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2월 15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20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20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1. 일시 : 2018년 12월 21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교수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중국어 실용능력시험(CPT) /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219회 보충설명

*Amor fati-니체, 삶을 사랑하라 *捉(螃)蟹放水-노력했지만 소득이 없음-한국식 4자성어? *周敦頤《通書》〈聖學〉「聖可學乎? 曰可。有要乎? 曰有要。一爲要。一者, 無慾也。無慾則靜虛動直, 靜虛則明, 明則通。動直則公,公則溥。明通公溥,庶矣乎!」 1.庚-갑골문, 원래는 곡물의 껍질을 바람을 이용하여 날림 ;《說文解字》「庚,位西方,象秋時萬物庚庚有實也」; 바꾸다,《史記》〈律書〉「庚者,言陰氣庚萬物,故曰庚 ; 天干地支,《淮南子》〈天文〉「庚辛申酉戌,金也」; 나이, 貴庚 2.管-篆書, 원래는 관리가 사용하는 붓이나 도장 or 악기 ;《說文解字》「管,如箎,六孔,十二月之音。物開地牙,故謂之管。從竹,官聲。琯,古者玉琯以玉。舜之時,西王母來獻其白琯。前零陵文學姓奚,於伶道舜祠下,得笙玉琯。夫以玉作音,故神人以和,鳳皇來儀也」; 관리인장,《詩經》〈邶(패)風〉「靜女其淑,贈我彤管」; 처리하다,《史記》〈范雎列傳〉「李兌管趙,囚主父於沙丘」; 대나무로 만든 악기,《孟子》〈梁惠王下〉「今王鼓樂於此,百姓聞王鍾鼓之聲,管籥之音」(처음은 옥으로 제작, 나중에 대나무, 구멍은 6개, 길이 1尺) ; 가운데가 빈 원통형 물체,《三國志》〈蜀書〉「夫人心不同,實若其面,子雖光麗,旣美且艶,管窺筐擧,守厥所見,未可以言八肱之形埒(랄),信萬事之精練也」; 館舍(집),《儀禮》〈聘禮〉「管人爲客三日具沐, 五日具浴」; 管樂器(금관-튜바, 호른, 코넷, 트럼펫, 트럼본), (목관-섹소폰, 바순, 오보에, 플루트, 피콜로, 클라리넷) ; 氣管支炎(妻管嚴) * 管 ; 箎 ; 籥 ; 笛 ; 簫 ; 號(號角, 號筒) * 악기재료-金-편종, 石-편경, 玉-琯, 土-壎, 木-柷(축), 瓠-笙, 竹-피리, 革-북, 絲-가야금 ; 악기분류-打, 管, 絃 * 沐(머리), 浴(몸), 澡(손), 洗(발), 濯(발), 漱(양치), 盥(손, 양치)

2018년 12월 12일 수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9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9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1. 일시 : 2018년 12월 14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교수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중국어 실용능력시험(CPT) /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218회 보충설명

1.伐-갑골문, 원래는 다른 사람의 머리를 베다 ; 人+戈=伐 ;《說文解字》「伐,擊也。從人持戈。一曰敗也」;《左傳》莊公29年條「凡師有鐘鼓曰伐,無曰侵」; 정벌하다,《史記》〈廉頗藺相如列傳》「其後秦伐趙」; 口誅筆伐(죄상폭로, 성토);伐叛(討伐叛逆);자랑하다,《史記》〈淮陰侯列傳〉「假令韓信學道謙讓, 不伐己功, 不矜其能, 則庶几哉, 於漢家勛可以比周、召、太公之徒, 后世血食矣」; 좌절시키다,《孫 子》〈謀攻〉「凡用兵之法,全國爲上,破國次之,全軍爲上,破軍次之......是故百戰百勝,非善之善者,不戰而屈人之兵,善之善者也。故上兵伐謀,其次伐交,再次伐兵,最下攻城」; 비평,《論衡》〈問孔》「伐孔子之說,何逆於禮」; 공적,《史記》〈魏公子列傳〉「北救趙而西却秦,此五霸之伐也」;《史記》〈項羽本紀〉「自矜功伐,奮其私智而不師古」;《大學》〈禮記〉「孟獻子曰..畜馬乘,不察於鷄豚。伐冰之家不畜牛羊。百乘之家不畜聚斂之臣,與其有聚斂之臣, 寧有盗臣。此謂國不以利爲利,以義爲利也。」(孟献子-鲁나라 大夫,성은 仲孫, 이름은 蔑 ; 畜-養 ; 乘-4필 말이 끄는 수레 畜馬乘은 士가 大夫의 대우를 받음 ; 察-관심을 두다 ; 伐-매개 ; 伐冰之家-장례지낼 때 시체를 얼음으로 보존하는 재력 있는 집, 고위직의 대우 ; 百乘之家-封地가 있는 제후 아래의 卿으로 실력자의 대우 ; 聚斂之臣-재물을 착취하는 가신 ; 利앞-재물, 뒤-이익) 2.誅-금문, 원래는 범죄자 등에 붉은 색으로 이름을 써서 걸어두고 사형을 집행함 ; 《說文解字》「誅,討也」;《論語》〈公冶長〉「於予與何誅?」;《呂氏春秋》〈愼行論〉「不誅之則爲亂」; 꾸짖다 ; 기록하다,《墨子》「吾以爲古之善者則誅之,今之善者則作之,欲善之益多也」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8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8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1. 일시 : 2018년 12월 7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교수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중국어 실용능력시험(CPT) /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217회 보충설명

1)《列子》〈說符〉「取金之時不見人,徒見金」 2)《淮南子》〈說林訓〉「逐鹿者,不顧兎;決千金之貨者,不爭銖兩之價」 3) 조선 갑부, 林尙沃 「逐鹿者不見山,攫金者不見人」 林尙沃의 독서력--《史記》〈淮陰侯列傳〉「秦失其鹿,天下共逐之」; 戰國·鄭·列御寇《列子》〈說符〉「昔齊人有欲金者, 淸旦衣冠而之市, 適鬻金者之所, 因攫金而去」 4) 김영환--뜻을 얻으려는 자는 욕망을 버려야 하고, 세상을 얻으려는 자는 자기를 비워야 한다. *秋史, 金正喜 글씨-「山崇海深, 遊天戱海」의 출처는? 1)宋, 彭龜年《廣壽》 人孰炎壽,壽莫如德。日新又新,從古不息。 學以明之,先正我心。所欲旣寡,山崇海深。 2)唐, 張彦遠《法書要錄》卷二 「臣謂鍾繇書意氣密麗,若飛鴻戱海,舞鶴游天」 1.奉-금문, 원래는 두 손으로 무성한 식물을 들고 토지 신에게 제사지내다 or 옥을 바치다 ;《左傳》昭公三十二年,「高岸爲谷,深谷爲陵, 社稷無常奉,君臣無常位,自古以然」;《韓非子》〈和氏〉「楚人和氏得玉璞楚山中,奉而獻之勵王,勵王使玉人相之,玉人曰:“石也。”王以和爲逛,而刖其左足。及勵王薨,武王即位,和又奉其璞而獻之武王,武王使玉人相之,又曰:“石也。”王又以爲和逛,而刖其右足。武王薨,文王即位,和乃抱其璞而哭于楚山之下,三日三夜,泣盡而繼之以血。王聞之,使人問其故,曰:“天下之刖者多矣,子奚哭之悲也?”和曰:“吾非悲刖也,悲乎寶玉而題之以石,貞士而名之以逛,此吾之所以悲也。”王乃使玉人理其璞而得寶焉,遂命曰:和氏之璧。」;《莊子》〈說劍〉「太子乃使人以千金奉莊子,莊子弗受」;《史記》〈項羽本紀〉「項伯即入見沛公,沛公奉卮酒爲壽,約爲婚姻, 曰:吾入關,秋豪不敢有所近,籍吏民,封府庫,而待將軍」 2.命-갑골문, 원래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지시를 내림 ; 口+令=命 ;《說文解字》「命,使也」;《文選》「凡尊者之言曰命 ; 大曰命,小曰令」 ;《禮記》〈中庸〉「天命之謂性;率性之謂道;修道之謂敎。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非道也. 是故君子戒慎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莫見乎遠, 莫顯乎微. 故君子慎其獨也」; 蔡邕《獨斷》「出君下臣名曰命,施于竹帛名曰令,奉而行之名曰政。夫命失,則令不行;令不行,則政不正;政不正,則道不通;道不通,則邪臣勝;邪臣勝,則主威傷。」; 명령,《孟子》〈離樓上〉「天下有道,小德役大德,小賢役大賢;天下爲道,小役大,弱役强。斯二者,天也。順天者存,逆天者亡。齊景公曰:既不能令,又不受命。是絶物也,涕出而女於吳」 제205강, 2018, 8월, 24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3伏-초복-중복-10일 ; 중복-말복-20일 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속성 강 약 강 약 강 약 강 약 강 약 오행 목(木),東,靑 寅卯辰 화(火),南,赤 巳午未 토(土),中,黃 (辰未戌丑) 금(金),西,白 申酉戌 수(水),北,黑 亥子丑 계절 봄(春) 여름(夏) 한여름(長夏) 가을(秋) 겨울(冬) (1) 三伏, 庚伏, 庚暑-더위의 극심-가을의 시작 火克金으로 가을의 기운이 오다가 잠시 엎드림 ; 金-庚과 辛이 속함-立秋,以金代火,故至庚日必伏-庚者金-故曰伏 ; 伏-人 +犬-개장, 보신탕, 이열치열 ; 狗, 犬, 尨(글자와 관습상의 구분) ; 伏-《史記正義》에 「隱伏避盛暑」;「金氣伏藏之日」(2)《史記》〈秦本紀〉「德公二年,初伏,以狗御蛊」; 張守節「正義」「蛊(고)者,熱毒惡氣爲傷害人,故磔狗以御之」또「德公2년(BC676年)初次設立伏祭,在城邑四門殺狗祭祀,祛除傳播疾病的暑氣」즉 以狗御蠱-토지신에게 제사 祀社-磔찢을(책)-禳제사지내서 물리칠(양)(3)입춘-木봄代水겨울-水겨울生木봄 ;입하-火여름代木봄-木봄生火여름 ; 입추-金가을代火여름-火여름生土한여름, 土한여름生金가을 ; 입동-水겨울代金가을-金가을生水겨울 ; (4)개고기 ? ;《禮記》〈曲禮〉疏..大者爲犬, 小者爲狗。; 尨-多毛 ; 高大 ; 雜色 ; 유목-개,양 , 농경-개,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