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28일 토요일

사기 강의 보충설명 34

제34강, 2013, 12, 27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倒行逆施-교수신문 올해의 한자 ; 출처-《史記》〈伍子胥列傳〉:“吾日暮途遠,故倒行而逆施之󰡓 내용-부친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초나라 공격, 평왕의 묘를 파헤치고 시신에 째찍 300대를 때리면서 했던 말. 의미-원래는 상식을 위반하고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행하는 것 요즘은 시대의 조류나 백성의 뜻에 위반하는 행동을 하는 것(橫行覇道). 반대-順其自然

*우희종교수의 청동기 글자와 동물?
순서-寶進財招가 아니고, 招財進寶 ; 항아리 입구-금두꺼비(개구리) ; 양쪽 가운데 동물-豼貅-催財辟邪 ; 康熙御製 ; 풍수상 북쪽에 놓거나 큰 것은 실제 재물을 담기도 한다.

1. 丹朱-요의 아들, 바둑의 시조
2. 若-너, 같다, 만약(如果)
3. 維-唯(오직), 이다, 되다
4. 娶-장가들다, 가다, 보내다, 남자가 여자집에 가는 것 丈家 ; 嫁-시집오다, 보내다, 여자가 남자집에 오는 것 出嫁 ; 󰡒男以女爲室,女以男爲家󰡓家-재산(경제)권과 밀접한 관련
5. 不子-자식으로 여기지 않다. 《戰國策》󰡒貧窮則父母不子, 富貴則親戚畏懼󰡓
6. 輔-疑承輔弼
7. 薄-가까이 日薄西山
8. 咸-모두, 전부
9. 頑-어리석고(頑愚), 고집(頑固), 흉악(頑惡-소수민족에 대한 멸시 칭호)
10. 道-행정구역, 천명하다

《논어》〈학이〉
(원문)
有子曰:禮之用,和爲貴。先王之道,斯爲美;小大由之。有所不行,知和而和,不以禮節之,亦不可行也。
有子曰:信近于義,言可復也;恭近于禮,遠耻辱也;因不失其親,亦可宗也。

(주석)
禮-일반적인 예, 의례, 또는 《周禮》, 또는 3례《周禮》《儀禮》《禮記》
用-시행
和-조화(harmony), 樂을 가리킴-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것.
先王-옛날의 성왕, 성군
斯-이, 이것, 此,這, 和
小大-小事 大事
節-절제,구속
信-믿음, 신용
近-접근, 부합하다
義-사상과 행위가 禮에 부합하는 것을 말함.
復-실천
遠-멀어진다, 멀리하다, 피하다
因-그렇기 때문에, 朱子는 의지하려고 하는 사람으로 해석
親-부모, 가까운 사람
宗-존중, 主, 받들 만하다

하본기 22

(원문)
帝曰 : “毋若丹朱傲, 維慢游是好, 毋水行舟, 朋淫于家, 用絶其世。 予不能順是。” 禹曰 : “予娶塗山, 辛壬癸甲, 生啓予不子, 以故能成水土功。 輔成五服, 至于五千里, 州十二師, 外薄四海, 咸建五長, 各道有功。 苗頑不卽功, 帝其念哉。” 帝曰 : “道吾德, 乃女功序之也。”

(음역)
제왈 : “무약단주오, 유만유시호, 무수행주, 붕음우가, 용절기세。 여불능순시。” 우왈 : “여취도산, 신임계갑, 생계여부자, 이고능성수토공。 보성오복, 지우오천리, 주십이사, 외박사해, 함건오장, 각도유공。 묘완불즉공, 제기념재。” 제왈 : “도오덕, 내여공서지야。”

(주석)
1. 단주(丹朱)-1-015-주석3 참고.
2. 유(維)-이다, 되다.
3. 만유(慢游)-방탕하며 노닐다.
4. 명음(朋淫)-간사한 자들이 무리를 지어 결탁하여 음란한 짓을 하다.
5. 도산(塗山)-달리 도산(涂山)으로 쓰며,동산(東山)으로 일컫는다. 고대 도산국(涂山國)의 소재지이고 안휘성(安徽省) 방부시(蚌埠市) 서쪽에 있다. 이곳에 거주하는 도산씨(涂山氏) 종족의 여성은 우(禹)의 부인이 되어 아들 계(啓)를 낳았다고 한다. 중국 상고 신화에 하족(夏族)의 시조신은 도산씨이고, 하족은 후에 중국 최초의 왕조인 하(夏)를 건국하였다.
6. 신임계갑(辛壬癸甲)-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오직 한 마음으로 공적인 일만 생각하는 것, 즉 개인의 사익을 고려하지 않는 정신을 말함. 둘째, 신일(辛日)에 결혼하고 4일 후인 갑일(甲日)에 치수하러 집을 떠남을 가리킴.
7. 계(啓)-우(禹)의 아들이고 성은 사씨(姒氏)이며 하의 2대 왕이다. 우는 왕위를 익(益)에게 양위했으나 백성의 추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계는 선양제(禪讓制)를 타파하고 세습제(世襲制)를 확립한 최초의 군주이다.
8. 보(輔)-보좌하다.
9. 5복(五服)-1-026-주석34 참고.
10. 사(師)-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고대의 지방행정 구획 단위이다. 1가(家)는 5-8명이고, 8가를 린(鄰), 3린을 붕(朋), 3붕을 리(里), 5리를 읍(邑), 10읍을 도(都), 10도를 사(師), 12사를 주(州)라고 한다. 둘째, 군대의 편제 단위로 1사는 2,500명이다. 여기서는 첫째의 의미이다.
11. 박(薄)-박(迫)과 통하고, 접근하다, 가까이 가다.
12. 4해(四海)-2-016-주석10 참고.
13. 5장(五長)-제후가 통치하는 5개의 국가에 어진 사람 1명을 방백(方伯)으로 임명하고, 그 사람을 제후의 우두머리로 삼아 통치하게 하였는데 이것을 5장이라고 한다.
14. 묘(苗)-1-018-주석10 참고.
15. 완(頑)-완고하고 어리석음.
16. 도(道)-선양하다.
17. 서(序)-실마리, 단서.

(국역)
순이 말하기를 󰡒단주처럼 오만방자하지 말아야 한다. 그는 단지 방탕하게 노니는 것만 좋아하였고, 물이 없는 육지에서 배를 타고 다녔으며, 집에서도 간사한 무리와 결탁하여 음란한 짓을 하여, 그의 후대가 단절되었다. 나는 이러한 행위를 용납할 수 없다.󰡓 우가 말하기를 󰡒저는 도산씨의 여성을 아내로 맞아들이고, 결혼하고 4일후에 집을 떠나 치수를 담당하러 갔을 정도로 오직 한마음으로 공적인 것만 살폈으며, 아들 계가 태어났어도 집으로 돌아가서 친히 자식을 교육시키지도 않았고, 그래서 능히 치수의 공적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또 천자를 보좌하여 5복 제도를 완성하였고, 영토는 5천리에 이르게 하였으며, 각 주에는 8가, 3린, 3붕, 5리, 10읍, 10도, 12사의 체제로 편제하였고, 수도 밖으로는 동해, 서해, 남해, 북해까지 이르렀으며, 제후가 통치하는 5개의 국가에 어진 사람 1명을 방백으로 임명하고 제후의 우두머리가 되어 통치하게 하는 5장 제도를 두어, 각기 해당 지역을 통치하여 업적을 이루었습니다. 오직 묘족만이 완고하고 어리석어 다스리지 못했으니, 천자께서는 이것을 염두에 두십시요.󰡓 순이 말하기를 󰡒나의 정치와 교화가 널리 선양된 것은, 모두 너의 업적이 실마리가 된 것이다.󰡓

동양고전아카데미 재35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35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1월 3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한일문화교류센터(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 출제위원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2013년 12월 22일 일요일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4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34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12월 27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한일문화교류센터(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 출제위원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3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33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12월 20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한일문화교류센터(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 출제위원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하본기 21

2-021.
(원문)
禹曰 : “於, 帝! 愼乃在位, 安爾止。 輔德, 天下大應。 淸意以昭待上帝命, 天其重命用休。” 帝曰 : “吁, 臣哉, 臣哉! 臣作朕股肱耳目。 予欲左右有民, 女輔之。 余欲觀古人之象。 日月星辰, 作文繡服色, 女明之。 予欲聞六律五聲八音, 來始滑, 以出入五言, 女聽。 予卽辟, 女匡拂予。 女無面諛。 退而謗予。 敬四輔臣。 諸衆讒嬖臣, 君德誠施皆淸矣。” 禹曰 : “然。 帝卽不時, 布同善惡則毋功。”

(음역)
우왈 : “어, 제! 신내재위, 안이지。 보덕, 천하대응。 청의이소대상제명, 천기중명용휴。” 제왈 : “우, 신재, 신재! 신작짐고굉이목。 여욕좌우유민, 여보지。 여욕관고인지상。 일월성신, 작문수복색, 여명지。 여욕문육률오성팔음, 래시골, 이출입오언, 여청。 여즉벽, 여광불여。 여무면유, 퇴이방여。 경사보신。 제중참폐신, 군덕성시개청의。” 우왈 : “연。 제즉불시, 포동선악즉무공。”

(주석)
1. 우(禹)-1-026-주석5 참고.
2. 신(愼)-삼가 할.
3. 안이지(安爾止)-행동거지를 편안하게 하고, 경거망동하지 않으면.
4. 보덕(輔德)-조현보덕(助賢輔德), 즉 덕이 있는 사람을 등용하여 보좌하게 하다.
5. 청의(淸意)-청정한 마음.
6. 소대(昭待)-천명을 기다린다.
7. 중명(重命)-중은 중복의 의미로, 거듭 중대한 사명을 부여하다.
8. 용휴(用休)-용미(用美)와 통하고, 미는 상서로움을 의미한다.
9. 고굉(股肱)-다리와 팔, 즉 가장 믿는 중요한 신하를 가리킴.
10. 좌우유민(左右有民)-좌우조민(左右助民), 즉 천하의 백성을 돕다.
11. 상(象)-고대 귀족의 복식(服飾)에 있는 각종 그림.
12. 문수복색(文繡服色)-수를 놓은 문양과 복식의 색채.
13. 6률(六律)-고대에 음악의 높고 낮음의 표준을 확정한 것으로 12률이 있다. 즉 황종(黃鍾), 대려(大呂), 태족(太簇), 협종(夾鍾), 고선(姑洗), 중려(中呂), 유빈(蕤賓), 임종(林鍾), 이칙(夷則), 남려(南呂), 무역(無射), 응종(應鍾)이고, 그 중에서 1, 3, 5, 7, 9, 11번째의 6개를 양률(陽律) 즉 6률(六律)이라고 한다. 또 2, 4, 6, 8, 10, 12번째의 6개를 음률(陰律) 즉 6려(六呂)라고 한다. 위의 6률과 6려를 합하여 율려(律呂)라고 일컫는다.
14. 5성(五聲)-5음(五音)이라고 일컬으며, 고대의 5음계중의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이고, 현재 음계의 1, 2, 3, 5, 6의 5음계에 해당한다. 후대에 변궁(變宮), 변치(變徵)가 더해져서 7음계가 되었다.
15. 8음(八音)-1-026-주석54 참고.
16. 내시골(來始滑)-물(曶)로서 신하가 군주를 만날 때 손에 잡고 있는 물건이다. 또 시(始)는 다스리다의 의미이고, 골(滑)은 어지러울, 혼탁할의 의미이다. 즉 치세와 난세의 상황을 살피다.
17. 5언(五言)-인, 의, 예, 지, 신 5덕의 언론.
18. 즉(卽)-만약.
19. 벽(辟)-허물.
20. 광불(匡拂)-바르게 바로잡고 보필하다.
21. 면유(面諛)-면전에서 아첨하며 따르는 것.
22. 방(謗)-뒤에서 헐뜯음.
23. 4보신(四輔臣)-천자를 보필하는 4명의 신하로 앞에는 의(疑),뒤에는 승(丞),왼쪽에는 보(輔),오른쪽에는 필(弼)이라고 한다.
24. 참폐신(讒嬖臣)-남을 헐뜯거나 아첨으로 총애 받는 신하.
25. 즉불시(卽不時)-즉은 혹(或)이고, 시는 시(是)이다. 즉 혹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의미이다.
26. 포동선악(布同善惡)-포는 널리 미칠 부(敷, 溥)와 통하여 부동(溥同)으로 쓰며, 어질고, 어리석고, 착하고, 나쁜 자를 똑같이 대우하고 구별을 두지 않는 것을 가리킴.

(국역)
우가 말하기를 󰡒오, 천자시여! 근신하는 태도로 천자의 자리에 계시면서, 행동거지를 안정되게 하고 경거망동하지 마십시요. 덕이 있는 인물을 등용하여 보좌하게 하면, 천하가 모두 당신의 교화에 순응하게 될 것입니다. 당신의 청정한 마음으로 상제의 천명을 기다리면, 하늘은 거듭 중대한 사명을 부여하고 상서로움을 내려 줄 것입니다.󰡓 순이 말하기를 󰡒오, 신하들이여, 신하들이여, 그대들은 내가 가장 믿는 중요한 신하(팔, 다리, 눈, 귀의 역할을 하는)가 되어 주시요. 내가 천하의 백성을 도우려고 생각하니, 그대들은 나를 보좌해주시요. 나는 고대 귀족의 복식에 있는 각종 도안(그림)을 관찰하려고 합니다. 해와 달과 별을 도안으로 하여 자수를 놓고 복식의 색채를 결정하려고 하니, 그대들은 나의 뜻을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요. 나는 황종, 태족, 고선, 유빈, 이칙, 남려, 무역의 6가지 음률과 궁, 상, 각, 치, 우 5가지 음계와 쇠, 돌, 실, 대나무, 바가지, 흙, 가죽, 나무의 8가지 악기가 내는 소리를 듣고 치세와 난세의 상황을 살피고, 인, 의, 예, 지, 신 5덕에 부합하는 언론을 받아들이려하니, 그대들은 자세히 들으시요. 내가 만약 허물이 있으면, 그대들이 바르게 바로잡고 보필해 주시요. 그대들은 면전에서 아첨하며 따르지 말고 뒤에서 헐뜯지도 마시요. 전후좌우에서 보필하는 4명의 신하를 공경할 것입니다. 다수의 남을 헐뜯거나 아첨으로 총애 받는 신하들도 군주의 덕치가 진정으로 널리 시행되면 모두 깨끗이 정리될 것이요.󰡓 우가 말하기를 󰡒그렇습니다. 천자가 만약 그렇게 하지 않고, 어질고, 어리석고, 착하고, 나쁜 자를 똑같이 대우하고 구별을 두지 않게 되면 업적을 이룰 수 없습니다.󰡓

사기 강의 보충설명 33

제33강, 2013, 12, 20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食-먹을, 먹일(사), 사람이름(이) ; 酈食其-역이기
葉-엽, 성씨 (섭, Xie) 중국에서는 모두 엽으로 ye ; 石-중량을 나타낼 때는 (단, dan)
* 齊白石-새우그림의 의미 龍蝦, 王蝦-왕이 되라 ; 무리져서-화합의 의미 ; 왕성한 번식- 자손 번식 ; 구부린 모양-겸손과 도약 ; 긴수염-노인-바다의 노인(海老)-偕老 ; 단단한 껍질-건강을 의미 ; 껍질 있어도 행동자유-자유,순리 의미 ; 갑옷을 걸친 것-甲-장원급제 ; 물에 사는 신선-水仙-壽仙을 의미 등...
1. 愼-愼乃在位-乃-당신, 你-임금의 자리에 있으면 당신은 매사를 삼가십시요
2. 安爾止-安汝之所止-止-行動擧止-無輕擧妄動-動則憂民 ; 《诗经》〈小雅〉“戰戰兢兢, 如 臨深淵,如履薄冰。”
3. 輔德-輔佐德行 ; 어진 자는 도와주고 助賢, 덕 있는 자는 보좌하고 輔德
4. 應-순응, 응답
5. 股肱耳目-가장 믿는 신하 唐, 吳兢의《貞觀政要》󰡒耳目股肱󰡓태종과 신하들간의 정치 문답
6. 左右-천하
7. 有民-助民, 백성을 돕다
8. 日月星辰-상의에 그리는 6가지-日, 月, 星辰 +山, 龍, 華蟲(야생조류) ; 하의에 수놓는 6 가지-宗彛(종묘제기 술병), 藻(水草), 粉米(白米), 黼(보,도끼모양 수놓음), 黻(불,己자를 서 로 맞 닺도록 수놓은 것) ; 襆子(胸背-文官-학, 금계, 공작, 기러기, 백조 武官-기린, 사 자, 표범, 호랑이, 곰) ; 한국-日月五峰圖(해, 달, 봉우리, 폭포, 소나무)-《詩經》〈天保〉 󰡒如月之恒,如日之升。如南山之壽......如松柏之茂󰡓 ; 도교와 관련설
9. 來始滑-在治忽 ; 滑-옛날의 음으로 골-혼탁하고 어지러운 것을 다스리려는 것이다.
10. 出入-出納
11. 匡拂-匡正, 바로잡다

《論語》〈學而〉
曾子曰:「愼終,追遠,民德歸厚矣。子禽問於子貢曰:夫子至於是邦也,必聞其政,求之與?抑與之與?子貢曰:夫子温、良、恭、儉、讓以得之。夫子之求之也,其諸異乎人之求之與? 子曰:父在,觀其志;父沒,觀其行;三年無改於父之道,可謂孝矣。
終-부모 돌아가심, 상을 당하여 예를 다하고 ; 遠-조상, 제사지낼 때 정성을 다함. ; 子禽-성은 陳,이름은 亢,자는 子禽 ; 子貢-성은 端木 이름은 賜 자는 子貢, 6년 守墓(廬墓) ; 夫子:고대에 사람에 대한 존칭-나중에 선생님을 가리킴 ; 是-이, 어떤 하나 ; 聞-상황을 인지하다 ; 求之-스스로 구하다 ; 與-의문사 ; 抑-또한, 아니면 ; 與之-주어진 것 ; 良-진실, 善良 ; 讓-謙讓 ; 其諸-추측할 때 사용, 大概、或者 ; 其-아들 ; 三年-3년, 여러 해
**五禮 ; 生-冠婚 ; 死-喪祭 ; 冠婚-嘉禮 ; 喪祭-凶禮,吉禮 ; 凶禮-愼終 ; 吉禮-追遠
**追遠報本 ; 飮水思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