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14일 토요일

하본기 20

2-020.

(원문)
帝舜謂禹曰 : “女亦昌言。” 禹拜曰 ; “於, 予何言! 予思日孶孶。” 皐陶難禹曰 : “何謂孶孶?” 禹曰 : “鴻水滔天, 浩浩懷山襄陵, 下民皆服於水。 予陸行乘車, 水行乘舟, 泥行乘橇, 山行乘梮, 行山栞木。 與益予衆庶稻鮮食。 以決九川致四海, 浚畎澮致之川。 與稷予衆庶難得之食。 食少, 調有餘補不足, 徙居。 衆民乃定, 萬國爲治。” 皐陶曰 : “然, 此而美也。”

(음역)
제순위우왈 : “여역창언。” 우배왈 ; “어, 여하언! 여사일자자。” 고요난우왈 : “하위자자?” 우왈 : “홍수도천, 호호회산양릉, 하민개복어수。 여육행승거, 수행승주, 니행승취, 산행승국, 행산간목。 여익여중서도선식。 이결구천치사해, 준견회치지천。 여직여중서난득지식。 식소, 조유여보부족, 사거。 중민내정, 만국위치。” 고요왈 : “연, 차이미야。”

(주석)
1. 순(舜)-1-016-주석8 참고.
2. 우(禹)-1-026-주석5 참고.
3. 창언(昌言)-좋은 말.
4. 자자(孶孶)-부지런히 힘쓰는 모양.
5. 난(難)-책망할.
6. 고요(皐陶)-1-026-주석6 참고.
7. 홍수(鴻水)-1-018-주석8 참고.
8. 도천(滔天)-1-015-주석12 참고.
9. 호호(浩浩)-1-015-주석13 참고.
10. 회(懷)-둘러싸다.
11. 양릉(襄陵)-1-015-주석14 참고.
12. 복(服)-다스릴.
13. 취(橇)-2-004-주석18 참고.
14. 국(梮)-2-004-주석19 참고.
15. 간목(栞木)-산길의 도표로서 나뭇가지를 꺾거나 나무를 깎아서 표시한 나무.
16. 선식(鮮食)-날짐승이나 뭇짐승을 금방 잡아 죽인 것을 선(鮮)이라고 한다.
17. 결(決)-터뜨릴.
18. 9천(九川)-2-015-주석1 참고.
19. 4해(四海)-2-016-주석10 참고.
20. 준(浚)-치다, 준설하다.
21. 견회(畎澮)-밭 사이의 고랑.
22. 직(稷)-1-026-주석8 참고.
23. 난득지식(難得之食)-2-004-주석31 참고.
24. 만국(萬國)-각 지역.

(국역)
순이 우에게 일러 말하기를 󰡒그대도 또한 좋은 말이 있으면 하시요.󰡓 우가 절하며 말하기를 󰡒오, 제가 무엇을 말하겠습니까? 저는 단지 매일 부지런히 힘쓰려고 생각할 뿐입니다.󰡓 고요가 우를 비난하면서 말하기를 󰡒무엇을 일러 부지런히 힘쓴다는 것입니까?󰡓 우가 말하기를 󰡒홍수로 물이 세차게 흘러서 하늘에까지 이를 정도이고, 거대한 물줄기가 산을 감고 높은 곳까지 올라가니, 아래쪽의 백성들이 모두 물난리에 고통 받고 있습니다. 저는 육로를 다닐 때에는 수레를 타고 다니고, 수로를 다닐 때에는 배를 타고 다녔으며, 진흙길을 다닐 때에는 진흙길을 다니는 썰매를 타고 다녔고, 산을 오를 때에는 바닥에 뾰족한 못을 박은 신발을 신고 다녔으며, 산을 다닐 때에는 산에 도로를 만들고, 도로 표지를 나뭇가지를 꺾거나 나무를 깎아서 표시를 하였습니다. 저는 익과 더불어서 백성들에게 곡식과 날짐승과 뭇짐승의 신선한 고기를 배급하였습니다. 9개의 하천을 소통시켜서 동해, 서해, 남해, 북해로 흘러 들어가게 하였고, 밭도랑의 물길을 준설하여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였습니다. 저는 후직과 더불어서 백성들에게 구하기 힘든 양식을 배급해줬습니다. 양식이 부족한 곳은 양식이 많은 곳으로부터 조달하여 부족한 곳을 보충하게 하였고, 백성들을 생산이 풍부한 곳으로 이주시켰습니다. 백성들은 이에 안정되었고 각 지역은 잘 다스려졌습니다.󰡓 고요가 말하기를 󰡒그렇군요. 이것이 당신의 미덕입니다.󰡓

사기 강의 보충설명 32

제32강, 2013, 12, 13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1. 女-너, 당신 , 汝 , 你(您) , 爾 ; 나-我 , 吾 , 予 , 余 , 己 ; 3인칭-他 , 它 , 她
너의 섬-汝矣島, 당신이 가 있는 섬-爾於島--離於島(波浪島, 蘇岩礁)
2. 孶-낳다, 기르다, 孶息-동물이 새끼를 낳다 ; 子息-사람이 새끼를 낳다
3. 難-꾸짖다 詰難
4. 服-순종, 항복
5. 山行-산에 갈 때는 ; 行山-산에 올라가서
登頂-산 꼭대기에 오름 ; 登山-산에 올라가다 ; 登攀-산의 바위, 암벽, 절벽 등을 오르다 트레킹(tracking)-큰 산 주변을 걸어가는 것 ; 하이킹(hiking)-완만한 산, 들, 해변을 걷는
6. 鮮-고을, 드물, 날고기 ; 鮮肉, 海鮮(さしみ), 鮮魚, 鮮膾, 肉膾, 鮮脂(날 고기의 끈끈한 액체 ? )-生薑(冬蘿蔔,夏生薑)과 梅實
7. 畎(甽)-밭도랑 : 밭두둑 畔, 町(ちょう, まち) ; 논두렁 稜
8. 澮-봇(저수지)도랑, 실개천
9. 食-본래 뜻은 糧(양식) 孔子《禮記》󰡒飮食男女,人之大欲存焉󰡓《孟子》에서 告子가 말 하기를󰡒食、色,性也󰡓《漢書》〈酈食其傳》:“王者以民爲天,而民以食爲天󰡓먹을식, 먹일사, 이(사람이름) ; 葉-엽, 성으로 쓸 때는 섭, 그러나 중국은 엽(이에)로 한다 ; 父-남자의 미칭으로 보(甫) ; 石-고대 용량을 말할 때는 단

《論語》〈學而〉
子曰:「弟子,入則孝,出則弟,謹而信,泛愛衆,而親仁。行有餘力,則以學文。
子夏曰:賢賢易色;事父母,能竭其力;事君,能致其身;與朋友交,言而有信。雖曰未學,吾必謂之學矣。
子曰:「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주석)
弟子-학생 또는 나이 어린 사람 ; 入-부모의 방에 들어가면 ; 出-자신의 방에서 나오면 《禮記》󰡒由命士以上, 父子皆異宮󰡓; 弟-悌 ; 謹-말을 간략하게 하다, 가려하다, 삼가다 ; 衆-서민, 나보다 못한 약자, 이웃 ; 親-가까이 하다 ; 仁-仁德이 있는 사람 ; 文-공부, 문자, 글자, 공자의 6經(詩, 書, 禮, 樂, 易, 春秋)을 가리킴.
子夏-공자의 학생,姓卜,名商,字子夏 ; 賢-동사, 존경하다 ; 賢-명사, 학문과 수양이 뛰어난 사람 ; 易-바꾸다 ; 色-태도, 여색 ; 見賢思齊와 같다. 즉 어진사람을 존중하기를 아름다운 여인을 사랑하는 마음과 바꿀 정도가 되어야 한다. ; 致-헌신, 희생 ; 未學-배울 수 있는 집단(학교)에 들어가지 않았어도, 학문을 배운 바가 없어도 ; 學-배운 자, 지식, 지혜 있는 자
重-자존감-貴己(자기존중, 타인존중, 학문존중) ; 固-견고하다 ; 主-위주로 하다, 기본 ; 忠-誠 ; 無-하지 않는다. ; 無友不如己者-친구와 비교해서 친구보다 못한 점이 있으면 스스로 자신의 수준을 높이려고 노력해야한다. 그런 노력을 하지 않는 사람 ; 過-잘못 ; 憚-怕, 꺼리다, 두려워하다. 《孟子》〈公孫丑〉󰡒人告之有過,則喜󰡓-요즘은 怒, 너나 잘해라

2013년 12월 8일 일요일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32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12월 13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한일문화교류센터(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 출제위원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하본기 19

2-019.
(원문)
皐陶作士以理民。 帝舜朝, 禹、伯夷、皐陶相與語帝前。 皐陶述其謀曰 : “信其道德, 謀明輔和。” 禹曰 : “然, 如何?” 皐陶曰 : “於! 愼其身脩, 思長, 敦序九族, 衆明高翼, 近可遠在已。” 禹拜美言, 曰 : “然。” 皐陶曰 : “於! 在知人, 在安民。” 禹曰 : “吁! 皆若是, 惟帝其難之。 知人則智, 能官人 ; 能安民則惠, 黎民懷之。 能知能惠, 何憂乎驩兜, 何遷乎有苗, 何畏乎巧言善色佞人?” 皐陶曰 : “然, 於! 亦行有九德, 亦言其有德。” 乃言曰 : “始事事, 寬而栗, 柔而立, 愿而共, 治而敬, 擾而毅, 直而溫, 簡而廉, 剛而實, 彊而義, 章其有常, 吉哉。 日宣三德, 蚤夜翊明有家。 日嚴振敬六德, 亮釆有國。 翕受普施, 九德咸事, 俊乂在官, 百吏肅謹。 毋敎邪淫奇謀。 非其人居其官, 是謂亂天事。 天討有罪, 五刑五用哉。 吾言厎可行乎?” 禹曰 : “女言致可績行。” 皐陶曰 : “余未有知, 思贊道哉。”

(음역)
고요작사이이민。 제순조, 우、백이、고요상여어제전。 고요술기모왈 : “신기도덕, 모명보화。” 우왈 : “연, 여하?” 고요왈 : “어! 신기신수, 사장, 돈서구족, 중명고익, 근가원재이。” 우배미언, 왈 : “연。” 고요왈 : “어! 재지인, 재안민。” 우왈 : “우! 개약시, 유제기난지。 지인즉지, 능관인 ; 능안민즉혜, 여민회지。 능지능혜, 하우호환두, 하천호유묘, 하외호교언선색영인?” 고요왈 : “연, 어! 역행유구덕, 역언기유덕。” 내언왈 : “시사사, 관이율, 유이입, 원이공, 치이경, 요이의, 직이온, 간이염, 강이실, 강이의, 장기유상, 길재。 일선삼덕, 조야익명유가。 일엄진경육덕, 양채유국。 흡수보시, 구덕함사, 준예재관, 백리숙근。 무교사음기모。 비기인거기관, 시위난천사。 천토유죄, 오형오용재。 오언지가행호?” 우왈 : “여언치가적행。” 고요왈 : “여미유지, 사찬도재。”

(주석)
1. 고요(皐陶)-1-026-주석6 참고.
2. 사(士)-1-026-주석31 참고.
3. 순(舜)-1-016-주석8 참고.
4. 우(禹)-1-026-주석5 참고.
5. 백이(伯夷)-1-026-주석9 참고.
6. 신(愼)-진실로, 삼가다.
7. 돈(敦)-도타울, 돈독할.
8. 9족(九族)-1-013-주석7 참고.
9. 중명고익(衆明高翼)-다수의 현명한 사람으로 천자를 보좌하는 신하로 삼는다.
10. 혜(惠)-인애, 은덕.
11. 회(懷)-따를.
12. 환두(驩兜)-1-015-주석4 참고.
13. 유묘(有苗)-삼묘(三苗)이다. 1-018-주석10 참고.
14. 9덕(九德)-중국 전통문화 중의 9가지 미덕을 말한다. 《일주서(逸周書)》〈상훈(常訓)〉에서는 충(忠), 신(信), 경(敬), 강(剛), 유(柔), 화(和), 고(固), 정(貞), 순(順)을 가리킨다.
15. 시사사(始事事)-일을 처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16. 관이율(寬而栗)-너그러우면서 엄밀하게 한다.
17. 유이입(柔而立)-부드러우면서 입장은 굳건하게 한다.
18. 원이공(愿而共)-타인의 원하는 바를 들어주면서 책임감 있게 한다.
19. 치이경(治而敬)-공평하면서 공경하게 한다.
20. 요이의(擾而毅)-인내심 있으면서 과감하게 한다.
21. 직이온(直而溫)-자신에게는 엄격하게 타인에게는 관대하게 한다.
22. 간이염(簡而廉)-타인에게 평이하게 다가가면서 원칙을 유지하게 한다.
23. 강이실(剛而實)-주동적으로 하면서 절제 있게 한다.
24. 강이의(彊而義)-능력이 뛰어나면서 타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게 한다.
25. 장(章)-밝히다.
26. 길(吉)-좋다.
27. 선(宣)-발양함.
28. 3덕(三德)-3가지 품덕(簡而廉, 剛而實, 彊而義).
29. 조야(蚤夜)-일찍 조(早)와 통하고, 숙야(夙夜)와 같음.
30. 익(翊)-보좌할, 도울.
31. 가(家)-경, 대부가 되어 채읍(采邑)을 소유하는 것을 가리킴.
32. 엄(嚴)-공경할 경(敬)과 통한다.
33. 진경(振敬)-공경하다.
34. 6덕(六德)-9덕 중에서 6가지 미덕을 가리킴(治而敬, 擾而毅, 直而溫, 簡而廉, 剛而實, 彊而義)
35. 량채(亮采)-량은 믿을 신(信)과 통하고, 채는 일 사(事)와 통한다. 정사(政事)를 보좌한다는 의미이다.
36. 국(國)-제후가 되어 국(國)을 건국하는 것을 가리킨다.
37. 흡수보시(翕受普施)-흡은 합(合)과 통한다. 3덕과 6덕을 합하고 그것을 널리 베풀다.
38. 9덕함사(九德咸事)-9덕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모두 일을 처리하게 하다.
39. 준예재관(俊乂在官)-재주와 덕행이 뛰어난 사람이 관직을 담당하게 하다.
40. 백리(百吏)-백관.
41. 숙근(肅謹)-일처리를 엄숙하고 신중하게 하다.
42. 5형(五刑)-1-017-주석38 참고.
43. 지(厎)-이를 지(至)와 통한다.
44. 적행(績行)-공적, 성과
45. 찬도(贊道)-정치와 교화를 실행하도록 보좌하는 것.

(국역)
고요를 법률을 담당하는 관리인 사로 임명하여 백성을 다스리게 하였다. 순이 조회할 때에 우, 백이, 고요가 순 앞에서 서로 의견을 나누었다. 고요가 그 계획하는 바를 말하였다. 󰡒도덕적으로 일 처리 한다는 것을 믿게 되면, 계획하는 것이 분명해지고 천자를 보필하는 신하들도 화목해집니다. 󰡓 우가 말하기를 󰡒그렇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고요가 말하기를 󰡒오, 근신하며 자신을 수양하고, 또 자신을 수양하는 것을 오랫동안 실천할 도리라고 생각하고, 부모, 형제, 자매, 자식, 외조부, 외조모, 이종사촌, 장인, 장모 등 9족으로 하여금 돈독하게 하여 상하 질서를 유지하고, 많은 현명한 사람으로 하여금 천자를 보좌하는 신하로 삼으면, 정치를 가까운 곳에서부터 먼 곳에 이르게 하는 방법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우는 그의 좋은 말에 절하며 말하기를 󰡒그렇습니다.󰡓 고요가 말하기를 󰡒오, 천하를 다스리는 것은, 어진 사람을 알아보는 것이고, 백성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우가 말하기를 󰡒오, 완전히 이렇게 하는 것은 요도 그리 하기가 어렵다고 했습니다. 어진 사람을 알아보는 것은 즉 지혜가 있어야 하고, 그래야 관리로 임명할 수 있으며, 또 능히 백성을 편안하게 하려면 즉 자애로워야 되고, 그래야 백성들이 비로소 그를 따르게 됩니다. 능히 지혜롭고 자애로우면 어찌 환두를 근심하고, 어찌 유묘(삼묘)를 내쫒으며, 어찌 교묘한 말과 얼굴빛으로 아첨하는 사람을 두려워 하겠습니까?󰡓 고요가 말하기를 󰡒그렇습니다. 오, 또한 사람의 행위에는 9가지 도덕이 있습니다. 그 도덕에 대해서 말하겠습니다. 󰡓 이에 말하기를 󰡒일을 처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서, 너그러우면서 엄밀하게, 부드러우면서 입장은 굳건하게, 타인의 원하는 바를 들어주면서 책임감 있게, 공평하면서 공경하게, 인내심 있으면서 과감하게, 자신에게는 엄격하면서 타인에게는 관대하게, 타인에게 평이하게 다가가면서 원칙을 유지하게, 주동적으로 하면서 절제 있게, 능력이 뛰어나면서 타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것을 널리 알리고 오랫동안 유지한다면 좋은 일입니다.󰡓 매일 그중에서 3가지 품덕을 유지하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실천에 게으르지 않으면 곧 경, 대부가 될 수 있습니다. 매일 엄정하면서 근신하는 태도로 그중에서 6가지 품덕을 실시하고, 정사를 보좌하면 곧 제후가 될 수 있습니다. 3덕과 6덕을 합하고 그것을 널리 베풀고, 9가지 덕행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모두 일을 처리하게하고, 재주와 덕행이 뛰어난 사람이 관직을 담당하면, 백관은 모두 일처리를 엄숙하고 신중하게 할 것입니다. 그들은 사악하고 음란하며 기묘한 모략을 부리지 못하게 할 것입니다. 적합하지 않은 사람이 관직을 맡으면, 하늘의 안배를 어지럽히는 것입니다. 하늘은 죄 있는 사람을 토벌하고, 묵형, 비형, 의형, 궁형, 대벽형 등 5가지 형벌은 5가지 서로 다른 죄에 적용될 것입니다. 내 말이 실행 될 수 있습니까?󰡓 우가 말하기를 󰡒당신의 말이 만약 실행되면 곧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고요가 말하기를 󰡒나는 어떤 아는 바도 없습니다. 단지 정치와 교화를 실행하도록 보좌하는 것에 대해서 도움을 주는 바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참고)
고요와 법치-전설에 중국 법률의 시조로 일컬어지고 있다. 요 시기에 범죄를 다스리는 법률을 제정하였고, 순 시기에 백성의 권리를 보호하는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우 시기에는 《옥전(獄典)》을 제정하였다고 전해진다. 《옥전》에는 살인, 간음, 절도 등 범죄와 형량에 대해서 기록하였다고 한다. 그 외에 치국의 도리로 수신과 현명한 인재를 등용하고 백성을 평안하게 하는 방법을 주장하였다.

하본기 18

2-018.
(원문)
東漸于海, 西被于流沙, 朔、南曁 : 聲敎訖于四海。 於是帝錫禹玄圭, 以告成功于天下。 天下於是太平治。

(음역)
동점우해, 서피우유사, 삭、남기 : 성교흘우사해。 어시제석우현규, 이고성공우천하。 천하어시태평치。

(주석)
1. 점(漸)-나아갈.
2. 피(被)-널리 미칠.
3. 유사(流沙)-1-008-주석11 참고.
4. 삭(朔)-북방을 가리킴.
5. 기(曁)-미칠, 이를, 다다를.
6. 성교(聲敎)-명성과 교화.
7. 흘(訖)-이르다.
8. 석(錫)-하사하다, 사(賜)와 동일.
9. 우(禹)-1-026-주석5 참고.
10. 현규(玄圭)-검은 색의 옥을 가리킨다. 고대의 천자가 의례를 거행할 때에 사용하던 일종의 옥기(玉器)이며, 통상적으로 신하를 표창할 때에 하사한다.

(국역)
동쪽으로는 바다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유사에 이르기까지 널리 미쳤으며, 북방과 남방까지 이르렀다. 명성과 교화가 온 천하에 이르렀다. 그래서 순은 검은 색의 옥을 우에게 하사하고, 온 천하에 치수사업이 완료되었음을 선포하였다. 온 천하는 그래서 태평하게 다스려졌다.

하본기 17

2-017.
(원문)
令天子之國以外五百里甸服 : 百里賦納總, 二百里納銍, 三百里納秸服, 四百里粟, 五百里米。 甸服外五百里侯服 : 百里采, 二百里任國, 三百里諸侯。 侯服外五百里綏服 : 三百里揆文敎, 二百里奮武衛。 綏服外五百里要服 : 三百里夷, 二百里蔡。 要服外五百里荒服 : 三百里蠻, 二百里流。

(음역)
영천자지국이외오백리전복 : 백리부납총, 이백리납질, 삼백리납갈복, 사백리속, 오백리미。 전복외오백리후복 : 백리채, 이백리임국, 삼백리제후。 후복외오백리수복 : 삼백리규문교, 이백리분무위。 수복외오백리요복 : 삼백리이, 이백리채。 요복외오백리황복 : 삼백리만, 이백리유。

(주석)
1. 영(令)-규정하다, 명령하다.
2. 전복(甸服)-고대의 지방제도인 5복(五服)제도의 하나로 왕기(王畿) 외부에서 5백리까지의 지역을 가리킨다. 또는 광의의 의미로 수도 부근의 지역을 가리킨다.
3. 총(總)-말 사료용으로 쓰는 볏단.
4. 질(銍)-벼 이삭.
5. 갈복(秸服)-껍질을 벗긴 볏짚.
6. 속(粟)-껍질을 벗기지 않은 쌀.
7. 후복(侯服)-왕기(王畿) 외부의 5백리에서 1천리 이내의 지역을 가리킨다.
8. 채(采)-고대 사대부(士大夫)의 봉읍(封邑)을 가리키고, 달리 채읍(采邑), 식읍(食邑), 채지(采地)라고 일컫는다.
9. 임국(任國)-천자를 위하여 복역하는 작은 나라를 가리킴.
10. 수복(綏服)-왕기(王畿) 외부의 1천리에서 1천 5백리 이내의 지역을 가리킨다.
11. 규(揆)-법칙, 법도
12. 투(奮)-노력, 분발.
13. 요복(要服)-왕기(王畿) 외부의 1천 5백리에서 2천리 이내의 지역을 가리킨다.
14. 채(蔡)-법칙, 천자의 형법을 준수하는 곳.
15. 황복(荒服)-왕기(王畿) 외부의 2천리에서 2천 5백리 이내의 지역을 가리킨다.
16. 유(流)-1-017-주석36 참고.

(국역)
천자가 직접 통치하는 지역 바깥의 5백리 지역은 전복이라고 규정하였다. 왕성에서 1백리 떨어진 지역은 세금으로 볏단을 납부하고, 2백리 떨어진 지역은 세금으로 벼이삭을 납부하고, 3백리 떨어진 지역은 세금으로 껍질을 벗긴 볏짚을 납부하고, 4백리 떨어진 지역은 세금으로 껍질을 벗기지 않은 쌀을 납부하고, 5백리 떨어진 지역은 세금으로 껍질을 벗긴 쌀을 납부하였다. 전복 바깥의 5백리 지역은 후복이다. 전복에 가까운 1백리 지역은 경, 대부를 분봉하는 채읍이고, 2백리 지역은 천자를 위하여 복역하는 작은 나라를 분봉하는 곳이고, 3백리 지역은 제후를 분봉하는 곳이다. 후복 바깥의 5백리 지역은 수복이다. 후복과 가까운 3백리 지역은 학문으로 교화하는 것을 법칙으로 삼는 곳이고, 뒤쪽 2백리 지역은 무력을 진흥하고 국토를 수호하는 일을 열심히 하는 곳이다. 수복 바깥의 5백리 지역은 요복이다. 수복과 가까운 3백리 지역은 이족이 거주하는 곳이고, 뒤쪽 2백리 지역은 천자의 형법을 준수하는 곳이다. 요복 바깥의 5백리 지역은 황복이다. 요복과 가까운 3백리 지역은 만족이 거주하는 곳이고, 뒤쪽 2백리 지역은 죄인을 귀양 보내는 곳이다.

사기 강의 보충설명 31

제31강, 2013, 12, 6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1. 漸-流入, 入 ;漸入佳境
2. 被-及, 到達
3. 朔-시작(초하루)年, 月, 日, 週, 時, 朔, 晦, 旬, 望 ;북쪽-陽氣 운행의 시작점; 朔風, 朔北
4. 曁-및, 이르다, 다다르다.
5. 述-말하다, 쓰다 ; 述職-고대 제후가 천자에게 직무에 대해서 말하는 것
6. 道德-사회 의식형태의 일종(공동생활 및 행위의 원칙이나 규범-仁, 義) ; 노자《道德經》 최초 ; 서양 Moral-라틴어 Mores(풍속,습관)
7. 輔-보필, 보좌 ; 4輔臣-左輔右弼前疑後承
《尙書大傳》󰡒大前疑、大右弼、大左輔、大後承󰡓
8. 思長-思爲長久之道
9. 敦序-서열을 정하여 돈독하게 하다.
10. 近可遠-정치가 가까운 곳에서부터 먼 곳에 이르기까지 도달할 수 있다.
11. 在知人, 在安民-知人安民
《孟子》〈盡心 下〉어진 사람을 알아보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12. 巧言善色佞人-《論語》〈學而〉󰡒巧言佞色善矣仁󰡓
13. 9德-1.寬(너그럽고)而栗(삼가하며, 戰慄), 2.柔(부드럽고)而立(주관을 가지고), 3.愿(겸손 함)而共(성실함), 4.治(재능 있음)而敬(소흘함 없고), 5.擾(난리에 직면)而毅(과단성), 6.直 (정직함)而溫(온화함), 7.簡(형식 구애받지 않음)而廉(세밀하고), 8.剛(강직함)而實(내실 있 음), 9.彊(용감함)而義(신의 있음)
14. 蚤夜-晝夜, 早夜, 朝夕, 早晩
15. 翊明-浚明 ; 분명하게 다스리는 것을 말함.
16. 有家-齊家 ; 卿, 大夫稱家 ; 有邦-治國 ; 諸侯를 가리킴
17. 亮采-翊明-浚明과 같다. 분명하게 다스리는 것을 말함.
18. 翕受-合受, 吸收
19. 俊乂-재주와 덕행이 뛰어난 사람 ; 1천명 초과는 俊, 1백명 초과는 乂이다.
《論語》〈學而〉
子曰:巧言令色,鲜矣仁。 曾子曰: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與朋友交而不信乎?傳不習乎? 子曰:道千乘之國,敬事而信,節用而愛人,使民以時。
巧-그럴듯, 好 ; 令-아름답게 꾸미다, 善 ; 色-얼굴 검臉 ; 臉書-facebook ; 變臉 ; 鮮-드물다, 적다. 鮮矣仁은 仁鮮矣의 도치용법 ; 曾子-曾參, 《孝經》의 저자 ; 三-3번, 또는 여러 차례 ; 謀-도모, 의논하다. ; 忠-忠心 ; 不~乎-~하지 않았는가? ~하지 않은가? ; 朋友-동문수학 친구와 같은 뜻을 가진 사람 ; 傳-선생님이 가르쳐준 학업내용 ; 習-복습, 溫習 ; 道-다스림 ; 千乘-제후의 나라 ; 敬事-매사를 공경스럽게 하다.-제후에게 말함. ; 節用-씀씀이를 절도있게-卿,大夫,士에게 말함 ; 人-관리 ; 使民-백성을 부리거나 전쟁에 동원-民, 일반백성을 말함. ; 時-農繁期 ; 農閒期에 동원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