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12일 토요일

하본기 7

2-007.
(원문)
海岱維靑州 : 堣夷旣略, 濰、淄其道。 其土白墳, 海濱廣潟, 厥田斥鹵。 田上下, 賦中上。 厥貢鹽絺, 海物維錯, 岱畎絲、枲、鉛、松、怪石, 萊夷爲牧, 其篚酓絲。 浮於汶, 通於濟。
(음역)
해대유청주 : 우이기략, 유、치기도。 기토백분, 해빈광석, 궐전척로。 전상하, 부중상。 궐공염치, 해물유착, 대견사、시、연、송、괴석, 래이위목, 기비염사。 부어문, 통어제。
(주석)
1. 해(海)-중국의 동쪽 바다, 또는 발해(渤海)를 가리킨다.
2. 대(岱)-1-005-주석2 참고.
3. 청주(靑州)-고대 9주의 하나이고 범위는 대체적으로 태산(泰山) 이동에서 발해(渤海)에 이르는 지역을 가리킨다.
4. 우이(堣夷)-고대의 지명으로 산동성(山東省) 등주(登州)를 가리킨다.
5. 략(略)-다스리다.
6. 유(濰)-유하(濰河)를 가리키고 고대에는 유수(濰水)라고 일컬었다. 발원지는 산동성(山東省) 거현(莒縣) 기옥산(箕屋山)이다.
7. 치(淄)-치하(淄河)를 가리키고, 달리 치수(淄水), 치강(淄江)으로 일컬었으며, 산동성의 중요 하천중의 하나이다.
8. 도(道)-소통되다.
9. 백분(白墳)-희고 비옥하다.
10. 석(潟)-조수가 드나들어 염분이 많이 섞인 땅.
11. 궐(厥)-기(其), 그.
12. 척로(斥鹵)-염분이 많아서 곡식이 안 되는 땅.
13. 치(絺)-가는 갈포(葛布)로 만든 옷.
14. 해물(海物)-바다에서 생산되는 물품.
15. 견(畎)-산골짜기, 밭 중간의 도랑.
16. 시(枲)-모시풀, 또는 마(麻)의 섬유.
17. 연(鉛)-납.
18. 래이(萊夷)-상고시대 산동성(山東省)의 중부와 동부에서 활동하던 동이족(東夷族)의 일파이다.
19. 비(篚)-2-006-주석15 참고.
20. 염사(酓絲)-누에가 산뽕나무 잎을 먹고 토해낸 실.
21. 문(汶)-문하(汶河)를 가리키고, 옛날에는 문수(汶水)라고 일컬었다. 발원지는 산동성 임구현(臨胊縣) 남쪽이고 유하(濰河)로 흘러 들어간다.
22. 濟-2-006-주석1 참고.
(국역)
동쪽으로는 바다에 이르고 북쪽으로는 태산에 이르는 곳은 청주이다. 우이는 이미 다스려졌고, 유수와 치수도 소통되었다. 이곳의 토양은 희고 비옥하며, 바닷가에는 넓고 조수가 드나들어 염분이 많은 땅이 있으며, 이곳의 땅도 염분이 많아서 곡식이 잘 안 되는 땅이다. 토지는 3등급(상하)에 속하지만 토지세는 전국에서 4등(중상)이었다. 이곳의 공물(특산품)은 소금, 가는 갈포로 짠 옷과 바다에서 생산되는 해산물이 섞여 있으며, 또 태산의 산골짜기에서 생산되는 비단, 모시풀, 납, 소나무, 기이한 형상의 돌이 있고, 래이의 공물은 축목제품으로 대나무로 만든 원형의 바구니에 담긴 누에가 산뽕나무 잎을 먹고 토해낸 실이 있다. 공물은 선박에 싣고 문수를 지나서 제수로 운송되었다.

하본기 6

2-006.
(원문)
濟、河維沇州 : 九河旣道, 雷夏旣澤, 雍、沮會同, 桑土旣蠶, 於是民得下丘居土。 其土黑墳, 草繇木條。 田中下, 賦貞, 作十有三年乃同。 其貢漆絲, 其篚織文。 浮於濟、漯, 通於河。
(음역)
제、하유연주 : 구하기도, 뇌하기택, 옹、저회동, 상토기잠, 어시민득하구거토。 기토흑분, 초요목조。 전중하, 부정, 작십유삼년내동。 기공칠사, 기비직문。 부어제、탑, 통어하。
(주석)
1. 제(濟)-제하(濟河)를 가리키고, 제수(濟水)라고 일컫는다. 하남성(河南省) 제원시(濟源市)에서 발원하여 산동성(山東省)을 거쳐 발해(渤海)로 들어간다. 산동성의 제남(濟南), 제령(濟寧), 제양(濟陽)은 모두 제수로 말미암아 명칭을 지은 것이다.
2. 하(河)-황하.
3. 유(維)-시(是)와 같고, 이다, 그렇다 의미이다.
4. 연주(沇州)-연(兖)은 고대에 연(沇)으로 썼다. 즉 연주(兗州)는 연주(沇州)로 기록하였고, 산동성(山東省) 서남부를 가리킨다.
5. 9하(九河)-1-027-주석16 참고.
6. 도(道)-소통되다.
7. 뇌하(雷夏)-1-027-주석15 참고. 9택 중의 하나이다.
8. 옹(雍)-옹수(雍水)이고, 섬서성(陜西省) 봉상현(鳳翔縣) 옹산(雍山)에서 발원하여 동남으로 흐른다.
9. 저(沮)-저하(沮河)이고, 고대에는 희수(姬水)라고 일컬었다. 발원지는 자오령(子午嶺) 동쪽 기슭이다.
10. 분(墳)-비옥할.
11. 요(繇)-무성하다.
12. 조(條)-긴 가지가 높게 자라다.
13. 정(貞)-《사기삼가주(史記三家注)》에 의하면, 정(正)이고, 토지세는 하하(下下) 즉 9등급이라고 함.
14. 칠사(漆絲)-칠기와 비단.
15. 비(篚)-대나무로 만든 원형의 바구니.
16. 직문(織文)-고대에 일종의 채색 꽃무늬가 있는 비단으로 만든 제품이다.
17. 부(浮)-지날, 통과할 .
18. 탑(漯)-탑하(漯河)이고 하남성(河南省) 중남부에 있다.
(국역)
제수와 황하 사이는 연주이다. 9개의 하천은 이미 소통되었고, 뢰하도 이미 저수지가 되었으며, 옹수와 저수는 모여서 하나가 되었고, 땅에는 뽕나무를 심고 누에를 길렀으며, 그래서 백성들은 언덕 아래로 내려와서 평지에 거주하였다. 이곳의 토양은 검고 비옥하였으며, 풀은 무성하고 나무는 가늘고 긴 가지가 자랐다. 토지는 6등급(중하)이지만 토지세는 전국에서 9등(하하)으로, 치수한지 13년이 지나서 다른 8개 주의 토지세와 같아졌다. 이곳의 공물(특산물)은 칠과 비단, 대나무로 만든 원형바구니에 담긴 채색 꽃무늬로 짠 비단제품이 있다. 공물은 선박에 싣고 제수와 탑수를 지나서 황하로 운송되었다.

사기 강의 보충설명 24

제24강, 2013, 10, 11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올바른 한국어
한국-음식(飮食), 조리(調理) ; 조리사(調理師) ; 채소(菜蔬)
중국-餐, 烹飪, 作(做)菜 ; 廚師傅(추스푸-chef)) ; 蔬菜(수차이)
廚=广(집 엄)+尌(세울, 하인 주)
《孟子》〈梁惠王 上〉󰡒君子之于禽獸也,見其生,不忍見其死;聞其聲,不忍食 其肉。是以君子遠庖廚也󰡓
일본-料理(りょうり) ; 調理師(ちょうりし,庖丁者ほぅちょうじゃ) ; 野菜(やさい)
*중국어-토기-學問的 語文으로 무궁무진
일본어-토기+유약-학문적 어문으로 한글의 수백배
인도 유럽어(영어)-자기-학문적 어문으로 무궁무진
한글-도자기 중의 최고 청자-학문적 어문으로 존재 의문?

1. 會同-匯合 물이 만나다 ; 고대에 제후가 천자를 만나는 것을 일컬음 《周禮》〈春官〉“時見曰會,殷(衆)見曰同󰡓
2. 桑-《說文解字》󰡒蠶所食葉木󰡓 桑葚(오디)
3. 蠶-중국북부 원산, 3000년전 인공 양잠의 기록. 즉 夏나라 이전에 양잠 시작. 商나라 시기에 女蠶이라는 官吏를 두어 관리하게 함. 蠶神은 嫘(累)祖(黃帝 부인) 이다.
4. 墳-무덤 ; 토질이 비옥함
5. 貞-점, 정결, 지조 ; 貞女(연지와 곤지, 족두리)와 還鄕女
6. 通-왕래, 유통, 통행
7. 海-渤海灣의 발해
참고로 고구려 귀족 大祚榮이 고구려 유민과 靺鞨族+契丹+庫莫奚族과 연합하여 건립한 국가-동북공정 이후 말갈족 대조영이......건립한 唐나라의 속국
8. 浮-浮游 ; 浮沈 ; 浮生若夢-󰡒人生若夢,爲歡幾何? , 李白〈春夜宴從弟桃花園序〉
9. 蓺-심을 藝
10. 厎平-원상태 회복, 평탄
11. 埴-황색 점토
12. 夏狄-夏翟으로 쓴다. 夏翟秋飛
13. 桐-동나무는 여러종류-梧桐
어머니 돌아가실 때 쓰는 지팡이 ; 가로수 ; 거문고
14. 磬-石-玉-銅으로 발전

2013년 10월 7일 월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4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24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10월 4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한일문화교류센터(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 출제위원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