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0월 27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4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4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1. 일시 : 2018년 11월 2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교수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중국어 실용능력시험(CPT) /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213회 보충 설명

1. 與-篆書, 원래는 국자로 타인에게 음식을 덜어줌 ;《說文解字》「與,賜予也。一勺爲與」; 기다리다,《論語》〈陽貨〉「陽貨欲見孔子,孔子不見,歸孔子豚。孔子時其亡也,而往拜之。遇諸涂。謂孔子曰:“來! 予與你言。” 曰:“懷其寶而迷其邦,可謂仁乎?” 曰:“不可。” “好從事而亟失時,可謂知乎?” 曰:“不可, 日月逝矣,歲不我與(歲不與我)」; 주다,《史記》〈項羽本紀〉「我持白璧一雙,欲獻項王,玉斗一雙,欲與亞父(范增)」; 의탁,《國語》〈齊語〉「桓公知天下諸侯多與己也」; 함께,《史記》〈游俠列傳〉「豈若卑論儕俗,與世沉浮而取榮名哉!」 2. 武-갑골문, 원래는 무기를 들고 작전하러 나감 ; 《說文解字》󰡒武,楚莊王曰..“夫武,定功戢兵。故止戈爲武(전쟁을 그치게 하는 것, 인의와 평화를 보호하는 실력)”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3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3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1. 일시 : 2018년 10월 26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교수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중국어 실용능력시험(CPT) /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212회 보충 설명

3. 疑-갑골문, 원래는 사거리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는 것 ; 《說文解字》「疑,惑也」; 의심,《商君書》「疑行無成,疑事無功」 ; 믿지 않음,《孫子》〈謀攻〉「三軍既惑且疑,則諸侯之難至矣」;《禮記》〈燕義〉「不以公卿爲賓,而以大夫爲賓,爲疑也」;《史記》〈李斯列傳〉「臣疑其君,無不危國」 * 관직, 직업에 따른 士, 師, 事, 使의 차이를 아시나요? 判事...... ; 辯護士...... ; 敎師...... ; 觀察使...... *《淮南子》〈人間訓〉 「老子曰:德少而寵多者譏,才下而位高者危,無大功而有厚祿者微,故物或益之而損,或損之而益。衆人皆知利利,而不知病病,唯聖人知病之爲利,利之爲病。故再實之木,其根必傷,多藏之家,其后必殃。夫大利者反爲害,天之道也。德不厭廣,分不可逾。水淺而舟大則膠,樹大而根淺則拔。人之德薄才淺,懷不仁而据高位,鮮不技矣。惟知利病反覆,無甚愛多藏,得義利之和,又何病焉?......天下有三危:少德而多寵,一危也;才下而位高,二危也;身無大功而受厚祿,三危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