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3월 17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27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27회 고전 무료강좌 1. 일시 : 2019년 3월 29일(금) 오후 7시~8시30분 (매주 금요일 강좌가 열립니다)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교수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중국어 실용능력시험(CPT) /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 1, 서울, 경인문화사, 2013 ; 부수적으로 4서5경과 제자백가 등 원전자료 학습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226회 보충설명

4. 餘-甲骨文, 원래는 기둥 하나에 벽이 없는 초가집 ;《說文解字》「餘,語之舒也」(말을 천천히 하는 어조사) ; 남은, 陶淵明《歸園田居》「虛室有餘閑」; 杜甫《杜鵑》「有竹一頃餘, 喬木上參天」;《論語》「弟子,入則孝,出則弟,謹而信,泛愛衆而親仁。行有餘力,則以學文(문헌지식)」; 그 외에,《後漢書》〈祢衡傳〉「大兒孔文擧(孔融),小兒楊德祖(楊修),餘子碌碌,莫足數也」; 자신을 가리키는 1인칭,《文選》〈北征賦〉「餘遭世之顚覆兮,罹填塞之阨災」; 이후,《載敬堂集》「他虛心反省之餘,決心改過」; 한가,《莊子》〈天道〉「無爲也,則用天下而有餘」; 고대 천자의 자칭, 「餘一人」(予一人);「餘小子」(居喪, 予小子); 음력4월의 별칭,《爾雅》〈釋天〉「四月爲餘」; 또, 淸·薛福成《觀巴黎油畵記》「餘亟嘆其技」; 안온한 모양,「餘餘」(불교의 如如 ? ) *生薑--秋史 글씨--「大烹豆腐瓜(茄)薑菜, 高會夫妻兒女孫」(此爲村夫子第一樂上樂. 雖腰間斗大黃金印, 食前方丈侍妾數百, 能享有此味者幾人. 爲 古農書 / 七十一果) 《論語》〈鄕黨〉「不撤薑食,不多食」; 민간--「冬吃羅蔔夏吃薑,不勞醫生開藥方」; 「早吃三片薑」;「早上吃薑,勝過吃蔘湯;晚上吃薑,等於吃砒霜」;「一年之內,秋不食薑」;「一日之內,夜不食薑」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26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26회 고전 무료강좌 1. 일시 : 2019년 3월 15일(금) 오후 7시~8시30분 (매주 금요일 강좌가 열립니다)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교수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중국어 실용능력시험(CPT) /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 1, 서울, 경인문화사, 2013 ; 부수적으로 4서5경과 제자백가 등 원전자료 학습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225회 보충설명

*새는 곤경에 처하면 부리로 아무거나 쪼고, 짐승은 곤경에 처하면 발톱으로 닥치는 대로 할퀴고, 사람은 곤경에 처하면 교활하고 간사하게 변한다(반란 일으킨다). (출처1)《荀子》〈哀公〉「顔淵對(魯定公)曰..臣聞之,鳥窮則啄,獸窮則攫(抓),人窮則詐(새로운 해석-반란)」 (출처2)《孔子家語》〈顔回〉「顔回(對魯定公)曰..臣聞之鳥窮則啄,獸窮則攫,人窮則詐(반란),馬窮則佚(도망),自古及今,未有窮其下而能無危者也」 (새로운 해석)옛날부터 지금까지, 군주의 백성(臣民)이 궁지에 몰렸는데도 국가가 위험에 처하지 않았다는 것은 들어보지 못했다. 1. 宋-甲骨文, 원래는 실내 중앙에 심은 신비로운 나무 ;《說文解字》「宋,居也」; 나라 이름,《墨子》〈公輸〉「吾在北方聞子爲梯, 將以攻宋, 宋何罪之有?」; 성씨,《姓氏源流》「宋姓出自子姓(商),以國名爲氏。周成王時,周公旦平定殷侯武庚和三監叛亂之後,封微子啓於商朝發源地商丘,建立宋國,封爲公爵,尊爲三恪之一,以奉商祀」 2. 頗-篆書, 원래는 산채로 머리 껍데기를 벗기는 형벌 ; 《說文解字》「頗,頭偏也」; 不平正,《史記》〈匈奴列傳〉「朕聞天不頗覆,地不偏載」; 불공정,《左傳》昭公二年「君刑已頗,何以爲盟主」; 대략(자못)《史記》〈賈生列傳〉「頗通諸子百家之書」; 매우, 宋·文天祥《指南錄》〈後序〉「初至北營,抗辭慷慨,上下頗惊動,北亦未敢遽輕吾國」; 불가 3. 收-篆書, 원래는 죄인을 손으로 잡고 때리는 것 ;《說文解字》「收,捕也」;《漢書》〈李廣蘇建傳〉「單于壯其節,朝夕遣人候問武(蘇建次子),而收系張勝」; 거두다,《詩經》〈周頌〉「維天之命,於穆不已。於乎不顯,文王之德之純。假以溢我,我其收之。駿惠我文王,曾孫篤之」;《史記》〈太史公自序〉「春生夏長,秋收冬藏」; 賈誼《過秦論》「收天下之兵,聚之咸陽,銷鋒鏑,鑄以爲金人十二」;《荀子》〈王制〉「收孤寡,補貧窮」;《戰國策》〈燕策〉「乃遂收盛樊於期之首,函封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