鐵、銀、鏤、砮、磬, 熊、羆、狐、貍、織皮。 西傾因桓是來, 浮于潛, 踰于沔, 入于渭, 亂于河。

(음역)
화양흑수유양주 : 문、파기예, 타、잠기도, 채、몽여평, 화이지적。 기토청려。 전하상, 부하중삼착。 공구철、은、루、노、경, 웅、비、호、이、직피。 서경인환시래, 부우잠, 유우면, 입우위, 난우하。

(주석)
1. 화양(華陽)-일반적으로 화산(華山)의 남쪽을 가리킨다. 화산은 중국의 유명한 5악(五岳) 중의 하나이고, 서안(西安) 동쪽에 있다.
2. 흑수(黑水)-사천성(四川省) 흑수현(黑水縣)의 흑수하(黑水河)를 가리킨다.
3. 양주(梁州)-고대의 9주(九州)의 하나이다.
4. 문(汶)-문산(汶山), 민산(岷山)을 가리키고, 감숙성(甘肅省) 서남과 사천성(四川省) 북부에 있다.
5. 파(嶓)-파총산(嶓冢山)을 가리키고, 섬서성(陜西省) 영강현(寧强縣)에 있다.
6. 타(沱)-2-010-주석10 참고.
7. 잠(涔)-2-010-주석11 참고
8. 채(蔡)-채산(蔡山)을 가리키고,호북성(湖北省) 황매하향(黃梅下鄕)에 있다.
9. 몽(蒙)-2-008-주석6 참고.
10. 여평(旅平)-산에 제사지내는 것을 여(旅)라 하고, 평은 공적이 완료 된 것을 말한다.
11. 화이(和夷)-고대의 지명으로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사천성(四川省) 형경현(滎經縣)이다. 둘째, 호북성(湖北省) 무당산(武當山) 일대이다.
12. 지적(厎績)-공적을 이루다.
13. 청려(靑驪)-검푸른색.
14. 구(璆)-아름다운 옥으로 경을 만들 수 있다
15. 루(鏤)-조각하는데 쓰는 강철
16. 노(砮)-돌화살촉.
17. 비(羆)-불곰, 갈색 곰.
18. 이(貍)-너구리.
19. 직피(織皮)-동물의 털을 사용하여 만든 카페트.
20. 서경(西傾)-서경산(西傾山)을 가리키고, 청해성(靑海省) 동남부에 있다.
21. 환(桓)-환수(桓水)를 가리키고, 가릉강(嘉陵江) 상류의 백룡강(白龍江) 지류이다.
22. 잠(潛)-잠수(潛水)를 가리키고, 환수(桓水) 부근에 있다.
23. 면(沔)-한강(漢江), 한수(漢水)를 고대에는 면수(沔水)라고 일컬었다.
24. 위(渭)-위수(渭水)를 가리키고, 황하의 가장 큰 지류이다. 발원지는 감숙성(甘肅省) 위원현(渭源縣)이다.
25. 난(亂)-건너다.

(국역)
동쪽으로는 화산의 남쪽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흑수에 이르는 지역은 양주이다. 문산(민산)과 파총산은 이미 곡식을 심을 수 있게 되었고, 타수와 잠수도 벌써 다스려졌다. 채산과 몽산에서는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서 치수의 업적이 완성되었음을 알렸으며, 화이 지역에서도 치수 활동이 완료되었다. 이곳의 토양은 검푸르렀다. 토지는 7등급(하상)이고, 토지세는 전국에서 8등(하중)이지만 풍년에는 7등(하상)을 흉년에는 9등(하하)을 할 경우도 있었다. 공물(특산물)은 아름다운 옥, 강철, 은, 돌화살촉, 경과 곰, 불곰, 여우, 너구리, 동물의 털로 만든 카페트가 있다. 서경산의 공물은 환수를 거쳐서 운송하였고, 다른 공물은 선박에 싣고 잠수를 지나고 면수를 통과하여 위수로 들어와서 황하를 건넜다.

하본기 11

2-011.
(원문)
荊河惟豫州 : 伊、雒、瀍、澗旣入于河, 滎播旣都, 道荷澤, 被明都。 其土壤, 下土墳壚。 田中上, 賦雜上中。 貢漆、絲、絺、紵, 其篚纖絮, 錫貢磬錯。 浮於雒, 達於河。

(음역)
형하유예주 : 이、낙、전、간기입우하, 형파기도, 도하택, 피명도。 기토양, 하토분로。 전중상, 부잡상중。 공칠、사、치、저, 기비섬서, 석공경착。 부어낙, 달어하。

(주석)
1. 형(荊)-2-010-주석1 참고.
2. 하(河)-황하를 가리킨다.
3. 유(惟)-~하다, ~이다.
4. 예주(豫州)-고대 9주(九州)의 하나이고, 하수(河水)와 한수(漢水)의 사이이다. 실제로 행정구획이 된 것은 서한(西漢) 무제(武帝) 시기이다.
5. 이(伊)-이수(伊水)를 가리킨다. 발원지는 웅이산(熊耳山) 남쪽이며 숭현(嵩縣)과 이천(伊川) 및 낙양(洛陽)을 거쳐서 낙수(洛水)로 흘러간다.
6. 낙(雒)-2-010-주석35 참고.
7. 전(瀍)-전수(瀍水)를 가리키고, 발원지는 하남성(河南省) 곡성현(谷城縣)이다.
8. 간(澗)-간수(澗水)를 가리키고, 발원지는 신안현(新安縣) 백석산(白石山)이다.
9. 형파(滎播)-형수(滎水)와 파수(波水)를 가리킨다. 형은 형양(滎陽)이고 파는 파(播)로 읽고 발원지는 하남성(河南省) 노산(魯山)이다.
10. 도(都)-2-008-주석10 참고.
11. 도(道)-다스리다.
12. 하택(荷澤)-9택(九澤)중의 하나이다.
13. 피(被)-널리 미치다.
14. 명도(明都)-9택(九澤) 중의 하나이고, 달리 맹도택(孟潴澤)이라고 일컬었다.
15. 하토(下土)-지대가 낮고 움푹 패인 땅.
16. 분로(墳壚)-비옥하고 검은색의 딱딱한 토양.
17. 치(絺)-2-007-주석13 참고.
18. 저(紵)-모시.
19. 섬서(纖絮)-가늘고 고운 목면.
20. 석공(錫貢)-2-009-주석26 참고.
21. 경착(磬錯)-경(磬)을 갈 때 쓰는 돌을 가리킨다. 옥이나 돌을 갈고 다듬는 것을 착(錯)이라고 한다.

(국역)
서남쪽으로는 형산에 이르고 북쪽으로는 황하에 이르는 지역은 예주이다. 이수, 낙수, 전수, 간수는 이미 황하로 흘러 들어갔고, 형수와 파수도 이미 물이 가득 찬 호수가 되었으며, 9택의 하나인 하택이 다스려지고 명도택까지 널리 이르게 되었다. 이곳의 토양은 지대가 낮고 움푹 파인 땅이지만, 비옥하고 검은 색으로 딱딱하였다. 토지는 4등급(중상)이지만 토지세는 전국에서 2등(상중)이고 때때로 1등(상상)일 경우도 있었다. 공물(특산물)은 옻칠, 비단, 가는 갈포, 모시와 대나무로 만든 원형의 바구니에 담긴 가늘고 고운 목면, 또 천자가 공물을 바치라는 명령이 있으면 경을 갈 때 사용하는 숫돌을 바쳤다. 공물은 선박에 싣고 낙수를 지나서 황하에 도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