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 9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11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11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월 22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인생이모작센터(종로3가역 3번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10회 보충 설명

1. 釋-원래는 분해(분리)하다 ;《說文解字》󰡒釋,解也󰡓; 해석하다,《國語》〈吳語〉󰡒(夫差)乃使行人奚斯釋言於齊󰡓; 석방하다,《史記》〈屈原賈生列傳〉󰡒懷王竟聽鄭袖,復釋去張儀󰡓; 포기하다,《呂氏春秋》〈察今〉󰡒故釋先王之法,而法其所以爲法󰡓; 내려놓다,《莊子》〈養生主〉󰡒庖丁释刀對曰..“臣之所好者道也,進乎技矣。始臣之解牛之時,所見無非全牛者。三年之後,未嘗見全牛也󰡓;사라지다,《國語》〈晋語〉󰡒雖欲愛君,惑不釋也󰡓; 출가자의 자칭, 東晋 이후, 釋00
2. 箕-갑골문, 원래는 대나무 바구니, 본래 글자는 其 ; 《說文解字》󰡒箕,簸也󰡓; 바구니,《禮記》〈學記〉󰡒良冶之子,必學爲裘;良弓之子,必學爲箕;始駕馬者反之,車在馬前。君子察於此三者,可以有志於學矣󰡓; 성씨 ; 별자리 이름(28宿, 동방7宿)
* 28宿-28수는 하늘의 적도를 따라 그 부근에 있는 별들을 28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부른 이름이다. 편의상 7개씩 묶어 동서남북의 네 방향에 분속시켰다. 東方7舍의 주 별자리는 火星(하지의 표준 별). 28수 중 춘분날 초저녁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角을 시작으로 차례로 떠오르는 항(亢)·저(氐)·방(房)·심(心)·미(尾)·기(箕)의 별자리를 말한다. 北方7舍의 주 별자리는 虛星(추분의 표준 별). 하짓날 초저녁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두(斗)를 시작으로 우(牛)·여(女)·허(虛)·위(危)·실(室)·벽(壁)을 말한다. 西方7舍의 주 별자리는 昴星(동지의 표준 별). 추분날 초저녁 동쪽 지평선 위를 떠오르는 규(奎)를 시작으로 누(婁)·위(胃)·묘(昴)·필(畢)·자(觜)·삼(參)의 별자리를 말한다. 南方7舍의 주 별자리는 鳥星(춘분의 표준 별). 동짓날 초저녁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정(井)을 시작으로 귀(鬼)·유(柳)·성(星)·장(張)·익(翼)·진(軫)의 별자리이다. 달의 운동을 기준으로 본다면 달은 角에서 시작하여 계속 동쪽으로 움직여 약 28일 동안 軫까지 이동함.
3. 囚-갑골문, 원래는 죄인이나 노예를 감금함 ;《說文解字》󰡒 囚,系也󰡓;《史記》〈報任安書〉󰡒韓非囚秦󰡓;《韓非子》〈難四〉󰡒景公乃囚陽虎󰡓
4. 畢-갑골문, 원래는 그물을 쥐고 새로 잡음 ; 《說文解字》󰡒畢,田網也󰡓; 끝나다,《史記》〈項羽本紀〉(鴻門宴)󰡒入前爲壽, 壽畢,請以舞劍, 因擊沛公於坐, 殺之󰡓; 생일축하 말󰡒壽比南山, 福如東海󰡓,《詩經》〈小雅〉“如日之恒,如月之升,如南山之壽,不騫不崩”; 별자리, 西方白虎7宿의 第5宿 ; 전부, 모두
5. 表-갑골문, 원래는 동물 모피로 만들어 바깥에 입는 옷 or 毛衣 ;《說文解字》󰡒表,上衣也󰡓; 상의,《論語》󰡒必表而出之󰡓; 바깥쪽, 表裏相應 ; 表裏不同 ; 표상(標와 통), 萬世師表(孔子) ;《禮記》〈表記〉󰡒仁者,天下之表也󰡓; 황제에게 올리는 글,《出師表》󰡒今當遠離, 臨表涕零, 不知所言󰡓; 사촌 등 방계, 表姉(姐), 表妹, 表兄, 表弟
6. 容-갑골문, 원래는 동굴에 몸을 숨기다 ;《說文解字》󰡒容,盛也󰡓; 받아들이다,《易經》󰡒君子以容民畜衆󰡓; 외모,《管子》〈内業〉󰡒全心在中,不可蔽匿,和於形容,見於膚色󰡓;《戰國策》〈秦策〉󰡒(蘇秦)形容枯槁,面目犁黑,狀有歸色󰡓; 관용 ; 윤허......
7. 閭-원래는 골목으로 난 문 ;《說文解字》󰡒閭,里門也󰡓; 25家,《周禮》〈大司徒〉󰡒令五家爲比, 使之相保, 五比爲閭, 使之相愛󰡓; 향리 ; 성씨
8. 命-갑골문, 원래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지시를 내림 ; 口+令=命 ;《說文解字》󰡒命,使也󰡓;《文選》󰡒凡尊者之言曰命󰡓; 大曰命,小曰令 ;《禮記》〈中庸〉󰡒天命之謂性;率性之謂道;修道之謂敎。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非道也. 是故君子戒慎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莫見乎遠, 莫顯乎微. 故君子慎其獨也󰡓; 蔡邕《獨斷》󰡒出君下臣名曰命,施于竹帛名曰令,奉而行之名曰政。夫命失,則令不行;令不行,則政不正;政不正,則道不通;道不通,則邪臣勝;邪臣勝,則主威傷。󰡓; 명령,《孟子》〈離樓上〉󰡒天下有道,小德役大德,小賢役大賢;天下爲道,小役大,弱役强。斯二者,天也。順天者存,逆天者亡。齊景公曰:既不能令,又不受命。是絶物也,涕出而女於吳󰡓
9. 南-갑골문, 원래는 중국 남쪽지방에서 유행하던 때리는 악기 ; 중국 남방,《出師表》󰡒今南方(川之西南、滇之北部)已定󰡓;《莊子》〈盗跖〉󰡒孔子曰..“丘聞之,凡天下有三德:生而長大,美好無雙,少長貴賤見而皆說之,此上德也;知維天地,能辯諸物,此中德也;勇悍果敢,聚衆率兵,此下德也。凡人有此一德者,足以南面稱孤矣󰡓; 賈誼《過秦論》,󰡒因遺策,南取漢中,西擧巴蜀,東割膏腴之地󰡓; 불교 南無, namas, 존경
10. 宮-갑골문, 원래는 창문이 많은 대형건축물 ;《說文解字》󰡒宮,室也󰡓; 宮室-집,《爾雅》〈釋宮〉󰡒宮謂之室, 室謂之宮󰡓;《釋文》󰡒秦漢以來, 惟王者所居稱宮焉󰡓;《戰國策》〈齊策〉󰡒君宮中積珍寶,狗馬實外廐󰡓;《史記》〈留侯世家〉󰡒沛公入秦宮󰡓;《史記》〈秦始皇本紀〉󰡒作宮阿旁,故天下謂之阿房宮󰡓;《孟子》〈滕文公上〉󰡒且許子何不爲陶冶, 舍皆取諸其宮中而用之󰡓;《戰國策》〈齊策〉󰡒君宮中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