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6월 9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37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37회 고전 무료강좌 1. 일시 : 2019년 6월 14일(금) 오후 7시~8시30분 (매주 금요일 강좌가 열립니다)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교수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중국어 실용능력시험(CPT) /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 1,서울,경인문화사,2013 ; 부수적으로 4서5경과 제자백가 등 원전자료 학습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강의 제236회 보충설명

2. 獻-갑골문, 원래는 사냥한 동물을 솥에 삶아서 신에게 제사지내는 것 ;《說文解字》「獻,宗廟犬名羹獻。犬肥者以獻之」; 제사지내다,《周禮》〈大司馬〉「獻禽以祭祖」; 바치다,《史记》〈项羽本纪〉「謹使臣良奉白璧一雙,再拜獻大王足下」; 주인이 손님에게 술을 권하다,《儀禮》〈鄕飮酒禮〉「主人坐取爵實之,賓之席前西北面,獻賓」; 드러내다,《後漢書》〈皇后紀上〉「雖惠心姸狀,愈獻丑焉」; 일년의 시작,《楚辭》「獻歲發春兮,汩吾南征」; 축하하다,《禮記》「晋獻文子成室,晋大夫發焉」; 역사와 옛 것에 잘 아는 사람,《論語》〈八佾〉「文獻不足故也」(文:典籍) ; 성스러운,《爾雅》〈釋言〉「獻,聖也」;《諡法》「聰明叡哲曰獻。知質有聖曰獻」 3. 歸-갑골문, 원래는 중앙조정에 순복하는 것 ;《說文解字》「歸,女嫁也」; 복종하다,《史記》〈張丞相列傳〉「錯恐,夜入官上謁,自歸景帝」; 여성 출가,《易經》〈漸〉「女歸,吉」孔穎達疏..「女人……以夫爲家,故謂嫁曰歸也」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36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36회 고전 무료강좌 1. 일시 : 2019년 6월 7일(금) 오후 7시~8시30분 (매주 금요일 강좌가 열립니다)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교수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중국어 실용능력시험(CPT) /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 1,서울,경인문화사,2013 ; 부수적으로 4서5경과 제자백가 등 원전자료 학습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강의 제235회 보충설명

2)嘉礼(인간관계의 감정 화합, 소통, 연계의 예의) (1)飮食禮 (2)婚、冠禮 (3)賓射禮(4)饗宴禮 (5)脤膰禮 (6)賀慶禮 3)賓禮(빈객의 접대 예의) 4)軍禮(군대의 훈련과 정벌 예의) 5)凶禮(망자에 대한 위문과 형식(喪, 荒, 弔, 禬, 恤) 예의) *《荀子》〈勸學〉「鍥而舍之, 朽木不折, 鍥而不舍, 金石可鏤」 滌生(滌蕩過去, 獲得新生) 曾國藩 1. 穀-금문, 원래는 농기구로 곡식을 탈곡하는 것 ; 《說文解字》「穀,續也,百穀之總名」; 곡식,《論語》〈微子〉「四体不勤,五穀不分」; 관리봉급(祿),《荀子》〈王霸〉「穀祿莫厚焉」; 工資와 薪水(開門七件事--柴, 米, 醬, 茶, 油, 鹽, 酢) ; 좋은,《詩經》〈陳風〉「穀旦於差(選擇), 南方之原」; 부양하다,《詩經》〈小雅〉「以穀我士女」; 살아있는,《詩經》〈王風〉「穀則異室,死則同穴」; 穀雨 ; 粟의 별칭,稻의 열매(쌀 낟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