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31일 월요일

새해 인사드립니다

페친님, 블로거님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운 2012년 이었습니다. 혹여 근심, 걱정, 질병, 불행, 이별, 불화, 미움 등 나쁜 것들이 있으면 모두 여기(京都의 平安神宮)에 단단히 묶어 놓으시고, 새해에는 모두가 행복하기를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김영환 드림.



2012년 12월 18일 화요일

5제본기 30


1-030.
(원문)
太史公曰 : 學者多稱五帝, 尙矣。 然尙書獨載堯以來 ; 而百家言黃帝, 其文不雅馴, 薦紳先生難言之。 孔子所傳宰予問五帝德及帝繫姓, 儒者或不傳。 余嘗西至空桐, 北過涿鹿, 東漸於海, 南浮江淮矣, 至長老皆各往往稱黃帝、堯、舜之處, 風敎固殊焉, 總之不離古文者近是。 予觀春秋、國語, 其發明五帝德、帝繫姓章矣, 顧弟弗深考, 其所表見皆不虛。 書缺有閒矣, 其軼乃時時見於他說。 非好學深思, 心知其意, 固難爲淺見寡聞道也。 余幷論次, 擇其言尤雅者, 故著爲本紀書首。
(음역)
태사공왈 : 학자다칭오제, 상의。 연상서독재요이래 ; 이백가언황제, 기문불아순, 천신선생난언지。 공자소전재여문오제덕급제계성, 유자혹부전。 여상서지공동, 북과탁록, 동점어해, 남부강회의, 지장로개각왕왕칭황제、요、순지처, 풍교고수언, 총지불리고문자근시。 여관춘추、국어, 기발명오제덕、제계성장의, 고제불심고, 기소표견개불허。 서결유간의, 기질내시시견어타설。 비호학심사, 심지기의, 고난위천견과문도야。 여병논차, 택기언우아자, 고저위본기서수。
(주석)
1. 태사공(太史公)-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태사는 관직 명칭으로 하, 상, 주에서 사관(史官)과 역관(曆官)의 우두머리이다. 서주와 춘추시기에는 지위가 매우 높은 조정 대신으로 문서와 책명을 관장하고 겸하여 역사, 서적, 역법, 제사 등을 관할하였다. 진대에는 태사령(太史令)으로 일컬었고, 한대에는 태상(太常)에 예속되어 천문역법을 관장하였다. 태사공은 서한(西漢) 무제(武帝) 시기에 설치한 관직 명칭이다. 지위는 승상(丞相)의 위이고, 천하의 보고서는 먼저 태사공에게 올린다. 태사공의 구체적인 직권은 태사령(太史令)의 업무와 인재를 선발하는 직책을 담당하고 있다. 둘째, 태사는 《사기》를 가리키기도 한다. 셋째, 사마천은 《사기》에서 자신의 부친 사마담(司馬談)과 자신을 일컫는 호칭으로 사용하였다.
2. 5제(五帝)-오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지만 비교적 유력한 것으로 두 가지가 있다. 첫째, 태호(太昊), 염제(炎帝), 황제(黃帝), 소호(少昊), 전욱(顓頊)이 있다. 그 의미는 동서남북중의 5개 방위에 천신(天神)이 있고, 동방은 태호, 남방은 염제, 서방은 소호, 북방은 전욱, 중앙은 황제가 담당하였다. 둘째, 황제, 전욱, 곡(嚳), 요(堯), 순(舜)으로, 중국 상고시대 전설중의 5명의 제왕을 가리킨다. 여기서는 두 번째의 학설을 따랐다.
3. 상(尙)-오래되다.
4. 상서(尙書)-본래 의미는 중국 상고시대 왕실의 문서를 모아 놓은 책이다. 또 상은 풀어 놓다는 의미이고 서는 문자기록, 즉 비밀이 해제된 왕실의 문서라는 의미가 있다. 《상서》는 전국시대에 《서(書)》로 일컬었고, 한대에 《상서》로 일컬었으며, 유가의 5경중의 하나로 《서경》이라고 일컬었다. 여러 가지 체제의 문헌을 모아 놓은 것으로 중국의 현존하는 최초의 역사 문헌으로, 《우서(虞書)》, 《하서(夏書)》, 《상서(商書)》, 《주서(周書)》로 구분되어 있다. 내용적으로는 《주서》의 〈목서(牧誓)〉에서 〈여형(呂刑)〉까지의 16편은 서주의 사료이고, 〈문후지명(文侯之命)〉,〈비서(費誓)〉,〈진서(秦誓)〉는 춘추시대의 사료이며, 〈요전(堯典)〉, 〈고요모(皐陶謨)〉, 〈우공(禹貢)〉은 전국시대에 기록된 사료이다.
5. 요(堯)-1-012-주석3 참고.
6. 백가(百家)-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학술상의 각종 학파를 말한다. 둘째, 여러 가지 분야에 종사하는 모종의 전문 활동가 혹은 기능 있는 사람을 가리키기도 한다. 셋째, 서적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7. 황제(黃帝)-1-001-주석1 참고.
8. 아순(雅馴)-문장이 우아하고 숙련되다.
9. 천신(薦紳)-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관직이 있거나 관리를 역임한 사람을 가리킨다. 달리 진신(縉紳)으로 기록한다. 둘째, 일반적으로 사대부를 말한다. 셋째, 고급관리의 옷차림을 말하기도 한다. 또 천(薦)은 진(搢)과 통한다.
10. 공자(孔子)-공자는 기원전 551년 현재의 산동성 곡부시에서 출생하였다. 성은 자(子)이고 씨는 공(孔)이며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이다. 춘추시대 말기의 사상가 겸 교육자이고 유가의 창시자로 전해오고 있다.
11. 5제덕(五帝德)-《대대예기(大戴禮記)》 62편과 《공자가어(孔子家語)》 23편에 기록되어 있다. 즉 재여(宰予)가 공자에게 5제(황제, 전욱, 곡, 요, 순)의 품덕, 치적과 생애에 관한 일을 질문하였고, 특별히 고대 제왕의 덕성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 상세히 토론하였다. 사마천의 〈5제본기〉는 이것으로 부분적 근거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제계성(帝繫姓)-《대대예기》와 《공자가어(孔子家語)》에 기록되어 있다. 내용은 고대 제왕의 세계(世系)를 기록하였는데, 위로는 소전(少典)이 헌원(軒轅)을 낳고부터 아래로는 하(夏)나라의 계(啓)에까지 이르렀다.
13. 유자(儒者)-유학을 숭배하고 유가의 경전을 학습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한대(漢代) 이전에는 6예 즉 서(書),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수(數)를 학습하는 사람을 가리켰고, 그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공부하는 사람을 일컬었다.
14. 공동(空桐)-1-005-주석3 참고.
15. 탁록(涿鹿)-1-004-주석4 참고.
16. 점(漸)-유입, 진입.
17. 부(浮)-지날, 초과할.
18. 강회(江淮)-1-018-주석11 참고.
19. 장로(長老)-노인.
20. 순(舜)-1-016-주석8 참고.
21. 고(固)-물론, 본디부터.
22. 춘추(春秋)-편년체로 기록된 유가 경전중의 하나이다. 전해오기를 공자가 노나라의 사관이 편찬한 《춘추》에 의거해서 정리하고 수정하여 완성한 것이다. 기원전 722년부터 기원전 481년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중국 최초의 편년체 역사서이다.
23. 국어(國語)-중국 최초로 나라별 역사를 기록한 서적으로, 주(周)나라 왕실과, 노(魯), 제(齊), 진(晉), 정(鄭), 초(楚), 오(吳), 월(越)나라 등 8개 나라의 역사를 기록했다. 주로 역사 인물의 언론에 편중하였고 춘추시기의 사회상황을 반영하였다. 특히 주나라 목왕(穆王) 12년(기원전 990년)부터 기원전 453년 지백(智伯)이 멸망할 때까지, 각 나라의 귀족 상호간의 조빙(朝聘), 연회(宴會), 풍간(諷諫), 변설(辨說), 응대(應對) 및 부분적 역사사건과 전설 등을 포함하였다. 작자는 사마천이 좌구명(左丘明)이라고 하였지만, 한나라 이후에 많은 학자들이 의문을 제기하여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하여 확정되지 않았다.
24. 장(章)-현저함, 명백하게 나타남, 또는 상고시대의 문자로 기록된 서적.
25. 고제(顧弟)-단지. 제는 제(第)와 같다.
26. 표견(表見)-기록하다. 견은 현(現)과 통한다.
27. 허(虛)-허망, 거짓.
28. 서결유간(書缺有閒)-《상서》에 빠져 없어진 부분과 공백이 있다.
29. 질(軼)-일(佚)과 통한다. 없어졌다.
(국역)
태사공이 말하기를 학자들이 대부분 황제, 전욱, 곡, 요, 순 등 5제를 일컫지만, 시대가 너무 오래되었다. 그러나 《상서》에 홀로 요 이래의 일을 기록하였고, 그리고 많은 학파에서도 황제를 말했지만 그 문장이 우아하거나 숙련되지 않아서 사대부와 선생들도 황제에 대해서 말하기가 어려웠다. 공자에 의해 전수된 재여가 공자에게 〈5제덕〉 및 〈제계성〉에 관하여 질문하는 2편의 문장도 유생들 중에서 어떤 사람은 전수하지 않았다. 나는 일찍이 서쪽으로는 공동산에 이르고, 북쪽으로는 탁록을 지났으며, 동쪽으로는 바닷가에 진입하고, 남쪽으로는 장강과 회하를 지나갔는데, 노인들이 모두 황제, 요, 순이 활동했던 지역이라고 말하는 곳에 가보면 풍속과 교화가 본디부터 달랐으며, 대체적으로 말해서 옛날 문헌 즉 《상서》에 위배되지 않고 사실과 가까웠다. 내가 《춘추》와 《국어》를 읽어보고 그 중에서 〈5제덕〉과 〈제계성〉의 문장이 매우 분명함을 알게 되었는데, 단지 사람들이 깊이 고찰하지 않았을 뿐 그 기록한 바가 모두 허망한 것은 아니었다. 《상서》에는 빠져 없어진 부분과 공백도 많은데, 거기서 빠진 부분은 또한 다른 서적에 보인다. 배우기를 좋아하고 깊이 생각해서 마음으로 그 뜻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진실로 얕은 견해와 들은바가 적은 사람이 설명하기가 매우 어렵다. 내가 전부 합해서 순서에 의거하여 논술하고, 서술한 내용 중에서 특별히 우아한 문장을 선택하여 〈본기〉를 저술하였으며 전체 서적의 제1편으로 삼았다.

(참고)
사마천의 가계(家系)
왕 조
시 기
이 름
직 위
주(周)
기원전 9-8세기
사마씨
(이름불명)
?
진(晉)
기원전 652년경
?
진(秦)
기원전 620년
?
〃 惠文王
기원전 320년경
사마착
(司馬錯)
將軍?
〃 昭襄王
기원전 300년경
사마근
(司馬靳)
將軍?
〃 始皇帝
기원전 220년경
사마창
(司馬昌)
鐵官
한(漢) 文帝
기원전 202년
-기원전 157년
사마무택
(司馬無澤)
市長
〃 景帝
기원전 188년
-기원전 141년
사마희
(司馬喜)
五大夫
〃 武帝
기원전 156년
-기원전 87년
사마담
(司馬談)
太史令
사마천
(司馬遷)
太史令


2012년 12월 13일 목요일

소셜문화대학 3차 강의 참석

2012년 12월 11일 저녁 7시-9시30분까지 교보본사 이벤트홀에서 거행되었습니다.
강사1-강진영 앱그룹대표-내 손안의 스마트 라이프
강사2-이경종 하이퍼테크대표-구글의 무궁무진한 세계와 공공자원 활용
강사3-조태호 캐리커쳐 작가-캐리커쳐에 대하여
유익한 강의와 뒷풀이가 있었습니다. 수고하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2012년 12월 11일 화요일

5제본기 29

1-029.
(원문)
自黃帝至舜、禹, 皆同姓而異其國號, 以章明德。 故黃帝爲有熊, 帝顓頊爲高陽, 帝嚳爲高辛, 帝堯爲陶唐, 帝舜爲有虞。 帝禹爲夏后而別氏, 姓姒氏。 契爲商, 姓子氏。 棄爲周, 姓姬氏。
(음역)
자황제지순、우, 개동성이이기국호, 이장명덕。 고황제위유웅, 제전욱위고양, 제곡위고신, 제요위도당, 제순위유우。 제우위하후이별씨, 성사씨。 설위상, 성자씨。 기위주, 성희씨。
(주석)
1. 황제(黃帝)-1-001-주석1 참고.
2. 순(舜)-1-016-주석8 참고.
3. 우(禹)-1-026-주석5 참고.
4. 성(姓)-1-006-주석2 참고.
5. 장(章)-나타낼.
6. 유웅(有熊)-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황제(黃帝)가 건국한 나라 이름이다. 둘째, 황제가 세운 도읍지의 명칭을 가리킨다. 지리상으로 현재의 하남성(河南省) 신정시(新鄭市)이다.
7. 전욱(顓頊)-1-007-주석15 참고.
8. 고양(高陽)-1-007-주석13 참고.
9. 곡(嚳)-1-009-주석5 참고.
10. 고신(高辛)-1-009-주석4 참고.
11. 요(堯)-1-012-주석3 참고.
12. 도당(陶唐)-1-012-주석3 참고.
13. 유우(有虞)-1-016-주석8 참고.
14. 하후(夏后)-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하는 중국 최초의 세습왕조이고, 통치자의 성은 사(姒)이며 씨는 하후씨(夏后氏)이다. 하후씨와 11개 씨족 즉 유호씨(有扈氏), 유남씨(有男氏), 짐심씨(斟鄩氏), 동성씨(彤城氏), 포씨(褒氏), 비씨(費氏), 기씨(杞氏), 증씨(繒氏), 신씨(辛氏), 명씨(冥氏), 짐관씨(斟灌氏) 등 씨족이 연합하여 설립한 국가가 하나라이고 하후씨가 우두머리이다. 하나라를 건국한 이후에 씨족 명칭으로 국호를 삼았다. 즉 하후는 씨족명칭이 변해서 국호가 되었고, 하왕(夏王)의 의미가 되었다. 둘째, 하는 원래 우가 순에게 양적(陽翟) 지역을 하사받고 하백(夏伯)으로 임명되고 난 이후에 관직 명칭이 변해서 국호가 된 경우이다. 셋째, 하는 유하(有夏), 대하(大夏)의 지명이 부락 명칭이 되고 나중에 국호가 된 것이라고 함.
15. 사씨(姒氏)-순의 통치시기에 곤(鯤)의 부인 수기(修己)는 유신씨(有莘氏)의 여성으로, 의이(薏苡:율무)라는 식물을 먹고 임신하여 우를 낳았다. 나중에 우가 치수에 성공하자 순은 우에게 사(姒)라는 성씨를 하사하였다. 왜냐하면 사(姒)와 의(薏)는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
16. 설(契)-1-026-주석7 참고.
17. 상(商)-고고학상의 상의 기원으로 대표적인 것은 이리강문화(二里崗文化)이다. 이것은 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와 산동용산문화(山東龍山文化, 빈부의 분화와 분업, 남녀합장으로 추측할 때 일부일처제 사회)가 결합된 동해안 선사문화에 기원을 두고 있었다. 상족의 발상지는 황하 하류 발해만 해안 지대이고, 역사가 유구한 부족이었다. 전설에 의하면 모계 씨족사회 기간에 간적(簡狄)이라는 여인이 해안가에서 목욕을 하다가 현조(玄鳥, 제비)가 낳은 알을 삼킨 후에 상의 시조인 설(契)을 낳았다고 한다. 이것은 발해만의 여러 부족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던 새 토템(Bird Totem)을 반영한 것이다. 설은 하(夏)의 우왕(禹王)과 동일시기에 순(舜)의 조정에서 근무하였다고 전해진다. 설은 자라서 우를 도와 치수에 공을 세워서 상에 봉해졌고 자성(子姓)을 하사 받았다.
18. 자씨(子氏)-설의 어머니 간적이 제비의 알을 삼킨 후에 낳았다고 해서 자씨를 하사받았다.
19. 기(棄)-1-026-주석10 참고.
20. 주(周)-주는 황하 상류, 위수(渭水) 중류 및 섬서(陝西)와 감숙(甘肅) 지역에서 오랫동안 활동하다가, 나중에 주원(周原)에 정착하였으므로 주(周)라고 일컬었다. 주는 하(夏)나라 시기에 섬서성(陜西省)과 감숙성(甘肅省) 지역에서 활동하다가 상(商)나라 시기에 이르러 상에 예속되었다. 즉 상 왕조의 외복(外服) 중에서 서쪽의 일개 방국(方國)이었고 또한 서쪽의 많은 방국 중에서 가장 세력이 강한 방국이었다. 주는 희성(姬姓) 부족인데 주위의 강성(姜姓) 부족과 대대로 통혼하여 부락연맹을 구성하였다. 주의 시조는 기(棄)이고, 그의 모친인 강원(姜嫄, 5제 중의 곡의 부인이라고 전해짐)은 거인의 발자취를 따라 걷다가 임신하여 기를 낳았다고 한다. 기는 성장하면서 농사짓는 것을 좋아하여 오곡을 심고 농업에 종사하였다. 요의 통치 시기에는 농사(農師)에 임명되었고, 순의 통치 시기에는 그를 합(郃, 섬서성 무공현(武功縣) 외곽에 봉하고 후직(后稷)이라고 일컬었다.
21. 희씨(姬氏)-황제(黃帝)가 처음에 거주한 곳이 희수(姬水) 근처여서 희를 성씨로 삼았다. 황제의 직계 후손만이 희씨 성을 사용하였고, 중국의 가장 오래된 8대 성씨 중의 하나이다.
(국역)
황제에서 순, 우에 이르기까지 모두 동일한 성씨이지만, 그러나 국호는 달랐으며 각자의 밝은 덕을 나타냈다. 그래서 황제의 국호는 유웅이고 전욱은 고양이며, 곡은 고신이고 요는 도당이며, 순은 유우이다. 우는 하후이지만 그러나 성씨가 달랐는데, 성은 사씨이다. 설은 상의 시조이고 성은 자씨이다. 기는 주의 시조이고 성은 희씨이다.
(참고)
상고시대 국호의 유래-상고시대 국호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생지 또는 부락의 명칭으로 정하는데, 유웅씨와 유우씨, 주가 여기에 속한다. 둘째, 책봉 지역 또는 작위의 명칭으로 정하는데, 고양씨, 고신씨, 도당씨, 하후씨, 상이 여기에 속한다.

2012년 12월 5일 수요일

5제본기 28

1-028.
(원문)
舜年二十以孝聞, 年三十堯擧之, 年五十攝行天子事, 年五十八堯崩, 年六十一代堯踐帝位。 踐帝位三十九年, 南巡狩, 崩於蒼梧之野。 葬於江南九疑, 是爲零陵。 舜之踐帝位, 載天子旗, 往朝父瞽叟, 蘷蘷唯謹, 如子道。 封弟象爲諸侯。 舜子商均亦不肖, 舜乃豫薦禹於天。 十七年而崩。 三年喪畢, 禹亦乃讓舜子, 如舜讓堯子。 諸侯歸之, 然後禹踐天子位。 堯子丹朱, 舜子商均, 皆有疆土, 以奉先祀。 服其服, 禮樂如之。 以客見天子, 天子弗臣, 示不敢專也。
(음역)
순년이십이효문, 년삼십요거지, 년오십섭행천자사, 년오십팔요붕, 년육십일대요천제위。 천제위삼십구년, 남순수, 붕어창오지야。 장어강남구의, 시위영릉。 순지천제위, 재천자기, 왕조부고수, 기기유근, 여자도。 봉제상위제후。 순자상균역불초, 순내예천우어천。 십칠년이붕。 삼년상필, 우역내양순자, 여순양요자。 제후귀지, 연후우천천자위。 요자단주, 순자상균, 개유강토, 이봉선사。 복기복, 예악여지。 이객견천자, 천자불신, 시불감전야。
(주석)
1. 순(舜)-1-016-주석8 참고.
2. 천(踐)-오르다, 즉위하다.
3. 창오(蒼梧)-호남성(湖南省) 영주시(永州市) 영원현(寧遠縣) 에 위치한다.
4. 강남(江南)-광의의 의미로는 장강 이남을 가리키고, 협의의 의미로는 절강성(浙江省) 북부와 강소성(江蘇省) 남부, 상해, 강서성(江西省) 동북부, 안휘성(安徽省) 남부를 가리킨다.
5. 구의(九疑)-달리 구억산(九嶷山),창오산(蒼梧山) 이라고 일컫는다. 위치는 호남성 영주시 영원현에 있다.
6. 영릉(零陵)-순의 릉묘 이름이며 최근에 구억산 아래에서 당, 송 시대에 순에게 제사지내던 묘지 터가 발굴되어 그 실체가 확인되었다.
7. 재(載)-장식하다.
8. 조(朝)-조현(朝見), 즉 아침 인사.
9. 고수(瞽叟)-1-020-주석3 참고.
10. 기기(蘷蘷)-조심하고 두려워하는 모양
11. 상(象)-1-021-주석3 참고.
12. 상균(商均)-순의 아들, 묘지는 우성현(虞城縣)에 있다.
13. 단주(丹朱)-1-015-주석3 참고.
14. 강토(疆土)-영토, 즉 봉지(봉지)를 말함.
15. 복기복(服其服)-천자 아들 신분에 맞는 입는 옷을 입고.
16. 불신(弗臣)-천자가 신하로 대하지 않고 존경을 나타냄.
17. 전(專)-오로지, 제멋대로 함.
(국역)
순은 나이 20세에 효행으로써 널리 알려졌고, 나이 30세에는 요에게 등용되었으며, 나이 50세에는 천자의 일을 대신하여 처리하였고, 나이 58세에 요가 사망하였으며, 나이 61세에는 요 대신에 천자의 자리에 올랐다. 천자의 자리에 오른 지 39년에 남쪽으로 순시를 갔고, 창오의 들판에서 사망하였다. 장강 남쪽의 구의산에 장사지냈는데 이곳이 바로 영릉이다. 순은 천자의 자리에 오른 다음에 천자의 깃발을 수레에 꽂고 아버지 고수를 찾아가서 문안 인사를 드렸는데, 조심하고 두려워하는 모양과 삼가하는 태도가 자식의 도리를 다하는 것과 같았다. 동생 상을 제후로 임명하였다. 순의 아들 상균 또한 부족한 인물이어서, 순은 미리 우를 하늘에 추천하였다. 천자의 자리에 있은 지 17년 만에 사망하였다. 3년 상이 끝나고 우는 순의 아들에게 천자의 자리를 양보했는데, 순이 요의 아들에게 천자의 자리를 양보한 것과 같았다. 제후들이 우에게 귀의하고, 그런 후에 우가 천자의 자리에 올랐다. 요의 아들 단주와 순의 아들 상균에게 모두 영토를 주어서 조상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 의복은 천자 아들이 입는 옷을 입고, 의례와 음악도 천자 아들의 신분에 합당한 것을 따랐다. 빈객의 신분으로 천자를 알현할 때도 천자가 신하로써 대하지 않았는데, 이것은 감히 천자라고 제멋대로 하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2012년 12월 4일 화요일

12월 인도영화 상영 및 송년공연


나마스떼 ~
인도 문화원에서 진행되는 인도 영화 상영회, 12월의 상영회는 송년 특집으로 8일 오후 춤 공연과 함께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장소 : 용산구 한남동 36-1 (인도 대사관 맞은 편), 인도 문화원
시일 : 12월 8일 (토요일) 오후 2시~7시
1부 : 영화 상영회 (14:00 ~ 16:30)-내 이름은 칸 My name is Khan
2부 : 송년 리셉션 (16:30 ~ 17:00)-인도 스넥과 인도 짜이 즐기기
3부 : 송년 기념 작은 공연 (17:00 ~ 18:15)
1) 인도 전통춤 바랏나티얌 공연 (Ms. Charanya Kanna)
2) 인도 시 낭독 (Dr. Sureshkumar Manthiriyan)
3) 인도 악기 Veena 연주 및 노래 (Ms. Vijaya Parasu)
4) 볼리우드 춤 공연 (Camilla 공연단 – 리더 /박은경)
예약 : 전화 (02-792-4257, 4258) 혹은 이메일 info@india.kr
(쾌적한 관람 환경을 위해 선착순 90명으로 예약을 제한합니다. 양해 바랍니다)
- 예약 시 밝혀 주실 사항들
1) 참가자 대표의 이름 2) 참가인 명수 3) 휴대폰 뒷 번호 4자리 4) 이메일 주소
5) 1,2,3부 행사 참여 방법 (1,2,3부 전부 참가 / 1,2부만 참가 / 2,3부만 참가)
=============
영화 상영작 소개
=============







































 
제목 : 내 이름은 칸 My name is Khan
감독 : 카란 조하르 Karan Johar
각본 : 쉬바니 바티자 Shibani Bathija
주연 : 샤룩칸 Shahrukh Khan, 까졸 Kajol, 지미 쉐르길 Jimmy Shergill
음악 : Shnakar Ehsaan Lov
개봉 : 2010년 2월 12일
상영시간 : 161분
줄거리
뭄바이의 중산층 회교도 가정의 리즈완 칸 Rizwan Khan(샤룩칸 분)은 정상적이지 않은 까닭에 모친 라지아 칸 Razia Khan(Zarina Wahab 분)의 각별한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하는데.. 모친의 편애와도 동생 사랑이 부담스러웠던 형 자키르 Zakir(지미 쉐르길 분)은 미국으로 이민해 샌프란시스코에 정착하고..
모친 사망 후 홀로가 된 동생 리즈완을 내버려둘 수 없는 자키르는 좋지 않은 기억에도 불구하고리즈완을 미국으로 불러들여 보살피며.. 부인 하세나 Haseena (Sonya Jehan분)을 통해 동생의 특이한 질병을 이해하게 되는데…
세상의 모든 고장을 다 고칠 수 있을 것 같은 뛰어난 기술을 본능적으로 가진 리즈완은 미국 생활에 적응해가며.. 어린 아들과 함께 사는 힌두 이혼녀인 미용사 만디라 Mandira (까졸 분)을 만 나 사랑에 빠지고.. 형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혼하게 되는데..
리즈완이 Khan을 가족의 성으로 받아들인 만디라의 아들 샘 Sam(Sameer, Yuvaan Makaar 분)과 함께 정착해 사는 이웃이 아프칸 전쟁터를 취재하다 죽게 되는데다… 911사태가 터지면서 미국에서의 회교도 협오증이 극대화 되고.. 회교도 성인 칸을 성으로 쓰는 샘이 학교에서 테러리스트라며 핍박 당하다가 죽게 되는데..
아들 샘의 죽음과 리즈완 칸 과의 연관 때문에 괴로운 만디라는 리즈완에게 이별을 통보하고.. 이별을 견딜 수 없어 어떻게 하면 다시 합칠 수 있는지를 간구하는 리즈완에게 만디라는 미국 대통령을 만나 ‘내 이름은 칸이고, 나는 테러리스트가 아니라’라는 말을 하면 다시 만나겠다고 약속하는데…
라즈완이 부시와 오바마를 만나기 위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다가 체포되는 등 갖은 고난을 겪는 동안, 만디라는 아들 샘을 죽인 범인이 누구인지, 어떻게 죽게 되었는지를 알게 되었는데…
영화에 얽힌 흥미 있는 사실들
2010년에 개봉한 이 영화는 인도 영화계의 황태자 샤룩칸이 2년 만에 출연한 영화였고, 흥행 성공 보증 콤비라고 여겨졌던 까졸과는 (2001년의 까비 꾸시 까비 깜 이후) 10년만에 찍은 영화였다.
700만불을 투자해 3,600만불 정도의 수익을 얻었지만, 기대가 켰던 탓에 큰 성공으로 기록되지 않았던 영화.
2010년의 제 6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가 선정한 2010년 2월의 영화
한국 인도 친선협회
사단법인 한인교류회 Indo-Korean Foundation
A Bridge between India & Korea

2012년 11월 29일 목요일

무산 허회태 선생님 작품감상

붓 예술 50년
이모그래피(Emography) 창시자
무산 허회태 선생님
작품 감상은 무산서원(http://www.moosan.net/)으로


2012년 11월 28일 수요일

5제본기 27

1-027.
(원문)
此二十二人咸成厥功 : 皐陶爲大理, 平, 民各伏得其實 ; 伯夷主禮, 上下咸讓 ; 垂主工師, 百工致功 ; 益主虞, 山澤 ; 棄主稷, 百穀時茂 ; 契主司徒, 百姓親和 ; 龍主賓客, 遠人至 ; 十二牧行而九州莫敢辟違 ; 唯禹之功爲大, 披九山, 通九澤, 決九河, 定九州, 各以其職來貢, 不失厥宜。 方五千里, 至于荒服。 南撫交阯、北發、西戎、析枝、渠廋、氐、羌, 北山戎、發、息愼, 東長、鳥夷, 四海之內咸戴帝舜之功。 於是禹乃興九招之樂, 致異物, 鳳皇來翔。 天下明德皆自虞帝始。
(음역)
차이십이인함성궐공 : 고요위대리, 평, 민각복득기실 ; 백이주례, 상하함양 ; 수주공사, 백공치공 ; 익주우, 산택 ; 기주직, 백곡시무 ; 설주사도, 백성친화 ; 용주빈객, 원인지 ; 십이목행이구주막감벽위 ; 유우지공위대, 피구산, 통구택, 결구하, 정구주, 각이기직래공, 불실궐의。 방오천리, 지우황복。 남무교지、북발、서융、석지、거수、저、강, 북산융、발、식신、동장、조이, 사해지내함대제순지공。 어시우내흥구초지악, 치이물, 봉황래상。 천하명덕개자우제시。
(주석)
1. 궐(厥)-그, 기(其)와 동일.
2. 대리(大理)-순(舜) 시대의 사법을 담당하는 최고 관직.
3. 복(伏)-복(服)과 통하며, 믿음으로 복종하다의 의미이다.
4. 공사(工師)-위로는 사공(司空)의 지휘를 받으며 아래로는 백공의 우두머리이다. 토목건축과 백공(百工)의 교육을 담당한다.
5. 백공(百工)-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백관을 가리킨다. 둘째, 각종 기술자를 가리킨다. 셋째, 성곽과 도읍, 사직과 종묘, 궁실과 기계 등을 건설하고 제작을 담당하는 사공(司空)에 예속된 관리를 가리킨다. 여기서는 셋째의 의미이다.
6. 우(虞)-고대에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관직 명칭이다
7. 직(稷)-농사를 주관하는 관리이고 후직(后稷), 직관(稷官), 직정(稷正) 등으로 일컬었다.
8. 사도(司徒)-1-026-주석27 참고.
9. 빈객(賓客)-순(舜) 시기에 내외 사절을 접대하는 관직.
10. 9주(九州)-중국을 일컫는 별칭중의 하나이다. 고대에 전국을 9개 구역으로 나눈 것으로, 기주(冀州), 연주(兖州), 청주(青州), 서주(徐州), 양주(揚州), 형주(荆州), 량주(梁州), 옹주(雍州), 예주(豫州)이다.
11. 벽위(辟違)-사악하고 도리에 어긋난 일을 하다.
12. 우(禹)-1-026-주석5 참고.
13. 피(披)-열다, 개척하다.
14. 9산(九山)-9주의 유명한 산으로 견산(汧山), 호구산(壺口山), 지주산(砥柱山), 태행산(太行山), 서경산(西傾山), 웅이산(熊耳山), 파총산(嶓冢山), 내방산(内方山), 문산(汶山)
15. 9택(九澤)-대륙택(大陸澤), 뇌하택(雷夏澤), 대야택(大野澤), 팽려택(彭蠡澤), 운몽택(雲夢澤), 진택(震澤), 하택(菏澤), 맹저택(孟瀦澤), 영택(濚澤)을 가리킨다.
16. 9하(九河)-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광의의 의미로 황하를 가리킨다. 둘째, 고대 황하 하류의 많은 지류의 총칭이다. 셋째, 순, 우 시기의 황하의 9개 지류로 도해하(徒駭河), 태사하(太史河), 마협하(馬頰河), 부융하(覆融河), 호소하(胡蘇河), 간하(簡河), 길하(洁河), 구반하(釦盤河), 격진하(鬲津河)를 가리킨다.
17. 황복(荒服)-5복중의 하나로 수도에서 2천-2천5백리 떨어진 변방 지역이다. 또는 변방의 먼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18. 교지(交阯)-고대 남방의 지명으로 교지(交趾)로도 쓰며 현재의 월남을 가리킨다.
19. 북발(北發)-남방의 이민족.
20. 서융(西戎)-1-018-주석21 참고.
21. 석지(析枝)-고대 서방 융족(戎族) 중의 하나로 석지(析枝), 선지(鮮支), 사지(賜支), 하곡강(河曲羌) 등으로 쓴다. 현재 청해(靑海) 적석산(積石山)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22. 거수(渠廋)-서방의 오래된 종족으로 渠叟, 渠搜로 쓰며, 대완(大宛) 북쪽에 분포되어 있었다.
23. 저(氐)-원래 중국 북부와 서부의 광대한 지역에서 유목하던 종족이다. 일설에는 저족(氐族)과 강족(羌族)은 근원은 같고 계파가 다르다고 한다.
24. 강(羌)-광의의 의미로 중국 서부(섬서, 감숙, 영하, 신강, 청해, 서장, 사천) 유목민족의 통칭이고, 협의의 의미로는 서부에 거주하는 이민족의 통칭이다.
25. 산융(山戎)-요, 순 시기의 중국 북방의 강력한 이민족으로 북융(北戎)으로도 불렸다.
26. 발(發)-북방의 이민족.
27. 식신(息愼)-중국 동북의 고대 민족으로 직신(稷愼), 숙신(肅愼)으로도 불렸다. 순 시기부터 중원과 관계를 맺었다고 전해온다.
28. 장(長)-동방의 이민족.
29. 조이(鳥夷)-고대 중국 동부 근해 일대에 거주하던 종족.
30. 9초(九招)-순 시기의 악곡 이름으로, 초(招)의 음은 소(韶)이므로 9소(九韶)라고 쓴다. 9소는 순의 음악인《소소(簫韶)》를 말한다.
(국역)
여기 22명(우 이하 10명과 12목)은 모두 공적을 달성하였다. 고요는 법을 집행하는 관리인 대리가 되어 법을 공평하게 집행하였으며, 백성들은 각각 믿음으로 복종하여 그 진실함을 얻었다. 백이는 의례를 주관하여 위와 아랫사람 모두 겸양하게 되었다. 수는 토목건축을 담당하는 백공이 되어 각종 기술자가 모두 임무를 달성하였다. 익은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우가 되어 산과 연못이 모두 개발되었다. 기는 농업을 주관하는 직이 되어 여러 가지 곡식을 때 맞춰서 무성하게 키웠다. 설은 민중, 토지, 교화 등을 담당하는 사도가 되어 백관들이 모두 친근하고 화목하였다. 용은 내외 사절을 담당하는 빈객이 되어 먼 곳의 사절들도 모두 이르게 되었다. 12주 지방 수령이 지방행정을 다스리니 전국에서 감히 사악하고 도리에 어긋난 일을 하는 사람이 없었다. 오직 우의 공적이 가장 큰데, 9개의 산을 개척하고, 9개의 연못을 소통시키고, 9개의 하천을 트고, 전국을 9주로 확정하고, 각 주의 수령은 자신의 직책에 따라서 공물을 바쳤는데 규정에 적합하지 않음이 없었다. 사방 5천리의 영토는 변방의 먼 지역인 황복까지 이르렀다. 남쪽으로는 교지, 북발, 서융, 석지, 거수, 저, 강 ; 북쪽으로는 산융, 발, 식신 ; 동쪽으로는 장, 조이를 다스렸다. 온 세상에서 모두 순의 공적을 받들었다. 그래서 우는 순을 칭송하는 9초라는 음악을 지어 부르고 진기한 물건을 모아 놓으니, 봉황새도 와서 날라 다녔다. 천하에 덕치를 베푼 것은 순부터 시작되었다.

시계수리 최고수를 소개합니다

오래된 명품 시계 오메가가 고장났다. 30년을 나와 함께 동고동락했는데 버릴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이리저리 수소문해서 국내 명품 시계수리 최고라는 장인의 점포에 수리를 맡겼다. 첫번째 찾아간 종로의 명장도 수리 불가능, 두번째 찾아간 남대문의 고수도 불가능, 세번째 찾아간 북창동의 최고 경력자도 불가능 하다고 연락이 왔다. 그러다가 우연히 알게된 포털싸이트의 세븐워치, 반신반의 했지만 의외로 대답은 간단했다. 고칠 수 있습니다. 우편으로 보내세요. 그리고 3주만에 완벽히 수리된 시계를 다시 만났다. 감사합니다. 제가 실제 경험한 사례이며, 유사한 고민을 가지신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cafe.daum.net/ekalon 세븐워치. 서울시 양천구 목동서로 234 목동성원아파트 102동 301호 입니다. 기타 상세한 내용은 카페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소셜문화대학 2차 강의 참석

소셜문화대학 2012년 11월 27일 교보 이벤트홀에서 19시-21시 30분까지 참석.
강사1-인맥의 달인 박희영
강사2-예비역 공군중장 이영하
강사3-SNS 전문가 유영진
강사4-키움넷 대표 문성식,
공연-가수 데이지와 정혜련
뒷풀이 등이 있었습니다.
수고하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2012년 11월 25일 일요일

11월 인도영화 상영

나마스떼 ~
인도 문화원에서 진행되는 인도 영화 상영회,
11월의 상영회는 25일 오후 3시에 진행되며, 상영작은 ‘키스나 Kisna’ 입니다.
장소 : 용산구 한남동 36-1 (인도 대사관 맞은 편), 인도 문화원
시일 : 11월 25일 (일요일) 오후 3시
상영시간 : 99분 (1시간 29분)
상영 후 음료 및 간식 나누는 시간 있음.
 

제목 : 키스나 Kisna (Beyond Love)
감독 : 수바쉬 가이 Subhash Ghai
주연 : 비벡 오베로이 Vivek Oberoi, 안토니아 베르나트 Antonia Bernath, 이샤 샤르바니 Isha
Sharvani, 암리쉬 푸리 Amrish Puri 등
음악 : A. R. 라만 A. R. Raman & 이스메일 다바르 Ismail Darbar
개봉 : 2005년 1월 21일
상영시간 : 99분 (국제용)
줄거리
영국의 인도 식민지 지배가 그 긴 끝에 이른 1940년대.. 인도 소년 키스나 (Vivek Oberoi 분)는 영국 관리의 딸이지만 영국인과 인도인의 차별, 계급과 신분의 차별 등을 알지 못한채 순박하게 성장하던 캐더린 베켓 (Antonia Bernath 분)와 친하게 지내는데.. 인도인들에게 혹독한 악덕 관리인 캐더린의 아버지를 응징하고 착취자인 영국인들에게 복수하겠다고 다짐하는 군중들의 분노는 점점 더 커져가고.. 형제와 삼촌 등 키스나의 가족들도 포함된 분노에 찬 군중들로부터 캐더린을 지켜주겠다고 결심한 키스나는 모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캐서린을 보호하며 뉴델리까지의 피난길을 동행하다가 서로 사랑하게 되고.. 키스나의 약혼녀 락시미 (Isha Sharvani 분)와의 삼각 관계가 빚어지는데…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2008년 ‘슬럼독 밀리어네어’의 음악으로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한 A. R. 라만과 이스메일 다바르의 음악이 인상적이고 아름다운 뮤지컬과도 같은 영화.
원 영화는 177분이지만, 본 상영은 국내 시장용으로 DVD를 출시한 대경 DVD의 99분 축약판으로 감상합니다.
출처-한인교류협회

2012년 11월 24일 토요일

인도의 대서사시 마하바리따 완역

<새물결 새 책>

[마하바라따] 1~5권 

● 인류 최고의 고전, 싼스끄리뜨어에서 세계 3번째로 완역
● 20여 년 간에 걸친 산스크리트 번역과 공들인 주해
● 인간에 대한 가장 깊은 통찰을 기상천외의 문학적 상상력
속에 버무려낸 우리 시대의 고전!
● ‘콘텐츠 없는 디지털 왕국,’ 한국에 내리는 무한 상상의 축복



세계 최고의 상상력이 빚어내는 세상의 모든 이야기
 
앙코르와트, 포켓몬, 삼국지, 간디의『바가와드 기따』속에
살아 있는 인도 문명의 모든 것!
 
<아바타>의 제임스 카메룬 감독 영화화 예정!

 
“나의 오랜 꿈은 [마하바라따]를 영화화하는 것이다!”
― 제임스 카메룬
[마하바라따]에 비하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오히려
순진하다고 봐야 할 것이다.” ―막스 베버
 
“이 세상 모든 것이 [마하바라따]에 있나니,
[마하바라따]에 없는 것은 이 세상에 없도다.”
“가늠할 수 없이 지혜로운 위야사가 지은 이 이야기는 세상사에 관한 학문이요, 성스러운 최상의 다르마에 관한 학문이며,
해탈에 관한 학문이랍니다. 이 이야기를 듣는다면
몸과 마음과 말로 지은 죄가 말끔히 없어질 것입니다.”

❚ 인류 최고의 고전, 세계 3번째로 완역되다.
고전에 대한 규정 중의 하나로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읽지 않는 책이라는 것이 있다. 하지만 우리 현실에 너무나 가까이 있지만 막상 아무도 그것을 모르는 것도 고전에 대한 규정 중의 하나라면, 이것은 [마하바라따]에 온전히 해당되는 이야기이다. 예를 들어 간디는 평생을 조석으로 [바가와드 기따]를 읽었다고 하는데, 이것은 [마하바라따]의 6장의 일부이다. <아바타>에서 이미 [마하바라따]의 몇몇 모티브를 도입했던 카메룬은 “나의 오랜 꿈은 [마하바라따]를 영화화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는 단순히 꿈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할리우드의 <2012>는 이미 이 [마하바라따] 3장에 나오는 <세계 대홍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번안한 것이다. 이 뿐만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앙코르 와트를 불교 사원으로 생각하지만 이 석림(石林)은 [마하바라따] 의 이야기들을 시대별로 상이한 방식으로 조각해놓은 것이다. 또 포켓몬에 등장하는 각종 캐릭터들의 특징과 이름 또한 많은 것이 이 [마하바라따]에서 유래한 것이다. 어디 이 뿐인가. [삼국지]는 기원전부터 형성된 이 대하 전쟁 서사시의 주인공의 모습을 거의 100% 복제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유디스트라 3형제는 말 그대로 이름만 바꾸면 유비, 장비, 관우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앙코르와트의 부조물에서 <견우와 직녀>만이 아니라 홍길동이 아버지에게 하직 인사를 올리는 모습이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 그대로 새겨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마하바라따]는 조금은 낯선 이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즐겨 들어온 우리의 옛 이야기뿐만 아니라 할리우드의 최신 영화에 이르기까지 두루 젖줄을 대고 있는 이야기의 대하장강이다. 그래서인지 인도인들은 이렇게 말하곤 한다. “이 세상 모든 것이 『마하바라따』에 있나니, 『마하바라따』에 없는 것은 이 세상에 없도다.” 따라서 “인도를 준다 해도 셰익스피어와는 바꾸지 않겠다”는 영국인들은 호언장담은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를 합친 것의 8배에 달하는 이 이야기의 대하장강 앞에서는 다소 면구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여기에 현재 기준으로 13억의 인구가 3,000여 년에 걸쳐 구전과 공연과 철학적 검토와 학문적 논쟁, 그리고 불교와의 대결과 상호 침투를 거쳐 집단 지성을 통해 창작해오며 인도인들의 삶의 모든 것이자 상상력의 모든 것을 이우러온 이 이야기의 현실적 힘까지 굳이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지난 100년 동안 우리에게 근대화는 ‘비합리’의 동양 대 ‘합리’의 서구의 대결이라는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지만 이제 중국의 굴기와 인도 등의 급성장은 새로운 문명 충돌과 상호 교섭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 혁명으로 대변되는 기술 혁명은 기술과 인간 사이의 모든 경계를 무너뜨리며 기계가 사람을 대신하도록 한 산업 혁명 이후 가장 충격적인 혁명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아마 이처럼 새로운 조류를 ‘아는 것이 힘이다’에서 ‘상상하는 것이 힘이다’로의 이행으로 요약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지난 2천 년 동안은 명분과 대의 그리고 충효적 질서를 중시하는 유교적 세계관에, 그리고 근대 100년은 선악, 정의/불의의 이원론을 핵심으로 하는 서구의 합리적 세계관을 거의 강박적으로 추종해왔다. 하지만 이제 21세기는 상상과 현실이, 기계와 인간이, 선과 악이, 정의가 불의로 순식간에 전도되는가 하면 하나로 융복합되는 천변만화의 시기로 접어들었다. 뱀의 머리를 힘들겨 당겨야 하는 일은 내팽개치고 띵까띵까 놀면서 불로불사주가 바다에서 솟아나오기만 바라는 신들과 바지와 웃통까지 걷어붙이고 열심히 뱀의 꼬리를 당기지만 불로불사주는 한 방울도 맛보지 못하는 아수라들, ‘○○성지를 순례하면 소 5마리를 보시하는 것과 같은 효력을 갖는다’는 식의 성속을 벗어난 현실주의, 21세기의 SF에나 나올 법한 악당들의 혹성을 정벌하는 이야기, 신들조차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는 아수라들의 고행 이야기, 배신과 타협과 절충을 온갖 궤변과 참언으로 합리화하는 신들 등 이 ‘세상의 모든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책은 모든 세상이 가능해지고, 인간은 무한대로 커지는 동시에 무한대로 작아지고 있는 21세기의 한국 현실에 불쑥 등장한 문화적 축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세상 모든 것이 『마하바라따』에 있나니, 『마하바라따』에 없는 것은 이 세상에 없도다.”
그러면 이 [마하바라따]는 어떠한 이야기가 담겨 있는가? 앞서 이야기한 대로 인도인들의 답은 “이 세상 모든 것이 『마하바라따』에 있나니, 『마하바라따』에 없는 것은 이 세상에 없도다”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예를 들어 1-2권의 표지 그림으로 사용한 인도양을 휘저어 불로불사주를 만드는 이야기를 보면 인도적 상상력 또는 ‘뻥’과 ‘구라’의 스케일과 무궁무진함을 단번에 느낄 수 있다. 상상 속의 거대한 성산 만다라를 인도양 속에 집어넣은 후 신과 아수라들이 뱀의 머리와 꼬리를 잡고 산을 휘휘 돌려 바다를 말려 불로불사주가 나오도록 한다는 상상력은 히말라야를 끼고 있고 비단길을 비롯한 동서양의 교통로의 중심에 있던 인도에서나 가능한 상상력일 것이다. 이 신화를 읽다보면 우리는 왜 인도인들이 뱀을 무서워하는 동시에 신성시 하는지, 소위 인도의 4대 성지는 어떻게 해서 생겼고, 왜 인도인들은 와라나시 강에서 몸을 씻으려고 하는지 등 인도의 모든 것을 신화적 뿌리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이 [마하바라따]에는 이러한 우주적 구라 말고도 인도인들이 삶의 계율로 삼아온 인생의 지침들도 사방에 산재해 있다. “최고의 곡식은 무엇인가? 최고의 재물은 무엇인가? 가장 좋은 축복은 무엇이며, 무엇이 가장 큰 행복인가?” “최고의 곡식은 능력이며, 최고의 재물은 배움입니다. 최상의 축복은 건강이며, 만족이 가장 큰 행복입니다.” 이것을 보면 인도인들은 죄다 도만 닦는 듯이 보이지만 [마하바라따]는 동시에 그와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2장에 들어 있는 일종의 군주론을 보면 왜 막스 베버가 “마하바라따에 비하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오히려 순진하다고 봐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는지를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다. “왕의 승리는 책략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왕국은 비밀이 누설되지 않아야 하며 학문에 정통한 학자들이 잘 이끌어가야 합니다. 잠의 노예가 되지 않고 제때에 일어나시는지요? 또 실리에 밝은지, 다음 날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지에 대해 늦은 밤까지 생각하시는지요?”
하지만 이 정도로는 이 이야기가 1만 년 이상 인도인들의 사랑을 받아온 이유가 충분히 설명될 수 없을 것이다. 인간의 지고지순한 사랑이 신들까지 감동시키는 3장의 <날라와 다마얀띠> 이야기는 인과 신을 절대적으로 구별하는 서양적 상상력이나 욕망과 감정을 감추기만 하고 뒷전의 하찮은 것으로 돌리는 동양적 방식과 달리 인도인들이 얼마나 삶을 긍정하고 배려하고 뿌리부터 성찰하고 있는지를 빼어나게 보여준다. 하지만 여기까지만 이라면 이것은 [마마하바라따]가 아니다. 이 이야기가 이처럼 온갖 신화부터 제왕론, 수신론과 지고지순한 사랑 이야기만 담고 있다면 그것은 인도적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 [마마하바라따]에 진정한 재미를 더해주는 것은 ‘악’ 또는 ‘악당’들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이 [마마하바라]에서는 어떤 선도 절대적일 수 없듯이 어떤 악도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근면성실하고. 딴 생각을 품지 않으며, 순수한 것으로 치면 신들을 능가하는 무수한 아수라들이 있다. 그러나 많은 신은 항상 두 마음을 품고, 순수한 것과는 거리가 멀며, 무임승차를 밥 먹듯이 한다. 이것은 현실과 이상을, 선고 악을 절대적으로 대립시키는 서양이나 중국과 달리 인도 문명이 ‘절대적 상대성’이라는 역설에 기반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동시에 그처럼 냉철한 현실 인식이 비관주의나 냉소주의로 빠지는 것이 아니라 그로부터 출발해 절대선과 절대지를 추구하는데 인도 문명의 독특함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동양의 [삼국지]에서 조조로 대표되는 현실주의는 유비의 명분론에 밀려 기조차 펴지 못하지만 [마하바라따]에서 주인공의 반대편은 많은 대목에서 행동거지와 명분에서 정의를 대변하는 주인공 측을 월등히 뛰어넘는다. 반면 주인공 측은 항상 정의와 정도를 외치지만 막상 현실에서는 편법과 반칙과 술수를 온갖 명분을 들이대며 동원한다. 이처럼 이럴 수도 있지만 저럴 수도 있겠다 식의 시소를 끊임없이 왔다 갔다 하면서 이럴 때 ‘그러면 너는 어떤데’를 묻는데 이 [마마하바라따]의 묘미가 있는데, 이는 세계의 어떤 고전과도 다른 이 책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베버의 말을 조금 확대하자면 이러한 냉철한 현실주의에 비하면 다른 문명의 이상론과 관념론, 그리고 신화들은 아직은 ‘순진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모든 기준이 혼탁해지고 삶의 전망이 한바탕 먼지 속으로 휩싸이고 있는 지금 우리 현실에서 이 [마하바라따]의 출간이 갖는 의미는 각별하다고 할 것이다.

❚ 저자 소개
이 책을 싼쓰끄리뜨에서 옮기고 주해를 두어 길을 안내한 박경숙은 동아대학교를 졸업하고 1991년에 인도의 뿌네 대학에서 빠알리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빠알리어와 싼쓰끄리뜨어를 통해 인도 문화와 문학을 공부하는 것을 업으로 삼은 역자는 이후 같은 대학의 싼쓰끄리뜨어 석사 과정을 졸업한 후 「인도의 신들-베다, 이띠하사, 빨리어 비교 연구」로 동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서로는 『샤꾼딸라』와 『메가두따』가 있으며, 현재 싼쓰끄리뜨・D빠알리 문학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출처-한인교류협회

5제본기 26

1-026.
(원문)
舜入于大麓, 烈風雷雨不迷, 堯乃知舜之足授天下。 堯老, 使舜攝行天子政, 巡狩。 舜得擧用事二十年, 而堯使攝政。 攝政八年而堯崩。 三年喪畢, 讓丹朱, 天下歸舜。 而禹、皐陶、契、后稷、伯夷、蘷、龍、倕、益、彭祖自堯時而皆擧用, 未有分職。 於是舜乃至於文祖, 謀于四嶽, 辟四門, 明通四方耳目, 命十二牧論帝德, 行厚德, 遠佞人, 則蠻夷率服。 舜謂四嶽曰 : “有能奮庸美堯之事者, 使居官相事?” 皆曰 : “伯禹爲司空, 可美帝功。” 舜曰 : “嗟, 然! 禹, 汝平水土, 維是勉哉。” 禹拜稽首, 讓於稷、契與皐陶。 舜曰 : “然, 往矣。” 舜曰 : “棄, 黎民始飢, 汝后稷播時百穀。” 舜曰 : “契, 百姓不親, 五品不馴, 汝爲司徒, 而敬敷五敎, 在寬。” 舜曰 : “皐陶, 蠻夷猾夏, 寇賊姦軌, 汝作士, 五刑有服, 五服三就 ; 五流有度, 五度三居 : 維明能信。” 舜曰 : “誰能馴予工?” 皆曰垂可。 於是以垂爲共工。 舜曰 : “誰能馴予上下草木鳥獸?” 皆曰益可。 於是以益爲朕虞。 益拜稽首, 讓于諸臣朱虎、熊羆。 舜曰 : “往矣, 汝諧。” 遂以朱虎、熊羆爲佐。 舜曰 : “嗟! 四嶽, 有能典朕三禮?” 皆曰伯夷可。 舜曰 : “嗟! 伯夷, 以汝爲秩宗, 夙夜維敬, 直哉維靜絜。” 伯夷讓蘷、龍。 舜曰 : “然。 以蘷爲典樂, 敎稚子, 直而溫, 寬而栗, 剛而毋虐, 簡而毋傲 ; 詩言意, 歌長言, 聲依永, 律和聲, 八音能諧, 毋相奪倫, 神人以和。” 蘷曰 : “於! 予擊石拊石, 百獸率舞。” 舜曰 : “龍, 朕畏忌讒說殄僞, 振驚朕衆, 命汝爲納言, 夙夜出入朕命, 惟信。” 舜曰 : “嗟! 女二十有二人, 敬哉, 惟時相天事。” 三歲一考功, 三考絀陟, 遠近衆功咸興。 分北三苗。
(음역)
순입우대록, 열풍뇌우불미, 요내지순지족수천하。 요로, 사순섭행천자정, 순수。 순득거용사이십년, 이요사섭정。 섭정팔년이요붕。 삼년상필, 양단주, 천하귀순。 이우、고요、설、후직、백이、기、용、수、익、팽조자요시이개거용, 미유분직。 어시순내지어문조, 모우사악, 벽사문, 명통사방이목, 명십이목논제덕, 행후덕, 원영인, 즉만이솔복。 순위사악왈 : “유능분용미요지사자, 사거관상사?” 개왈 : “백우위사공, 가미제공。” 순왈 : “차, 연! 우, 여평수토, 유시면재。” 우배계수, 양어직、설여고요。 순왈 : “연, 왕의。” 순왈 : “기, 여민시기, 여후직파시백곡。” 순왈 : “설, 백성불친, 오품불순, 여위사도, 이경부오교, 재관。” 순왈 : “고요, 만이활하, 구적간궤, 여작사, 오형유복, 오복삼취 ; 오류유도, 오도삼거 : 유명능신。” 순왈 : “수능순여공?” 개왈수가。 어시이수위공공。 순왈 : “수능순여상하초목조수?” 개왈익가。 어시이익위짐우。 익배계수, 양우제신주호、웅비。 순왈 : “왕의, 여해。” 수이주호、웅비위좌。 순왈 : “차! 사악, 유능전짐삼례?” 개왈백이가。 순왈 : “차! 백이, 이여위질종, 숙야유경, 직재유정결。” 백이양기、용。 순왈 : “연。 이기위전악, 교치자, 직이온, 관이율, 강이무학, 간이무오 ; 시언의, 가장언, 성의영, 율화성, 팔음능해, 무상탈륜, 신인이화。” 기왈 : “어! 여격석부석, 백수솔무。” 순왈 : “용, 짐외기참설진위, 진경짐중, 명여위납언, 숙야출입짐명, 유신。” 순왈 : “차! 여이십유이인, 경재, 유시상천사。” 삼세일고공, 삼고출척, 원근중공함흥。 분배삼묘。
(주석)
1. 순(舜)-1-016-주석8 참고.
2. 대록(大麓)-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천자의 업무를 대신하는 것이다. 둘째, 광대한 산림을 가리킨다.
3. 요(堯)-1-012-주석3 참고.
4. 단주(丹朱)-1-015-주석3 참고.
5. 우(禹)-황제(黃帝)의 현손(玄孫)으로 하후씨(夏后氏)이고 이름은 문명(文命)이며 호는 우이다. 후세에 존칭해서 대우(大禹), 하우(夏禹)라고 일컬었고 도산씨(涂山氏)의 여성을 부인으로 맞이하여 아들 계(啓)를 낳았다. 우는 순의 시대에 하백(夏伯)이라는 작위를 받고 사(似)라는 성씨를 하사 받았다. 순을 계승한 이후에는 하 부락연맹의 창시자로 국호를 하(夏)라고 하였고 안읍(安邑)을 도읍지로 삼았으며 대략 기원전 21세기이다. 하 왕조는 우에서 시작하여 걸(桀)에 이르기까지 14대 17왕의 대략 400여년 존속하였다
6. 고요(皐陶)-전설에 요와 순 시기의 법률을 담당하는 관리인 사(士), 사사(士師), 대리(大理)이고, 후대에 옥관(獄官) 또는 옥신(獄神)으로 일컬어졌다. 전욱(顓頊)과 추도씨(鄒屠氏)의 7번째 아들이고 이름은 정견(庭堅)이고 臯陶, 臯繇 등으로 쓴다. 요, 순, 우와 더불어 상고시대 4성(四聖)으로 일컬었다.
7. 설(契)-곡(嚳)의 아들이고 요(堯)의 이복동생이며 성은 자(子)이고 생모는 간적(簡狄)이다. 전설에 의하면 모계 씨족사회 기간에 간적이라는 여인이 해안가에서 목욕을 하다가 현조(玄鳥)가 낳은 알을 삼킨 후에 상(商)의 시조인 설을 낳았다고 한다. 이것은 발해만의 여러 부족에 존재하던 조(鳥) 토템을 반영한 것이다. 나중에 우를 도와 치수에 공을 세워서 상 지역을 하사받았다.
8. 후직(后稷)-서주(西周)의 시조 기(棄)의 별칭이다. 그의 어머니 강원(姜嫄, 곡의 부인)은 거인의 발자취를 따라 걷다가 임신하여 기를 낳았다고 한다. 기는 성장하면서 농사짓는 것을 좋아하여 오곡을 심고 농업에 종사하였다. 요의 통치 시기에는 농사(農師)에 임명되었고, 순의 통치 시기에는 그를 합(郃)이라는 지역에 봉하고 후직이라 일컬었다. 달리 농사를 담당하는 관직을 일컫는다.
9. 백이(伯夷)-염제(炎帝)의 14대 손자이고 공공(共工)의 종손(從孫)으로 요와 순시대의 인물이다. 상(商)나라 말기 고죽국(孤竹國) 군주의 아들 백이(伯夷)와는 다른 인물이다.
10. 기(夔)-기(棄)로 쓰며 후직의 내용을 참고.
11. 용(龍)-요순시기의 인물.
12. 수(倕)-요순시대의 인물로 활, 쟁기, 보습 등을 잘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13. 익(益)-성씨는 영(嬴)이고 고요(皐陶)의 아들이다. 대비(大費), 백예(栢翳), 백예(伯翳) 등으로 일컬었고, 그의 자손들은 익으로 성씨를 삼아서 익씨의 시조가 되었다. 전해오는 말에 축목과 수렵에 능했고 우물을 파는 기술을 발명하여 우물의 신(井神)으로 일컬어졌다.
14. 팽조(彭祖)-성은 전(籛)이고 씨는 팽(彭)이며 이름은 전(翦)이다. 꿩 요리에 능해서 요의 신임을 받았고 나중에 대팽(大彭)을 봉지로 받아서 대팽씨국이 되었다. 전설에 팽씨의 조상이고 부인이 49명이며 자식이 54명이고 860살까지 살았다고 한다.
15. 문조(文祖)-1-016-주석23 참고.
16. 4악(四嶽)-1-015-주석10 참고.
17. 4문(四門)-1-016-주석19 참고.
18. 12목(十二牧)-요, 순 시기의 행정구획 제도이다. 12주는 기주(冀州), 연주(兗州), 청주(靑州), 서주(徐州), 형주(荊州), 양주(揚州), 예주(豫州), 양주(梁州), 옹주(雍州), 유주(幽州), 병주(幷州), 영주(營州)이고 목(牧)은 각 주의 수령이다. 또 1-017-주석15와 32 참고.
19. 만이(蠻夷)-광의의 의미로 화하(華夏) 중원민족 이외의 이민족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협의의 의미로는 남방과 동방에 거주하는 이민족을 가리킨다.
20. 분용(奮庸)-분은 기(起)이고, 용은 공(功)을 나타낸다. 즉 노력해서 공적을 세우는 것을 말함.
21. 거관(居官)-관직을 담당.
22. 상사(相事)-재상의 직무
23. 사공(司空)-중국 고대의 관직 명칭으로 수리와 토목 건축을 담당한다. 사마(司馬), 사구(司寇), 사사(司士), 사도(司徒)와 더불어 5관(五官)이라고 일컫는다.
24. 수토(水土)-수리와 토목
25. 계수(稽首)-무릎을 꿇고 두 손을 맞잡아서 땅에 대고, 머리도 땅에 대고 절하는 최상의 의례이다. 즉 중국 고대에 상대방에게 공경을 나타내기 위하여 행하는 의례로 《주례(周禮)》에 나타나는 9배(九拜) 중의 하나이다. 참고로 9배는 계수, 돈수(頓首), 공수(空首), 진동(振動), 길배(吉拜), 흉배(凶拜), 기배(奇拜), 포배(褒拜), 숙배(肅拜)가 있다. 즉 신분과 등급이 다른 사회 구성원에게, 각기 다른 상황에서 사용되도록 규정된 의례이다
26. 5품(五品)-5상(인, 의, 예, 지, 신)을 말함. 또는 부, 모, 형, 제, 자를 가리킨다.
27. 사도(司徒)-요, 순 시기에 이미 설치된 관직 명칭으로 민중의 교화와 행정사무 등을 담당한다.
28. 부(敷)-펼, 베풀.
29. 5교(五敎)-1-024-주석13 참고.
30. 구적간궤(寇賊姦軌)-구궤적간(寇軌賊姦), 외구내적(外寇內賊)으로도 쓰며, 구(寇)는 외부에서 나쁜 짓을 하는 것이고 적(賊)은 내부에서 나쁜 짓을 하는 것을 말한다.
31. 사(士)-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요순(堯舜) 시기의 법률, 형벌, 감옥을 담당하는 관리인 사(士), 사사(士師), 대리(大理)이다. 둘째, 신분제에서 통치계급으로 왕-제후-경-대부-사에서 최하 등급이다. 상(商)나라와 서주(西周), 춘추(春秋) 시기에는 귀족계층으로 대부분 경(卿)과 대부(大夫)의 가신(家臣)이었다. 춘추 말년 이후에는 점차 통치계급 중에서 지식분자를 가리키게 되었다. 전국시대에는 학사(學士), 용사(勇士), 방사(方士), 책사(策士) 등으로 세분되었다.
32. 5형(五刑)-1-017-주석38 참고.
33. 복(服)-담당하다. 집행하다.
34. 5복(五服)-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왕이 직접 통치하는 지역인 왕기(王畿) 이외에 500리 씩 순차적으로 구획을 정했는데 가까운 곳에서부터 후복(侯服), 전복(甸服), 수복(綏服), 요복(要服), 황복(荒服)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둘째, 5등급의 상복(喪服)을 말한다. 여기서는 5가지 형벌을 집행하는 것을 말한다.
35. 3취(三就)-고대에 사형을 당하는 자는 신분에 따라서 각기 다른 3곳에서 형벌을 받았는데, 큰 죄는 들판에서 대부(大夫)는 조정에서 사(士)는 저자거리에서 형벌을 받는 것을 말한다.
36. 5류(五流)-5형을 받는 죄인을 관대하게 처리하여 유배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37. 도(度)-원칙, 체계.
38. 5도(五度)-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5가지 귀양 보내는 원칙을 말한다. 둘째, 5가지 도량 단위로 분(分), 촌(寸), 척(尺), 장(丈), 인(引)을 가리킨다. 여기서는 첫째의 의미이다.
39. 3거(三居)-거는 처소를 말한다. 즉 고대에 유배를 당하는 죄인을 죄의 경중에 따라서 장소를 달리하는데, 큰 죄를 지은 자는 4예(四裔)로 다음은 9주(九州)의 밖으로, 그 다음은 천리(千里) 밖으로 유배 보냈다.
40. 공(工)-토목건축 업무를 담당하는 관직.
41. 공공(共工)-1-015-주석5 참고.
42. 짐우(朕虞)-고대에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관직 명칭이다. 달리 우(虞) 한 글자를 쓰기도 한다.
43. 주호(朱虎)-순 시기의 관리로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관직을 담당했다고 한다.
44. 웅비(熊羆)-순 시기의 관리로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관직을 담당했다고 한다.
45. 해(諧)-적합하다, 이루다, 화합하다.
46. 3례(三禮)-하늘과 땅과 종묘에 제사지내는 의례를 말한다.
47. 질종(秩宗)-제사와 의례를 담당하는 관직 명칭으로 후대에는 예부(禮部)를 가리키는 칭호로 사용하였다.
48. 전악(典樂)-조정의 음악을 담당하는 관직.
49. 율(栗)-엄격, 공손함.
50. 언의(言意)-말과 뜻으로 즉 시는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것.
51. 장언(長言)-시나 노래를 소리 높여 길게 부르는 것.
52. 의영(依永)-음률이 노래와 부합하는 것을 말함.
53. 화성(和聲)-5성(五聲)이 조화를 이룸.
54. 8음(八音)-광의의 의미로 음악을 가리킨다. 협의의 의미로 악기를 제작하는 8종류의 악기 재료로, 금(金-쇠), 석(石-돌), 사(絲-실), 죽(竹-대나무), 포(匏-바가지), 토(土-흙), 혁(革-가죽), 목(木-나무)을 가리킨다.
55. 격석(擊石)-석경(石磬)을 쳐서 연주하는 것.
56. 부석(拊石)-위와 동일.
57. 솔무(率舞)-잇따라 춤을 추다.
58. 참설(讒說)-참언, 남을 헐뜯는 말.
59. 진위(殄僞)-위선, 거짓
60. 진경(振驚)-놀라게 하다.
61. 납언(納言)-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관직.
62. 시상(時相)-시시각각
63. 출척(絀陟)-인사상의 승진과 강등을 말한다.
64. 중공(衆功)-1-014-주석40 참고.
65. 분배(分北)-나누다, 분리하다.
66. 3묘(三苗)-1-018-주석10 참고.
(국역)
순은 광대한 산림지역에 들어가서 매서운 바람과 우뢰 및 폭우를 만나도 길을 헤매지 않아서, 요는 순이 천하를 계승할 능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알았다. 요는 나이가 들자 순으로 하여금 천자의 정치를 대신하게 하고 전국을 시찰 다니게 했다. 순은 등용되어 20년 동안 정치를 담당하였고, 요는 그로 하여금 천자를 대신하게 하였다. 요를 대신하여 통치한지 8년 만에 요가 사망하였다. 3년 상이 끝나고 요의 아들 단주에게 천자의 자리를 양보했지만, 세상 사람들이 모두 순에게 귀의하였다. 우, 고요, 설, 후직, 백이, 기, 용, 수, 익, 팽조는 요 시기에 모두 등용되었지만 직책이 구분되지는 않았다. 그래서 순은 요의 시조 사당에 가서 사방의 제후들과 모의하여, 궁전 사방의 문을 열고 사방 백성의 의견을 받아들여 상호 소통시켰으며, 12주의 수령에게 요의 훌륭한 덕행을 논의하게 명령하였고, 백성들에게 후한 덕을 베풀며 아첨하는 사람을 멀리하니 주변의 오랑캐들도 모두 복종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누가 능히 분발하여 요의 업적을 크게 빛내는데 공적을 세울 수 있다면, 그에게 재상의 직무를 담당할 관직을 주려고 한다.󰡓 모두 말하기를 󰡒우(백우)를 수리와 토목건축을 담당하는 사공으로 임명하면 요의 업적을 크게 빛낼 수 있습니다.󰡓 순이 말하기를 󰡒아, 옳다. 우, 당신이 가서 치수와 토목사업을 처리 하시요. 오직 부지런한 마음가짐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합니다.󰡓 우는 무릎 꿇고 절하며 후직, 설, 고요에게 양보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내가 말 한대로 하시요. 지금 바로 가서 임무를 수행 하시요.󰡓 순이 말하기를 󰡒기, 백성들에게 굶주린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데 당신이 농사를 담당하는 관직을 담당하고 시기에 맞추어 여러 가지 곡식을 심도록 하시요.󰡓 순이 말하기를 󰡒설, 백관들이 서로 화목하지 못하고 인, 의, 예, 지, 신 등 5상으로도 순화시키지 못했다. 당신이 민중의 교화와 행정사무를 담당하는 사도가 되어서 공경하게 부, 모, 형, 제, 자에 관한 5가지 가르침을 베풀도록 하시요. 오직 관대한 마음가짐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됩니다.󰡓 순이 말하기를 󰡒고요, 사방의 이민족들이 중원을 어지럽히고 안팎으로 온갖 나쁜 짓을 저지르니, 당신이 법률을 담당하는 관리인 사가 되어 이마에 죄수 도장을 찍는 묵형, 코를 베는 의형, 발 뒷굼치를 자르는 비형, 생식기를 제거하는 궁형, 사형시키는 대벽형 등 5종류의 형벌을 집행 하시요. 5종류의 형벌을 집행하여 백성을 복종시키려면 수형자의 신분에 따라서 각기 다른 3곳 즉 들판, 조정, 저자거리에서 시행해야 됩니다. 5종류의 귀양을 보내는 것도 각기 원칙이 있는데, 5가지 원칙은 즉 유배를 당하는 죄인은 죄의 경중에 따라서 3곳(4예, 9주, 천리 바깥)으로 보내야 합니다. 오직 공명정대한 마음가짐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백성들이 믿음으로 복종합니다.󰡓 순이 말하기를 󰡒누가 능히 나의 각종 토목건축을 담당할 수 있습니까? 󰡓 모두 수가 적당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수로 하여금 공공의 직책을 담당하게 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누가 능히 높고 낮은 곳, 풀과 나무, 날짐승 뭍짐승을 관리할 수 있습니까?󰡓 모두 익이 적당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익을 산과 연못을 관리하는 관직에 임명하였다. 익이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리며 주호, 웅비 등 여러 신하에게 양보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가시요. 당신이 적합합니다.󰡓 그리고는 주호, 웅비로 하여금 익을 보좌하게 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누가 능히 내가 실행하는 하늘과 땅과 종묘에 지내는 3가지 제사 의례를 담당할 수 있습니까?󰡓 모두 백이가 적합하다고 말했다. 󰡒오, 백이, 당신을 제사와 의례를 담당하는 질종으로 임명하니 아침이나 저녁을 막론하고 오직 공경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고, 또 정직과 정숙, 청결한 마음가짐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합니다.󰡓 백이는 기와 용에게 양보하였다. 순이 말하기를 󰡒알겠다. 기를 음악을 담당하는 전악으로 임명하니, 귀족의 아이들을 가르치되, 정직하면서도 온화하게, 너그러우면서도 엄격하게, 강하면서도 사납지 않게, 간소하고 질박하면서도 오만하지 않게 하시요. 시는 사람의 감정을 표현한 것이고, 노래는 시의 음조를 길게 늘인 것이며, 소리는 노래의 음률이 부합하게 하는 것이고, 음률은 5성(음률의 기본이 되는 궁, 상, 각, 치, 우의 다섯 음계)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니, 8가지 악기가 내는 소리가 능히 조화를 이루어 서로 어긋나지 않게 하고, 신과 인간이 모두 음악을 통해서 서로 화합하게 하시요.󰡓 기가 말하기를 󰡒아, 제가 석경(돌로 만든 경쇠)을 치면 모든 동물들이 잇따라 춤을 출 것입니다.󰡓 순이 말하기를 󰡒용, 나는 남을 헐뜯거나 거짓말을 하며 나의 백성을 놀라게 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꺼리므로, 당신을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납언으로 임명하니 새벽부터 저녁까지 나의 명령을 전달하고 오직 믿음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합니다.󰡓 순이 말하기를 󰡒아, 당신들 22명은 공경하게 직책을 수행하고, 오직 하늘이 나에게 맡긴 일을 완성할 수 있도록 시시각각 보좌를 해 주시요.󰡓 순은 3년마다 업적을 심사하고 3차례 심사를 거쳐서 승진 또는 강등하니, 먼 곳이나 가까운 곳을 막론하고 각종 사업이 모두 흥성해졌다. 또 3묘족을 분산시켰다.
(참고)
우(禹)의 역사상 공헌-우의 역사상 공헌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인과 가정을 살피는 것보다 국가를 먼저 생각하는 선공후사(先公後私)의 정신이다. 둘째, 전면적으로 지리형세를 관찰하기 위하여 9주(九州)를 답사하고, 여기서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하천과 호수 및 산맥을 수리하고 소통시키는 종합적인 공사를 진행하였다. 셋째, 9주의 토지와 생산물을 조사하여 조공품(朝貢品)과 세금을 부과하고 운송을 위한 육로와 수로를 개통하여 전국적인 공부(貢賦) 체계를 완성하였다.

2012년 11월 23일 금요일

사회공헌 후원인의 밤 참석

20112년 11월 21일 19시부터 21시까지 선샤인호텔에서 사회공헌 후원인의 밤 행사에 참석.

한일문화교류센터 19주년 기념식 참석

2012년 11월 16일 가든호텔에서 17시 50분-19시 30분까지 한일문화교류센터 19주년 기념식에 참석.

휴먼서비스복지회 식사모임

2012년 11월 14일 휴먼서비스복지회 손연숙이사장님과 점심 식사모임을 가짐.

2012년 11월 21일 수요일

5제본기 25

1-025.
(원문)
昔帝鴻氏有不才子, 掩義隱賊, 好行凶慝, 天下謂之渾沌。 少皞氏有不才子, 毁信惡忠, 崇飾惡言, 天下謂之窮奇。 顓頊氏有不才子, 不可敎訓, 不知話言, 天下謂之檮杌。 此三族世憂之。 至于堯, 堯未能去。 縉雲氏有不才子, 貪于飮食, 冒于貨賄, 天下謂之饕餮。 天下惡之, 比之三凶。 舜賓於四門, 乃流四凶族, 遷于四裔, 以御螭魅, 於是四門辟, 言毋凶人也。
(음역)
석제홍씨유부재자, 엄의은적, 호행흉특, 천하위지혼돈。 소호씨유부재자, 훼신오충, 숭식오언, 천하위지궁기。 전욱씨유부재자, 불가교훈, 부지화언, 천하위지도올。 차삼족세우지。 지우요, 요미능거。 진운씨유부재자, 탐우음식, 모우화회, 천하위지도철。 천하오지, 비지삼흉。 순빈어사문, 내유사흉족, 천우사예, 이어이매, 어시사문벽, 언무흉인야。
(주석)
1. 제홍씨(帝鴻氏)-원래는 치우(蚩尤)를 가리켰으나 후에 황제(黃帝)가 치우를 정벌하고 황제 부락이 동이(東夷) 지역을 장악하면서부터 제홍씨는 황제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2. 엄의은적(掩義隱賊)-타인의 의로움을 가리고 자신의 나쁜 짓을 숨기며.
3. 혼돈(混沌)-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요와 순 시기의 4흉(四凶)의 한 명이다. 둘째, 우주가 형성되기 이전의 모호한 상황을 말한다. 셋째, 무지몽매한 사람 혹은 바보를 가리킨다.
4. 소호씨(少皞氏)-중국 북방민족 중의 어느 성씨의 후대를 말하며, 대략 태호(太皞)와 소호는 모두 화서씨(華胥氏)의 아들이고 태호는 복희(伏羲)를 가리킨다. 전해오는 바에 의하면 태호 부락은 성씨가 풍(風)이고 복희씨(伏羲氏)로 일컬어졌으며, 염제(炎帝) 부락에 비해서 약간 늦은 시기에 등장하였다. 태호의 부락은 하남(河南) 회양(淮陽) 일대에서 활동한 부락이었고, 나중에는 황하 하류인 산동(山東) 곡부(曲阜) 지역에까지 확대되었다. 소호는 바로 태호 부락 일파의 후예로 보인다.
5. 숭식(崇飾)-분식(粉飾)과 같으며, 외관을 꾸밈.
6. 궁기(窮奇)-요와 순 시기의 4흉(四凶)의 한 명이다. 궁기는 소호씨의 후예이다.
7. 전욱씨(顓頊氏)-1-007-주석15 참고.
8. 도올(檮杌)-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요와 순 시기의 4흉(四凶)의 한 명이다. 도올은 오한(傲狠), 난훈(難訓) 등의 이름으로 불렸고, 곤(鯀)이 사망한 후에 원한이 뭉쳐서 생겼다고 전해진다. 둘째, 일반적으로 악인(惡人)을 가리킨다.
9. 요(堯)-1-012-주석3 참고.
10. 진운씨(縉雲氏)-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중국 고대의 씨족으로 염제(炎帝)의 후예이다. 둘째, 진운은 황제(黃帝) 시기의 관직 명칭이다. 즉 춘관(春官)은 청운(靑雲), 하관(夏官)은 진운, 추관(秋官)은 백운(白雲), 동관(冬官)은 흑운(黑雲), 중관(中官)은 황운(黃雲)이다. 셋째, 성씨의 하나로 진운씨는 후에 운씨(雲氏)로 바꿨고 현재까지 존재한다.
11. 모(冒)-만족을 모르고 추구하는 것.
12. 도철(饕餮)-요와 순 시기의 4흉(四凶)의 한 명이다. 식탐이 많은 자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13. 3흉(三凶)-혼돈, 궁기, 도올을 가리킨다.
14. 순(舜)-1-016-주석8 참고.
15. 4문(四門)-1-016-주석19 참고.
16. 유(流)-귀양 보내다.
17. 4예(四裔)-사방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을 말하며, 북예는 유주(幽州), 남예는 숭산(崇山), 서예는 삼위(三危), 동예는 우산(羽山)을 가리킨다.
18. 이매(螭魅)-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각종 나쁜 사람을 가리키는데 사용한다. 달리 이매(螭鬽)라고 쓴다. 둘째, 전설에 숲속에 살며 인간을 해롭게 하는 괴물을 말한다.
19. 벽(辟)-열다 벽(闢)과 동일, 통하다.
(국역)
옛날에 제홍씨에게 부족한 자식이 있었는데, 타인의 의로움을 가리고 자신의 나쁜 짓을 숨기며 흉폭하고 사악한 행동하기를 좋아해서, 세상 사람들이 그를 혼돈이라고 일컬었다. 소호씨에게도 부족한 자식이 있었는데, 신의를 저버리고 충직함을 증오하며 외관을 꾸미는 것을 숭상하고 타인에게 좋은 말 해주는 것을 싫어해서, 세상 사람들이 그를 궁기라고 일컬었다. 전욱씨에게도 부족한 자식이 있었는데, 교훈을 받아들이지 않고 무엇이 좋은 말인지 나쁜 말인지를 몰라서, 세상 사람들이 그를 도올이라고 일컬었다. 이들 3개 가족에 대해서 세상 사람들이 모두 우려를 나타냈다. 요의 통치시기에 이르러서도 요는 그들을 제거할 수 없었다. 진운씨에게도 부족한 자식이 있었는데, 술과 음식에 빠지고 재물을 욕심내서 세상 사람들이 그를 도철이라고 일컬었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그를 싫어하였고, 그를 혼돈, 궁기, 도올 등 3명의 가족과 서로 비교하였다. 순이 4문에서 빈객을 접대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을 때에, 이들 4개 흉악한 가족을 쫒아내고 사방 국경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으로 거주지를 옮기게 해서 각종 나쁜 사람(또는 사람 얼굴에 동물 몸통의 괴물을 가리킴)을 방어하게 하니, 사방의 문으로 통행이 순조롭게 되어서 모두가 말하기를 흉악한 사람이 없어졌다고 하였다.
(참고)
4대 흉수(凶獸)와 4대 신수(神獸)-4대 흉수는 상고시대 삼묘, 환두, 공공, 곤 등 4명의 악인이 사망하고, 그들의 정신이 없어지지 않고 흉악한 동물의 화신으로 탄생한 것이 혼돈, 궁기, 도올, 도철이다. 반대로 4대 신수는 청용(靑龍), 백호(白虎), 주작(朱雀), 현무(玄武)이다.

2012년 11월 18일 일요일

5제본기 24

1-024.
(원문)
昔高陽氏有才子八人, 世得其利, 謂之“八愷”。 高辛氏有才子八人, 世謂之“八元”。 此十六族者, 世濟其美, 不隕其名。 至於堯, 堯未能擧。 舜擧八愷, 使主后土, 以揆百事, 莫不時序。 擧八元, 使布五敎于四方, 父義, 母慈, 兄友, 弟恭, 子孝, 內平外成。
(음역)
석고양씨유재자팔인, 세득기이, 위지“팔개”。 고신씨유재자팔인, 세위지“팔원”。 차십육족자, 세제기미, 불운기명。 지어요, 요미능거。 순거팔개, 사주후토, 이규백사, 막불시서。 거팔원, 사포오교우사방, 부의, 모자, 형우, 제공, 자효, 내평외성。
(주석)
1. 고양씨(高陽氏)-1-007-주석13 참고.
2. 고신씨(高辛氏)-1-009-주석4 참고.
3. 재자(才子)-재능 있는 사람, 재능 있는 자식.
4. 8개(八愷)-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전욱 부락에 소속되고 혈연관계에 있는 8개의 세력이 강한 씨족을 가리킨다. 둘째, 전욱의 재능 있는 아들 8명으로, 《좌전》〈문공(文公)〉18년 기록에 의하면 창서(蒼舒), 퇴애(隤敱), 도인(檮戭), 대림(大臨), 방강(尨降), 정견(庭坚), 중용(仲容), 숙달(叔達)을 말하고, 정견의 명칭은 춘추전국 시기까지 역사서에 등장하였다.
5. 8원(八元)-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곡 부락에 소속되고 혈연관계에 있는 8개의 세력이 강한 씨족을 가리킨다. 둘째는 곡의 재능 있는 아들 8명으로, 《좌전》〈문공(文公)〉18년 기록에 의하면 백분(伯奮), 중감(仲堪), 숙헌(叔獻), 계중(季仲), 백호(伯虎), 중웅(仲熊), 숙표(叔豹), 계리(季狸)를 말한다. 특히 명칭 앞에 백, 중, 숙, 계의 사용으로 볼 때 형제 관계이고, 뒤의 4개 씨족은 해당 동물을 토템으로 삼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6. 제(濟)-사용할, 성취할.
7. 운(隕)-떨어질, 상실할.
8. 요(堯)-1-012-주석3 참고.
9. 순(舜)-1-016-주석8 참고.
10. 후토(后土)-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대지와 산천을 주재하는 여성 신을 가리킨다. 둘째, 공공(共工)의 아들 중에 후토가 있으며 농업생산의 발전과 치수 사업에 능통하였다. 셋째, 토지와 치수를 담당하는 직책을 말하기도 함.
11. 규(揆)-관리, 관장을 가리킨다. 나중에는 재상 또는 재상의 관직을 가리킴.
12. 시서(時序)-조리가 있음, 또는 시간의 선후, 계절의 순서를 가리킴.
13. 5교(五敎)-5종 윤리 도덕적 교육으로 부의(父義), 모자(母慈), 형우(兄友), 제공(弟恭), 자효(子孝)를 가리킨다.
14. 내평외성(內平外成)-가정이 화목하고 사회가 평안함을 가리키며, 《상서(尙書)》의 󰡒지평천성(地平天成)󰡓과 같이 쓰인다. 현재 일본의 연호인 평성(平成)의 근원이고 내외와 천지가 평화롭기를 바란다는 뜻이다.
(국역)
옛날에 고양씨에게 재능 있는 아들 8명이 있었는데, 세상 사람들은 그들로부터 이로움을 얻게 되어서 그들을 8개라고 일컬었다. 고신씨도 재능 있는 아들 8명이 있었는데, 세상 사람들이 그들을 8원이라고 일컬었다. 이들 16개 씨족은 대대로 훌륭한 덕을 사용하여 명성이 추락하지 않았다. 요의 통치시기에 이르러 요는 그들의 후손을 등용하지 않았다. 순은 8개의 후손을 등용하여 그들로 하여금 토지와 치수를 담당하는 직책인 후토를 맡게 하여,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하게 하니 이치에 어긋남이 없었다. 또 8원의 후손을 등용하여 그들로 하여금 사방에서 5종 윤리를 전파하게 하니, 부의(아버지는 의롭고), 모자(어머니는 자애롭고), 형우(형은 우애있고), 제공(동생은 공경하고), 자효(자식은 효도하고)하게 되어 가정이 화목하고 사회가 평안하게 되었다.

2012년 11월 16일 금요일

5제본기 23

1-023.
(원문)
舜年二十以孝聞。 三十而帝堯問可用者, 四嶽咸薦虞舜, 曰可。 於是堯乃以二女妻舜以觀其內, 使九男與處以觀其外。 舜居嬀汭, 內行彌謹。 堯二女不敢以貴驕事舜親戚, 甚有婦道。 堯九男皆益篤。 舜耕歷山, 歷山之人皆讓畔 ; 漁雷澤, 雷澤上人皆讓居 ; 陶河濱, 河濱器皆不苦窳。 一年而所居成聚, 二年成邑, 三年成都。 堯乃賜舜絺衣, 與琴, 爲築倉廩, 予牛羊。 瞽叟尙復欲殺之, 使舜上塗廩, 瞽叟從下縱火焚廩。 舜乃以兩笠自扞而下, 去, 得不死。 後瞽叟又使舜穿井, 舜穿井爲匿空旁出。 舜旣入深, 瞽叟與象共下土實井, 舜從匿空出, 去。 瞽叟、象喜, 以舜爲已死。 象曰 : “本謀者象。” 象與其父母分, 於是曰 : “舜妻堯二女, 與琴, 象取之。 牛羊倉廩予父母。” 象乃止舜宮居, 鼓其琴。 舜往見之。 象鄂不懌, 曰 : “我思舜正鬱陶!” 舜曰 : “然, 爾其庶矣!” 舜復事瞽叟愛弟彌謹。 於是堯乃試舜五典百官, 皆治。
(음역)
순년이십이효문。 삼십이제요문가용자, 사악함천우순, 왈가。 어시요내이이녀처순이관기내, 사구남여처이관기외。 순거규예, 내행미근。 요이녀불감이귀교사순친척, 심유부도。 요구남개익독。 순경역산, 역산지인개양반 ; 어뇌택, 뇌택상인개양거 ; 도하빈, 하빈기개불고유。 일년이소거성취, 이년성읍, 삼년성도。 요내사순치의, 여금, 위축창름, 여우양。 고수상복욕살지, 사순상도름, 고수종하종화분름。 순내이양립자한이하, 거, 득불사。 후고수우사순천정, 순천정위닉공방출。 순기입심, 고수여상공하토실정, 순종닉공출, 거。 고수、상희, 이순위이사。 상왈 : “본모자상。” 상여기부모분, 어시왈 : “순처요이녀, 여금, 상취지。 우양창름여부모。” 상내지순궁거, 고기금。 순왕견지。 상악불역, 왈 : “아사순정울도!” 순왈 : “연, 이기서의!” 순복사고수애제미근。 어시요내시순오전백관, 개치。
(주석)
1. 순(舜)-1-016-주석8 참고.
2. 요(堯)-1-012-주석3 참고.
3. 4악(四嶽)-1-015-주석10 참고.
4. 규예(嬀汭)-1-016-주석13 참고.
5. 미근(彌謹)-더욱 삼감.
6. 역산(歷山)-1-022-주석3 참고.
7. 반(畔)-밭두둑, 경계.
8. 뇌택(雷澤)-1-022-주석4 참고.
9. 하빈(河濱)-1-022-주석5 참고.
10. 고유(苦窳)-거칠고 이지러지거나 흠이 있음.
11. 취(聚)-촌락.
12. 읍(邑)-큰 마을.
13. 도(都)-도읍으로 종묘와 군주의 사당이 있음.
14. 치의(絺衣)-칡의 섬유로 짠 옷, 갈포(葛布) 옷.
15. 고수(瞽叟)-1-020-주석3 참고.
16. 도(塗)-흙을 발라서 틈새를 메움.
17. 입(笠)-대나무를 엮어서 햇빛이나 비를 가리게 사용하는 모자이다.
18. 악(鄂)-놀랄 악(愕)과 동일.
19. 상(象)-1-021-주석3 참고.
20. 역(懌)-기뻐할.
21. 울도(鬱陶)-깊이 생각에 잠긴 모양.
22. 서(庶)-거의 같다, 거의 되려 함.
23. 5전(五典)-1-016-주석16 참고.
(국역)
순은 20세에 효도로써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30세에 요가 천자가 될 만한 인물이 있는가를 물었을 때, 사방 제후들이 모두 우순을 추천하며 그가 적당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요는 두 딸을 순의 부인으로 삼게 하여 가정적인 능력을 관찰하였으며, 9명의 아들로 하여금 함께 거처하게 하여 사회적인 능력을 관찰하였다. 순은 규예에 거주하면서 가정적으로 수양하며 더욱 공경하고 조심하며 지냈다. 요의 두 딸도 감히 신분이 고귀하다고 순의 친척을 섬기지 않을 수 없었으며, 더욱 부녀자의 도리를 준수하였다. 요의 9명 아들들도 모두 행실이 더욱 독실해졌다. 순이 역산에서 농사를 지면 역산 사람들은 밭두렁 경계를 양보했고, 뢰택에서 물고기를 잡으면 뢰택 사람들은 모두 고기 잡는 장소를 양보했으며, 하빈에서 토기를 구울 때는 하빈의 토기는 모두 거칠고 이지러지거나 흠이 없었다. 1년이 되자 순이 거처하는 곳은 취락이 되고, 2년째는 읍락이 되었으며, 3년째는 도읍이 되었다. 요는 그래서 순에게 칡의 섬유로 짠 갈포 옷과 거문고를 하사하였고, 곡식 창고를 지어주었으며 소와 양을 보내 주었다. 고수는 여전히 순을 살해하려고 하였는데, 순으로 하여금 곡식 창고에 올라가서 틈새를 메우게 시키고 고수는 아래에서 불을 질러 곡식 창고를 불태웠다. 순은 2개의 삿갓으로 스스로를 방어하면서 내려와 도망가서 죽지 않았다. 후에 고수는 또 순으로 하여금 우물을 파게 하였고, 순은 우물을 파면서 옆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숨을 공간을 만들었다. 순은 이미 매우 깊게 팠고, 고수와 상은 함께 흙을 넣어서 우물을 메웠으며, 순은 숨을 공간을 통해서 빠져나왔다. 고수와 상은 매우 기뻐하며 순은 이미 죽었다고 여겼다. 상이 말하기를 󰡒이 계획은 내가 꾸민 것입니다.󰡓 상이 그 부모와 재산을 나누며 말하기를 󰡒순의 아내인 요의 두 딸과 거문고는 내가 가지겠습니다. 소와 양과 창고는 부모님이 가지세요.󰡓 상은 이에 순의 거처로 가서 거문고를 연주하였다. 순이 가서 그것을 보니, 상이 놀라서 기뻐하지 않으며 말하기를 󰡒나는 순을 생각하며 마침 우울했다. 󰡓 순이 말하기를 󰡒그러냐. 너도 내가 너를 생각하는 마음과 거의 같구나.󰡓 순은 다시 고수를 섬기고 동생을 아끼는 것이 더욱 공손하고 신중하게 하였다. 그래서 요는 순에게 5종 윤리 즉 부의(아버지는 의롭고), 모자(어머니는 자애롭고), 형우(형은 우애 있고), 제공(동생은 공경하고), 자효(자식은 효도하고)의 도리의 추진과 각종 관직을 담당하게 하여 순의 능력을 시험해 보았으며, 순은 모두 잘 다스렸다.
(참고)
순의 가족이 순을 살해하려는 이유-순은 나이 20에 효성으로 이름이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런데 그의 가족은 왜 순을 살해하려고 했을까? 자료에 상세하지는 않지만 대략 순의 이복동생을 편애하여 그에게 집안의 재산을 독점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순의 덕망이 높은 것은 이러한 환경에서도 효성으로 부모를 봉양하고 우애로 동생을 대우하였으며, 제위에 오른 후에도 자식의 도리를 다하고 동생을 제후로 책봉하는 등 진정성을 시종일관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2012년 11월 13일 화요일

5제본기 22

1-022.
(원문)
舜, 冀州之人也。 舜耕歷山, 漁雷澤, 陶河濱, 作什器於壽丘, 就時於負夏。 舜父瞽叟頑, 母嚚, 弟象傲, 皆欲殺舜。 舜順適不失子道, 兄弟孝慈。 欲殺, 不可得 ; 卽求, 嘗在側。
(음역)
순, 기주지인야。순경역산, 어뢰택, 도하빈, 작집기어수구, 취시어부하。순부고수완, 모은, 제상오, 개욕살순。순순적불실자도, 형제효자。욕살, 불가득 ; 즉구, 상재측。
(주석)
1. 순(舜)-1-016-주석8 참고.
2. 기주(冀州)-현재 하북성(河北省) 형수시(衡水市) 부근으로 화북 평원의 중심부이다.
3. 역산(歷山)-포판(蒲坂) 남쪽에 있는 산으로 산서성(山西省) 영제시(永濟市)에 있다.
4. 뢰택(雷澤)-산동성(山東省) 하택(菏澤) 동북에 있고, 뢰하택(雷夏澤), 용택(龍澤)이라 불린다.
5. 하빈(河濱)-사남현(沙南縣)에 있고, 동쪽이 황하와 맞닿아 있다.
6. 집기(什器)-집물(什物), 세간살이에 쓰이는 온갖 도구.
7. 수구(壽丘)-산동성 곡부성(曲阜城) 부근에 있고, 황제(黃帝)의 탄생지로 알려져 있다.
8. 취시(就時)-저자(시장) 취, 또는 시기를 타서, 시기를 쫒아서 이득을 얻음(乘時逐利)으로 장사를 하는 것을 가리킴.
9. 부하(負夏)-현재의 역산진(歷山鎭)으로 고대에는 부하라고 일컬었다.
10. 고수(瞽叟)-1-020-주석3 참고.
11. 상(象)-1-021-주석3 참고.
12. 순적(順適)-순종, 영합, 순응, 적응, 순심적의(順心適意).
13. 상(嘗)-항상.
(국역)
순은 기주 출신이다. 순은 역산에서 농사를 짓고 뢰택에서 물고기를 잡았으며, 하빈에서 토기를 만들었고 수구에서 세간에 쓰이는 온갖 도구를 만들었으며, 부하에서 장사를 하였다. 순의 아버지 고수는 완고하고 어머니는 어리석었으며 동생 상은 교만하여, 모두 순을 죽이려고 하였다. 순은 순종하여 자식의 도리와 형제간의 자애로움을 잃지 않았다. 순을 죽이려고 할 때는 찾을 수 없지만, 순이 필요할 때는 항상 부모님 옆에서 모셨다.

2012년 11월 12일 월요일

5제본기 21

1-021.
(원문)
舜父瞽叟盲, 而舜母死, 瞽叟更娶妻而生象, 象傲。 瞽叟愛後妻子, 常欲殺舜, 舜避逃 ; 及有小過, 則受罪。 順事父及後母與弟, 日以篤謹, 匪有解。
(음역)
순부고수맹, 이순모사, 고수갱취처이생상, 상오。고수애후처자, 상욕살순, 순피도 ; 급유소과, 즉수죄。순사부급후모여제, 일이독근, 비유해。
(주석)
1. 순(舜)-1-016-주석8 참고.
2. 고수(瞽叟)-1-020-주석3 참고.
3. 상(象)-순의 이복 동생으로 성격이 오만하고 잔인하였다. 후에 유비(有庳) 즉 현재의 호남성( 湖南省) 도현(道縣) 이라는 곳을 봉지로 받았다.
4. 독근(篤謹)-독실하고 신중함.
5. 비(匪)-아닐 비(非)와 동일.
6. 해(解)-게으를 해(懈)와 동일.
(국역)
순의 아버지 고수는 맹인이었는데, 순의 어머니가 사망하자 고수는 다시 아내를 얻어서 상을 낳았으며 상은 성품이 오만하였다. 고수는 후처의 자식을 사랑하여 항상 순을 죽이려고 하였으며, 순은 피해서 도망 다녔다. 순은 작은 잘못이라도 저지르게 되면 곧 벌을 받았다. 순은 아버지와 계모와 동생을 순종하는 마음으로 섬겼고, 매일 공경하고 근신하며 게으름을 부리지 않았다.

2012년 11월 10일 토요일

5제본기 20

1-020.
(원문)
虞舜者, 名曰重華。 重華父曰瞽叟, 瞽叟父曰橋牛, 橋牛父曰句望, 句望父曰敬康, 敬康父曰窮蟬, 窮蟬父曰帝顓頊, 顓頊父曰昌意 : 以至舜七世矣。自從窮蟬以至帝舜, 皆微爲庶人。
(음역)
우순자, 명왈중화。중화부왈고수, 고수부왈교우, 교우부왈구망, 구망부왈경강, 경강부왈궁선, 궁선부왈제전욱, 전욱부왈창의 : 이지순칠세의。자종궁선이지제순, 개미위서인。
(주석)
1. 우순(虞舜)-1-016-주석8 참고.
2. 중화(重華)-순의 이름이고, 후에는 제왕을 대신하여 일컬을 때 사용하였다.
3. 고수(瞽叟)-순의 아버지이고 황제의 8대손이다.
4. 교우(橋牛)-순의 할아버지이다.
5. 구망(句望)-순의 증조할아버지이다.
6. 경강(敬康)-순의 고조할아버지이다.
7. 궁선(窮蟬)-1-009-주석2
8. 전욱(顓頊)-1-007-주석15
9. 창의(昌意)-1-007-주석8
10. 미(微)-미천함.
11. 서인(庶人)-평민, 서민 즉 일반백성을 말함.
(국역)
우순은 이름을 중화라고 일컬었다. 중화의 아버지는 고수이고 고수의 아버지는 교우이며, 교우의 아버지는 구망이고 구망의 아버지는 경강이며, 경강의 아버지는 궁선이고 궁선이 아버지는 전욱이며, 전욱의 아버지는 창의이고, 순에 이르기까지는 7대가 지났다. 궁선부터 순에 이르기까지는 모두 신분이 미천하여 일반 백성이었다.

강남스타일-한류

한류(Korea Style)   강남스타일(Gangnam Style)

*한자로 표기하면...?
유럽 스타일-歐風
미국 스타일-美雨
한국 스타일-韓流
일본 스타일-日波
중국 스타일-中潮

CEO CAFE 모임 참석

2012년 11월 9일 19시-22시, 클렉스 본사 4층 CEO CAFE 모임 참석
《죽어도 성공하기》《꼬리가 개를 흔든다》의 저자 유석호 대표 강의-강제 두뇌활성화 방법

5제본기 19


1-019.
(원문)
堯立七十年得舜, 二十年而老, 令舜攝行天子之政, 薦之於天。 堯辟位凡二十八年而崩。 百姓悲哀, 如喪父母。 三年, 四方莫擧樂, 以思堯。 堯知子丹朱之不肖, 不足授天下, 於是乃權授舜。 授舜, 則天下得其利而丹朱病 ; 授丹朱, 則天下病而丹朱得其利。 堯曰 : “終不以天下之病而利一人”, 而卒授舜以天下。 堯崩, 三年之喪畢, 舜讓辟丹朱於南河之南。 諸侯朝覲者不之丹朱而之舜, 獄訟者不之丹朱而之舜, 謳歌者不謳歌丹朱而謳歌舜。 舜曰 : “天也”, 夫而後之中國踐天子位焉, 是爲帝舜。
(음역)
요립칠십년득순, 이십년이로, 령순섭행천자지정, 천지어천。요피위범이십팔년이붕。백성비애, 여상부모。삼년, 사방막거악, 이사요。요지자단주지불초, 부족수천하, 어시내권수순。수순, 즉천하득기이이단주병 ; 수단주, 즉천하병이단주득기이。요왈 : “종불이천하지병이이일인”, 이졸수순이천하。요붕, 삼년지상필, 순양벽단주어남하지남。제후조근자부지단주이지순, 옥송자부지단주이지순, 구가자불구가단주이구가순。순왈 : “천야”, 부이후지중국천천자위언, 시위제순。
(주석)
1. 요(堯)-1-012-주석3 참고.
2. 순(舜)-1-016-주석8 참고.
3. 피위(辟位)-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벽은 임금, 천자의 자리를 가리킨다. 둘째, 피할 피(避)로써 그 자리에서 물러나다. 여기서는 둘째의 의미이다.
4. 백성(百姓)-1-002-주석4 참고.
5. 단주(丹朱)-1-015-주석3 참고.
6. 남하(南河)-비교적 유력한 지역은 강소성(江蘇省) 향수현(嚮水縣)에 있는 하천.
7. 조근(朝覲)-신하가 아침에 입궐하여 천자를 배알하는 것을 가리키며 조현(朝見)이라고도 쓴다. 참고로 조공(朝貢)은 제후 또는 속국의 사신이 입궐하여 공물을 바치는 것이고, 조헌(朝獻)은 예물을 바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표현은 당시 이미 봉건제도가 실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8. 구가(謳歌)-여러 사람이 은덕을 칭송하여 함께 노래 부름.
9. 중국(中國)-고대 문헌에 나타난 중국의 개념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경사(京師-수도)를 가리킨다. 둘째, 천자가 직접 통치하는 지역인 왕기(王畿)를 가리킨다. 셋째, 중원지역 즉 황하 중, 하류의 문명 발생의 중심지역을 가리킨다. 넷째, 국내, 내지, 국중(國中)을 가리킨다. 다섯째, 제하족(諸夏族)이 거주하고 문화 전통이 존재하는 지역을 가리킨다. 여섯째, 한족이 중원에 건립한 국가인 중원왕조를 가리킨다. 일곱째, 소수민족이 중원에 진입하여 건립한 정권을 가리킨다. 여덟째, 정통왕조를 가리킨다. 본문에서는 첫 번째의 의미이다.
10. 천(踐)-1-016-주석4 참고.
(국역)
요는 재위 70년 만에 순을 얻었고, 그 20년 후에 나이가 늙어서 순으로 하여금 천자의 정치를 대신 처리하게 하였으며, 하늘에 순을 추천하였다. 요는 제위를 물려준 지 28년 만에 사망하였다. 백관들은 매우 슬퍼하였는데 마치 부모가 돌아가신 것과 같았다. 3년 동안 사방에서는 음악을 연주하지 않았고 요를 추모하였다. 요는 아들 단주가 어리석어서 천하를 통치하기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이에 순에게 제왕의 자리를 넘겨주어 임시로 직무를 대신하게 하였다. 순이 계승하면 즉 천하가 이로움을 얻지만 단주는 손해를 보고, 단주가 계승하면 즉 천하는 손해 보지만 단주는 이로움을 얻게 될 것이다. 요가 말하기를 “결국 천하를 손해 보게 해서 한 사람을 이롭게 할 수는 없다.” 그러고는 마침내 순에게 천하를 물려주었다. 요가 사망하고 3년 상의 기간이 끝나자 순은 천자의 자리를 단주에게 양보하고 남하의 남쪽으로 가서 숨었다. 제후들이 아침에 입궐하여 천자를 배알하러 단주에게 가지 않고 순에게 갔으며, 소송이 걸린 자들도 단주에게 가지 않고 순에게로 갔다. 순이 말하기를 “하늘의 뜻이구나.” 그런 후에 수도로 가서 천자의 자리에 올랐는데 이 사람이 바로 순이다.

2012년 11월 7일 수요일

5제본기 18


1-018.
(원문)
讙兜進言共工, 堯曰不可而試之工師, 共工果淫辟。 四嶽擧鯀治鴻水, 堯以爲不可, 嶽彊請試之, 試之而無功, 故百姓不便。 三苗在江淮、荊州數爲亂。 於是舜歸而言於帝, 請流共工於幽陵, 以變北狄 ; 放讙兜於崇山, 以變南蠻 ; 遷三苗於三危, 以變西戎 ; 殛鯀於羽山, 以變東夷 : 四罪而天下咸服。
(음역)
환두진언공공, 요왈불가이시지공사, 공공과음벽。사악거곤치홍수, 요이위불가, 악강청시지, 시지이무공, 고백성불편。삼묘재강회、형주삭위난。어시순귀이언어제, 청유공공어유릉, 이변북적 ; 방환두어숭산, 이변남만 ; 천삼묘어삼위, 이변서융 ; 극곤어우산, 이변동이 : 사죄이천하함복。
(주석)
1. 환두(讙兜)-1-015-주석4 참고.
2. 공공(共工)-1-015-주석5 참고.
3. 요(堯)-1-012-주석3 참고.
4. 공사(工師)-토목 건축과 기술자들을 교육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관리이다.
5. 음벽(淫辟)-음란하고 간사함.
6. 4악(四嶽)-1-015-주석10 참고.
7. 곤(鯀)-1-015-주석15 참고.
8. 홍수(鴻水)-중국 고대 문헌에서 홍수(洪水)와 같이 사용된다.
9. 백성(百姓)-1-002-주석4 참고.
10. 3묘(三苗)-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중국 전설 중의 황제부터 우(禹) 시대에 이르기까지 활동했던 종족의 명칭으로, 묘민(苗民), 유묘(有苗) 등으로 일컬어졌다. 주요 분포지역은 동정호(洞庭湖)와 파양호(鄱陽湖)의 사이이다. 둘째, 3묘 부락의 수령으로 환두(讙兜), 공공(共工), 곤(鯤)과 합하여 요에 의하여 처벌을 받은 4명의 죄인을 가리킨다.
11. 강회(江淮)-협의의 의미는 장강(長江)과 회하(淮河) 사이의 지역으로 오늘날의 강소(江蘇)와 안휘(安徽)의 중부지역이다. 광의의 의미는 강남(江南)과 회남(淮南) 지역을 강남이라 일컫는다.
12. 형주(荊州)-호북성(湖北省) 중남부와 장강 중하류 지역이다.
13. 삭(數)-자주.
14. 순(舜)-1-016-주석8 참고.
15. 유(流)-1-017-주석36 참고.
16. 북적(北狄)-북방 이민족의 통칭이다. 적족(狄族)은 요 이전에 형성되었고 북방에 거주하였으며, 종족 근원은 적역(狄歷)이고 간략하게 북적이라고 일컬었다.
17. 숭산(崇山)-호남성(湖南省) 장가계시(張家界市) 서남쪽에 있고 천문산(天門山)과 연결되어 있다.
18. 남만(南蠻)-선진(先秦) 시기에 중국 남부에 거주하는 이민족을 통칭해서 남만이라고 일컬었다.
19. 삼위(三危)-역사서에 기재된 최초의 돈황(敦煌)을 가리키는 지명이다. 또는 돈황에 있는 삼위산을 가리키기도 한다.
20. 극(殛)-죽이다. 처벌하다.
21. 서융(西戎)-고대 화하족(華夏族)이 서쪽의 이민족을 가리키는 말이다.
22. 우산(羽山)-강소성(江蘇省) 동해현(東海縣)과 산동성(山東省) 임목현(臨沭縣) 경계에 있다.
23. 동이(東夷)-동방 이민족에 대한 통칭이고 제이(諸夷), 사이(四夷), 동이(東夷), 서이(西夷), 남이(南夷), 구이(九夷) 등으로 일컬었다.
24. 4죄(四罪)-환두(讙兜)는 추방하고, 공공(共工)은 귀양 보내고, 삼묘(三苗)는 강제 이주시키고, 곤(鲧)은 처벌한 것을 가리킨다.
(국역)
환두가 공공을 추천하자 요는 등용할 수 없다고 말 했지만 토목 건축과 기술자들을 교육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관직인 공사에 임명하여 시험해 보았으나 공공은 과연 음란하고 간사하였다. 사방의 제후들이 곤에게 홍수를 다스리도록 추천하였지만 요는 등용할 수 없다고 여겼고, 제후들이 그를 시험해 보자고 강력히 요청하였다. 그를 등용하여 시험해 보았지만 공적이 없었고, 결국 각 관리들도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3묘가 장강과 회하 유역 및 형주 지역에서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다. 그래서 순은 궁중으로 돌아와서 요에게 말하기를 공공은 유릉(북방지역)으로 귀양 보내서 북방 이민족의 습속을 변화시키게 하고, 환두는 숭산으로 쫒아내서 남방 이민족의 습속을 변화시키게 하고, 3묘는 삼위(돈황)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켜서 서방 이민족의 습속을 변화시키게 하고, 곤은 우산으로 추방하여 동방 이민족의 습속을 변화시키도록 요청하였다. 4명의 죄인을 처벌하니 천하가 모두 복종하였다.
(참고)
4흉(四凶) 처벌의 의미-요와 순의 4흉에 대한 처벌은 황제와 염제, 황제와 치우 전쟁의 계속과 여파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된 화하(華夏) 부락연맹은 최후의 승리자 황제 일파가 나머지 경쟁 세력을 제거하고 부락연맹의 우두머리가 되었음을 선포한 것이다.

2012년 11월 4일 일요일

5제본기 17

1-017.
(원문)
於是帝堯老, 命舜攝行天子之政, 以觀天命。 舜乃在璿璣玉衡, 以齊七政。 遂類于上帝, 禋于六宗, 望于山川, 辯于群神。 揖五瑞, 擇吉月日, 見四嶽諸牧, 班瑞。 歲二月, 東巡狩, 至於岱宗, 祡, 望秩於山川。 遂見東方君長, 合時月正日, 同律度量衡, 脩五禮五玉三帛二生一死爲摯, 如五器, 卒乃復。 五月, 南巡狩 ; 八月, 西巡狩 ; 十一月, 北巡狩 : 皆如初。 歸, 至于祖禰廟, 用特牛禮。 五歲一巡狩, 群四朝。 徧告以言, 明試以功, 車服以庸。 肇十有二州, 決川。 象以典刑, 流宥五刑, 鞭作官刑, 扑作敎刑, 金作贖刑。 眚災過, 赦 ; 怙終賊, 刑。 欽哉, 欽哉, 惟刑之靜哉!
(음역)
어시제요로, 명순섭행천자지정, 이관천명。순내재선기옥형, 이제칠정。수유우상제, 인우육종, 망우산천, 변우군신。집오서, 택길월일, 견사악제목, 반서。세이월, 동순수, 지어대종, 시, 망질어산천。수견동방군장, 합시월정일, 동율도량형, 수오례오옥삼백이생일사위지, 여오기, 졸내복。오월, 남순수 ; 팔월, 서순수 ; 십일월, 북순수 : 개여초。귀, 지우조예묘, 용특우례。오세일순수, 군사조。편고이언, 명시이공, 거복이용。조십유이주, 결천。상이전형, 유유오형, 편작관형, 복작교형, 금작속형。생재과, 사 ; 호종적, 형。흠재, 흠재, 유형지정재!
(주석)
1. 요(堯)-1-012-주석3 참고.
2. 순(舜)-1-016-주석8 참고.
3. 선기(璿璣)-고대에 천문을 관측하는데 쓰는 기계, 선기옥형이라고 일컫는다. 북두칠성 중에 두 번째 별은 선, 세 번째 별은 기이다. 사마천은 선기옥형을 북두칠성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했다는 주장이 있다.
4. 옥형(玉衡)-옥으로 꾸민 천문관측기. 또는 북두칠성 중의 다섯째 별.
5. 7정(七政)-해와 달 및 화, 수, 목, 금, 토의 다섯 별을 가리키며, 그 운행이 절도가 있어 국가의 정사(政事)와 비슷하므로 7정이라고 한다.
6. 유(類)-군대가 주둔하는 곳의 실내에서 지내는 제사.
7. 상제(上帝)-하늘, 천제(天帝), 유교의 최고 신.
8. 인(禋)-나무를 태워 연기를 피워서 하늘에 지내는 제사.
9. 6종(六宗)-6가지 존숭하는 대상으로 하늘, 땅, 동, 서, 남, 북을 가리킨다. 또는 물, 불, 우레, 바람, 산, 연못을 가리킨다. 그 외에 별(星), 별(辰), 사중(司中), 사명(司命), 풍사(風師), 우사(雨師)를 말한다.
10. 망(望)-멀리 바라보며 지내는 제사.
11. 변(辯)-제물을 골고루 나눠서 지내는 제사.
12. 집(揖)-모으다.
13. 4악(四嶽)-1-015-주석10 참고.
14. 5서(五瑞)-제후의 5가지 직위에 따라 패용하는 옥의 종류이다. 공작(公爵)은 규(珪), 후작(侯爵)은 벽(璧), 백작(伯爵)은 종(琮), 자작(子爵)은 황(瑝), 남작(男爵)은 장(璋)을 패용한다. 또 각각은 용도가 있는데, 규는 신질(信質), 벽은 빙문(聘問), 종은 기토공(起土功), 황은 정소(征召), 장은 발병(發兵)에 사용한다.
15. 목(牧)-고대의 지방조직을 주(州)라 하고 주의 책임자를 목(牧)이라고 일컬었다. 상고시대에는 전국을 12주로 나눴고 우(禹) 시기에는 9주로 나눴다.
16. 반서(班瑞)-제후가 천자를 알현할 때 상서로운 옥을 천자에게 바치고 후에 다시 제후에게 나누어 돌려주는 것을 가리킴.
17. 대종(岱宗)-1-005-2 참고.
18. 시(祡)-땔감을 불태워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것.
19. 망질(望秩)-등급에 따라서 멀리 바라보며 지내는 제사.
20. 5례(五禮)-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공, 후, 백, 자, 남작 등 제후의 조빙(朝聘)의 예의를 말한다. 둘째, 고대의 5가지 의례 제도로 길례(吉禮-제사의 예), 흉례(凶禮-상중의 예), 군례(軍禮-군사의 예), 빈례(賓禮-빈객의 예), 가례(嘉禮-혼인의 예)를 가리킨다.
21. 5옥(五玉)-고대에 제사지낼 때 사용하던 5가지 종류의 옥으로, 규, 벽, 종, 황, 장을 가리킨다.
22. 3백(三帛)-분홍, 검정, 노란색의 3가지 비단으로 제후와 세자(世子)는 분홍색을 공(公)의 자식은 검정색을 속국의 군주는 노란색을 잡는다.
23. 2생(二生)-경(卿)과 대부(大夫)가 천자를 알현하는 의례를 행할 때 손으로 잡고 있던 양과 기러기를 가리킨다.
24. 1사(一死)-사(士)가 천자를 알현하는 의례를 행할 때 손으로 잡고 있던 죽은 꿩을 가리킨다.
25. 지(摯)-폐백 물품.
26. 5기(五器)-공, 후, 백, 자, 남작 등이 천자를 알현할 때 사용하던 예기(禮器)를 가리킨다.
27. 조예(祖禰)-고대에 종묘에 위패가 세워진 돌아가신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일컫는 호칭이다. 참고로 아버지가 살아계실 때는 부(父), 돌아가시면 고(考), 종묘에 위패가 세워지면 예(禰)라고 일컬었다.
28. 특우(特牛)-제물로 바치는 수소.
29. 4조(四朝)-사방의 제후가 4년 동안 각 1차례 천자를 알현하는 것을 가리킴.
30. 편고(徧告)-알리다, 통보하다.
31. 용(庸)-노력, 수고.
32. 12주(十二州)-전설에 요와 순 시대의 지방행정 구획 제도이고, 기주(冀州), 연주(兖州), 청주(青州), 서주(徐州), 형주(荆州), 양주(揚州), 예주(豫州), 양주(梁州), 옹주(雍州), 유주(幽州), 병주(并州), 영주(營州)를 가리킨다.
33. 결(決)-터뜨리다.
34. 상(象)-본보기로 삼다.
35. 전형(典刑)-예전부터 내려오던 형벌에 관한 서적.
36. 유(流)-귀양 보낼.
37. 유(宥)-용서하다.
38. 5형(五刑)-이마에 죄수 도장을 찍는 묵(墨), 코를 베는 의(劓), 발 뒷굼치를 자르는 비(剕), 생식기를 제거하는 궁(宮), 사형시키는 대벽(大辟) 형을 가리킨다.
39. 편(鞭)-채찍질할.
40. 관형(官刑)-고대에 관리를 징벌하는 형벌중의 한 가지로 채찍으로 때리는 편형(鞭刑)을 말한다. 또는 관청에서 사용하는 형벌을 말한다.
41. 복(扑)-종아리를 때리는 회초리.
42. 교형(敎刑)-학교에서 사용하는 형벌.
43. 속형(贖刑)-재물을 납부하고 죄를 사면 받는 것으로 고대에는 구리를 납부하고 서한(西漢) 시기부터 황금 또는 전(錢)을 납부하였다.
44. 생(眚)-잘못. 생재(眚災)는 과실 또는 재난에 의하여 저지른 죄.
45. 호종(怙終)-믿는 데가 있어서 재차 죄를 범하는 사람.
46. 흠재(欽哉)-조심하고 공경함.
47. 정(靜)-쉬다, 그치다.
(국역)
드디어 요는 나이가 들자, 순에게 천자의 정치를 대신하도록 명령하고, 자신은 하늘의 뜻에 부합하는지 만을 관찰하였다. 순은 이에 선기와 옥형 등 옥으로 만든 천문관측 기계를 사용하여, 해, 달, 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 등 7정의 운행이 올바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상제에게는 군대가 주둔하는 곳의 실내에서 행하는 유 제사를 지내고, 하늘, 땅, 동, 서, 남, 북 등 6종에는 나무를 태워서 연기를 피워 올리는 인 제사를 지내고, 산과 강에는 멀리서 바라보며 행하는 망 제사를 지내고, 여러 신들에게는 제물을 골고루 나누는 변 제사를 지냈다. 규, 벽, 종, 황, 장 등 5가지 종류의 옥인 5서를 모았다가 좋은 달과 날을 선택하여 사방의 제후와 여러 지방의 수령을 접견할 때에 다시 나누어 돌려주었다. 그해 2월에는 동쪽으로 순시를 가서 태산에 이르렀고, 땔감을 불태워서 하늘에 지내는 시 제사를 지내고, 산과 강에는 등급에 따라서 멀리 바라보며 행하는 망질 제사를 지냈다. 마침내 동방 제후국의 군주를 접견할 때는, 4계절과 달과 날짜를 역법에 부합하게 하고, 음률(궁, 상, 각, 치, 우)과 자(길이를 재는 도구), 되(분량을 재는 도구), 저울(무게를 재는 도구)을 동일하게 하였으며, 길례(제사의 예), 흉례(상중의 예), 군례(군대의 예), 빈례(빈객의 예), 가례(혼인의 예)의 5종류의 의례와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 등 5등급의 제후가 들고 있는 규, 벽, 종, 황, 장 등 5가지 옥과, 옥을 잡는데 사용하는 분홍, 검정, 노란색의 3가지 비단과, 경과 대부가 의례를 행할 때 손에 들고 있는 살아있는 양과 기러기 및 사가 손에 들고 있는 죽은 꿩 등을 예물로 바치게 하는 규정을 제정하였으며, 5가지 옥은 의례가 끝나면 다시 제후들에게 돌려주었다. 5월에는 남쪽으로 순시를 갔다. 8월에는 서쪽으로 순시를 갔다. 11월에는 북쪽으로 순시를 갔다. 의례는 모두 처음 즉 동쪽을 순시할 때와 같게 하였다. 궁중으로 돌아와서는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사당에서 수컷 소를 제물로 사용하여 제사를 지냈다. 5년에 한차례 순시를 가는데, 나머지 4년에는 사방의 제후가 각 한차례 씩 천자를 알현하게 하였다. 이 내용을 두루 알리고 공명정대하게 제후들의 공적을 살폈으며, 공적이 있으면 수레와 의복을 하사하였다. 비로소 전국을 12주로 나누고 각 주의 물길을 소통시켰다. 예전부터 내려오던 형벌 서적을 본보기로 삼았고, 귀양 보내는 유형으로 묵형, 의형, 비형, 궁형, 대벽형 등 5형을 받아야 할 죄인을 감형해 줬고, 채찍으로 때리는 편형으로 관청에서 사용하는 형벌로 삼았으며, 회초리로 때리는 박형으로 학교에서 사용하는 형벌로 삼았고, 재물(황금)을 지불하는 속형으로 모든 형벌을 대신하게 하였다. 과실 또는 재난에 의하여 저지른 죄는 사면하였고, 믿는 데가 있어서 재차 죄를 범하는 자는 형벌을 주었다. 형벌은 공경하고 신중하여야 하며 가능하면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참고)
속형(贖刑)-재물을 사용해서 죄를 대속하는 것으로 상고시대에 시작되었다. 사용하는 재물은 상고시대에는 구리(銅)를 사용하였고, 한나라 시대에 황금(金)을 사용하였다. 재물의 수량은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형벌 종류는 사형에서부터 태형(笞刑)에 이르기까지 모두 가능하였다. 속형을 사용할 수 있는 대상은 귀족에 한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