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5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5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0월 7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4회 보충설명

10. 末-갑골문, 원래는 여름철에 잎은 무성하지만 열매는 맺지 않음, 또는 나무의 윗부분 ; 《說文解字》󰡒末,木上曰末󰡓; 끝부분,《孟子》〈梁惠王上〉󰡒明足以察秋毫之末, 而不見輿薪,則王許之乎?󰡓; 뾰족한,《史記》〈平原君虞卿列傳〉󰡒夫賢士之處世也, 譬若(比如)錐之處囊中,其末立見(立刻出現)󰡓; 錐處囊中(囊中之錐), 毛遂自薦 ; 말기,《禮記》〈中庸〉󰡒武王末受命󰡓
11. 生-갑골문, 원래는 초목이 땅위로 자라남 ;《易義》󰡒自無出有曰生󰡓 ;《孫子兵法》〈九地〉󰡒陷之死地而後生󰡓;《論語》〈顔淵〉󰡒愛之欲其生, 惡之欲其死󰡓;《孟子》〈告子下〉󰡒然後知生于憂患, 而死于安樂也󰡓
12. 今-갑골문, 원래는 머리를 수구리고 중얼거림 ; 《說文解字》󰡒今,是時也󰡓 ;《孟子》〈梁惠王下〉󰡒今之樂,猶古之樂也󰡓;《史記》〈項羽本紀〉󰡒奪項王天下者,必沛公也,吾属今爲之虜矣󰡓; 此,這
13. 六-갑골문, 원래는 사방에 벽이 있는 집 ;《說文解字》󰡒六,《易》之數,陰變於六,正於八󰡓;《莊子》〈齊物論〉󰡒六合之外,聖人存而不論󰡓;《管子》〈五行〉󰡒人道以六制󰡓
14. 十-갑골문, 원래는 가득 찬 숫자 ;《說文解字》󰡒十,數之具也。一爲東西,丨爲南北,則四方中央備矣。凡十之屬皆从十。󰡓
* 중국인의 숫자관념 ; 上-6(六六大順), 9(天長地久) ; 中-8(發財, 18은 要發, 아파 트 18층은 18層地獄), 0(圓滿), 2(好事成雙) ; 下-1(要), 5(我), 7(吃) ; 下下-3(升 과 傷, 13과 13층), 4(四喜臨門-死, 핸드폰번호 싸다 ; 4, 14, 34, 44층...)
15. 年-갑골문, 원래는 수확한 곡식을 집으로 옮겨가는 것 ; 《說文解字》󰡒年(秊),穀孰也󰡓; 거둔 것을 축하하는 날,《穀梁传》桓公三年󰡒五穀皆熟爲有年也󰡓

2016년 9월 25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4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4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9월 30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3회 보충설명

6. 響-원래는 손님이 겸손의 말로 주인의 초대에 감사의 뜻을 나타냄 ;《說文解字》󰡒響,聲也󰡓
7. 殷-갑골문, 원래는 귀족이 임신한 부인을 위해서 음악을 연주하게 하여 태아를즐겁게 함 ; 부유, 간절, 검 붉은색 ; 풍성,《說文解字》󰡒殷,作樂之盛稱殷󰡓按..󰡒殷者, 舞之容, 殳(수)者, 舞之器󰡓; 크다,《廣雅》󰡒殷,大也,衆也󰡓; 많다,《三國志》〈諸葛亮傳〉󰡒民殷國富󰡓; 제사 종류, 殷際(풍성한 제사)
* 胎敎-《史記》〈周本紀〉“(太妊-周文王母)及其妊娠,目不視惡色,耳不聽淫聲,口不出傲言󰡓; 胎母筆 ;《說文解字》󰡒胎, 婦孕三月也󰡓
8. 自-갑골문, 원래는 코를 나타냄(鼻) ; 《說文解字》󰡒鼻也󰡓 ; 자신,《孟子》󰡒人必自 侮,然後人侮之󰡓; 시작, 근원, 근본,《韓非子》〈心度〉󰡒故法者,王之本也;刑者,愛之自也󰡓; ~로부터,《廣雅》󰡒自,從也󰡓; 필연적으로,《荀子》〈勸學〉󰡒神明自得󰡓
9. 發-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표창을 들고 야수나 적을 향하여 던짐 or 사람 혹은 동물 머리위의 긴 털 ; 髮이 본래 글자 ; 쏘다,《史記》〈李將軍列傳〉󰡒其射,見敵急,非在數十步之内,度不中不發,發即應弦而倒󰡓; 歐陽修《歸田錄》󰡒見其發矢十中八九󰡓; 출발,《史記》〈孫子吳起列傳〉󰡒暮見火而俱發󰡓; 선포하다,《孟子》〈梁惠王上〉󰡒今王發政施仁, 使天下仕者皆立於王之朝󰡓; 두발,《蘇武古詩》󰡒結髮成夫妻󰡓(注)“結髮始成人也。謂男年二十, 女年十五, 時取笄冠爲義也” ; 전하다,《史記》〈廉頗藺相如列傳〉󰡒使人發書於趙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