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1일 금요일

사기 강의 보충설명 27


제27강, 2013, 11, 1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上海-명칭 유래 첫째,《弘治上海志》"其地居海上之洋(바다위의 바다에 있다)” , 宋代에 최초로 上海鎭 설치;元代에 上海縣 ; 明代에 松江府 ; 1928년에 上海市 둘째, 춘추전국시대 楚나라 春申君의 봉지로 申 ; 晉代에 어촌마을을 가리키는 滬(호) ; 작은 강을 가리키는 浦 등으로 불려졌음.

*《史記》〈李將軍列傳〉󰡒桃李不言 下自成蹊󰡓(지름길 혜)-蹊의 본래 뜻은 오래된, 옛날 길(古道) ; 여기서는 작은 길(小路)의 뜻이다. 좋은 일을 하면 굳이 내세우지 않아도 많은 사람이 알게되고 칭찬한다는 내용입니다.

1. 雒-漢, 武帝 이후 洛.
2. 滎(실개천)-螢(반디불, 螢雪之功) 熒(등불) 褮(옷에 구멍날) 瑩(옥의 빛)--예외 榮(영화 영)
3. 漆-옻나무 옻칠(검은색) ; 黃漆-제주도, 완도 ; 백제시대부터 칠로 사용.
4. 紵(모시 베)-苧(모시)
5. 纖-纖維質
6. 五岳-동-泰山, 山東, 泰安市 ; 서-華山, 陜西, 華陽縣 ; 남-衡山, 湖南, 衡陽市 ; 북-恒山, 山西, 渾源縣 ; 중-嵩山, 河南, 登封市
7. 嶓(산이름 파) 播(뿌릴) 皤(머리 센 모양)-番(차레로 번) 翻(날)-潘(뜨물 반) 蟠 (두를) 반
8. 狐-狐假(借-빌리다)虎威《戰國策》〈楚策〉
9. 狸-너구리, 삵, 괭이 ; 狐狸精-여우같은 년, 음탕한 년
10. 傾-기울, 傾國之色
傾國之色(하나라~당나라)
왕조
상대남성
경국지색
직위
별칭
비고
桀王
妺嬉
愛妾
佩劍帶冠
酒池肉林
紂王
妲己
愛妾
毒婦
酒池肉林
幽王
褒姒
王后
千金買笑
春秋戰國
吳王 夫差
西施
後宮
沈魚
臥薪嘗膽
元帝
王嬙
昭君
落雁
春來不似春
三國
呂布
貂蟬
夫人
閉月
왕윤이 여포와 동탁 이간질에 이용함.
玄宗
楊玉環
貴妃
羞花 , 解語花

2013년 10월 31일 목요일

중국고전에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 특강

동양고전에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 특강

1.일시-2013년 10월 30일, 16시-18시
2.장소-교대역 13번 출구, 토즈 대강의실
3.대상-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KCC정보통신 직원
4.주제-동양고전에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

2013년 10월 27일 일요일

하본기 10


2-010.
(원문)
荊及衡陽維荊州 : 江、漢朝宗于海。 九江甚中, 沱、涔已道, 雲土、夢爲治。 其土塗泥。 田下中, 賦上下。 貢羽、旄、齒、革, 金三品, 杶、榦、栝、柏, 礪、砥、砮、丹, 維箘簬、梏, 三國致貢其名, 包匭菁茅, 其篚玄纁璣組, 九江入賜大龜。 浮于江、沱、涔、(于)漢, 踰于雒, 至于南河。
(음역)
형급형양유형주 : 강、한조종우해。 구강심중, 타、잠이도, 운토、몽위치。 기토도니。 전하중, 부상하。 공우、모、치、혁, 금삼품, 춘、간、괄、백, 려、지、노、단, 유균로、곡, 삼국치공기명, 포궤청모, 기비현훈기조, 구강입사대구。 부우강、타、잠、(우)한, 유우낙, 지우남하。
(주석)
1. 형(荊)- 형산(荊山)이고 산에 가시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명칭이다. 호북성(湖北省) 서부에 있다.
2. 형(衡)-형산(衡山)은 달리 남악(南岳), 수악(壽岳), 남산(南山)으로 불리며 중국의 5악(五岳) 중의 하나이다. 호남성(湖南省) 형양시(衡陽市)에 있다.
3. 양(陽)-남쪽.
4. 형주(荊州)-상고시대 9주(九州)의 하나이다. 호북성(湖北省) 중남부와 장강(長江) 중하류 및 강한(江漢) 평원의 중심지이다.
5. 강(江)-장강을 가리킨다.
6. 한(漢)-한강(漢江), 한수(漢水)를 가리키고, 고대에는 면수(沔水)라고 일컬었다.
7. 조종(朝宗)-작은 강이 큰 강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8. 9강(九江)-고대에는 강주(江州)라고 일컬었다. 안휘성(安徽省) 수현(壽縣) 지역이다. 또 오강(烏江)、방강(蚌江)、오백강(烏白江)、가미강(嘉靡江)、사강(沙江)、견강(畎江)、름강(廩江)、제강(隄江)、균강(箘江)을 가리키고 모두 팽려택(彭黎澤)으로 흘러가는 까닭에 명칭을 구강이라고 일컬었다.
9. 심중(甚中)-지리형세의 중간에 위치함을 나타냄.
10. 타(沱)-타수(沱水)를 가리키고, 고대에는 강수(江水)가 여기에서 남북으로 나눠지고, 남쪽은 강수 북쪽은 타수가 되었다. 호북성(湖北省) 지강현(枝江縣)에 있다.
11. 잠(涔)-잠수(涔水)를 가리키고, 달리 심수(鬵水)라고 한다.
12. 도(道)-소통되다.
13. 운토(雲土)-운택(雲澤)을 가리키며, 몽택(夢澤)과 합하여 운몽택(즉 현재의 洞庭湖이다.)이라고 일컬으며 9택(九澤) 중의 하나이다. 강남에 있으며, 운토라고 한 것은 호수 가운데에 흙이 쌓여 형성된 낮은 언덕이 있어서 물이 빠지면 밭으로 변해서 경작할 수 있다.
14. 몽(夢)-몽택으로 위의 운토를 참고할 것.
15. 둔(杶)-참죽나무.
16. 간(榦)-자(柘)와 같다. 산뽕나무.
17. 괄(栝)-전나무.
18. 백(柏)-측백나무, 잣나무.
19. 여(礪)-거친 숫돌.
20. 지(砥)-가는 숫돌.
21. 노(砮)-돌살촉.
22. 단(丹)-수은과 유황의 화합물, 적색 물감의 원료로 쓰이는 재료이다.
23. 균(箘)-가늘고 작은 대나무로 화살대를 만들기에 적합하다.
24. 로(簬)-화살을 만드는 대나무로 껍질은 검은 빛을 띠고 있음.
25. 곡(梏)-호(楛)와 같다. 싸리나무의 일종으로 중국 북방의 소수민족들이 화살을 만드는데 사용하며, 이것으로 만든 호시(楛矢)가 유명하다.
26. 3국(三國)-3개의 제후국을 말함.
27. 포궤(包匭)-작은 상자에 싼 물건, 또는 공물을 일컫는 명칭으로 쓰임.
28. 청모(菁茅)-향초(香草)의 일종으로, 가시 풀을 가리키기도 한다. 고대에 제사를 지낼 때 술을 거르는데 사용하였다.
29. 현훈(玄纁)-검은색과 연한 홍색을 띤 비단으로 후대에 제왕이 어진 인재를 초빙할 때 주는 선물로 사용하였다.
30. 기조(璣組)-기는 진주를 가리키고, 조는 진주 등 구슬을 꿰는 끈 종류를 가리킨다.
31. 입(入)-납부하다, 바치다.
32. 사(賜)-사명(賜命)이고, 천자가 명령을 하달하는 것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즉 입사대귀(入賜大龜)는 천자가 거북이를 공물로 바치라는 명령이 있으면 그때에 바치는 것을 말함.
33. 부(浮)-지나다.
34. 유(踰)-통과하다.
35. 낙(雒)-낙수(雒水)를 일컫는 명칭이고 현재 하남성(河南省)의 낙하(洛河)를 가리킨다.
36. 남하(南河)-하남성(河南省) 주마점시(駐馬店市)에 있으며, 중국에서 유일하게 거꾸로 내륙을 향하여 흐르는 강으로 유명하다.
(국역)
북쪽으로는 형산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형산의 남쪽에 이르는 지역은 형주이다. 장강(강수)과 한수는 작은 강이 큰 강으로 흘러 들어가듯이 바다로 흘러갔다. 9개의 강(고대의 강주 지역)은 지리 형세상 한 가운데에 위치하여 있고, 타수와 잠수는 이미 소통되었으며, 운택의 흙으로 쌓여 형성된 낮은 언덕과 몽택도 다스려졌다. 이곳의 토양은 수분이 많은 진흙이다. 토지는 8등급(하중)이지만 토지세는 전국에서 3등(상하)이었다. 공물(특산물)로는 새의 깃털, 야크의 꼬리, 상아, 코뿔소 가죽, 금, 은, 동 3가지 금속과 참죽나무, 산뽕나무, 전나무, 측백나무와 거친 숫돌, 가는 숫돌, 돌화살촉, 단사가 있고, 또 가늘고 작은 대나무, 검은 빛을 띤 대나무, 화살용 싸리나무는 3군데 제후국에서 바치는 공물 중에서 매우 유명한 것이며, 작은 상자에 포장한 향기로운 풀, 대나무로 만든 원형의 바구니에 담긴 검은색과 연한 홍색을 띤 비단과 진주꾸러미가 있고, 그 외에 9강(강주) 지역에서는 천자가 공물을 바치라는 명령이 있으면 큰 거북이를 바쳤다. 공물은 선박에 싣고 장강(강수), 타수, 잠수, 한수를 지나고, 낙수를 통과하여 남하에 이르렀다.

하본기 9

2-009.
(원문)
淮海維揚州 : 彭蠡旣都, 陽鳥所居。 三江旣入, 震澤致定。 竹箭旣布。 其草惟夭, 其木惟喬, 其土塗泥。 田下下, 賦下上上雜。 貢金三品, 瑤、琨、竹箭, 齒、革、羽、旄, 島夷卉服, 其篚織貝, 其包橘、柚錫貢。 均江海, 通淮、泗。
(음역)
회해유양주 : 팽려기도, 양조소거。 삼강기입, 진택치정。 죽전기포。 기초유요, 기목유교, 기토도니。 전하하, 부하상상잡。 공금삼품, 요、곤、죽전, 치、혁、우、모, 도이훼복, 기비직패, 기포귤、유석공。 균강해, 통회、사。
(주석)
1. 회(淮)-2-008-주석3 참고.
2. 해(海)-2-007-주석1 참고.
3. 양주(揚州)-상고시대 9주의 하나이고, 범위는 대략 강소성(江蘇省)중부와 장강 하류 북쪽 및 회수(淮水) 남쪽을 포괄한다.
4. 팽려(彭蠡)-상고시대 9택 중의 하나이다. 팽려호이고 고대에는 파양호(鄱陽湖), 팽려택, 팽택(彭澤), 팽호(彭湖), 궁정호(宮亭湖) 등으로 불렸다. 강서성(江西省)에 있고, 중국에서 가장 큰 담수호이다.
5. 도(都)-2-008-주석10 참고.
6. 양조(陽鳥)-기러기 일종의 철새, 또는 학, 태양을 가리키기도 한다.
7. 3강(三江)-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송강(松江), 전당강(錢唐江), 포양강(浦陽江)이다. 둘째, 장강(長江), 황하(黃河), 회하(淮河)를 가리킨다. 현재 정설은 없다.
8. 진택(震澤)-고대에는 수진택(藪震澤), 구구(具區), 입택(笠澤) 등으로 불렸다. 장강과 전당강 하류 삼각주에 있으며 현재의 태호(太湖)를 가리킨다.
9. 정(定)-평정, 안정되다.
10. 죽전(竹箭)-가는 대나무, 또는 대나무로 만든 화살.
11. 포(布)-분포, 분산되다.
12. 유(惟)-~하다, ~이다.
13. 요(夭)-풀과 나무가 무성하고 아름답다.
14. 교(喬)-높게 자라다.
15. 도니(塗泥)-진흙.
16. 금삼품(金三品)-금, 은, 동.
17. 요(瑤)-옥돌.
18. 곤(琨)-아름다운 옥.
19. 치(齒)-상아.
20. 모(旄)-야크의 꼬리로 장식한 지휘하는 기(깃발), 또는 야크의 꼬리를 가리킴.
21. 도이(島夷)-상고시대 동쪽에 거주하던 동이(東夷)의 일파이고, 회수(淮水) 하류지역과 인근 섬에서 활약하였다.
22. 훼복(卉服)-가는 갈포로 만든 옷.
23. 직패(織貝)-고대의 비단 명칭, 또는 조개 무늬를 넣은 비단.
24. 포(包)-포장하다.
25. 유(柚)-유자.
26. 석공(錫貢)-천자의 명령이 있기를 기다린 후에 공물을 바치는 것으로, 정기적인 시기에 공물을 바치는 상공(常貢)과 구별된다.
27. 균(均)-연(沿)과 같다. 즉 물을 따라 내려가다.
28. 강(江)-장강을 가리킨다.
29. 사(泗)-2-008-주석21 참고.
(국역)
북쪽으로는 회수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바다에 이르는 지역은 양주이다. 팽려택에는 이미 물이 가득 찼고, 기러기 같은 철새들이 머물렀다. 송강, 전당강, 포양강 등 3강이 이미 바다로 흘러들어가서 진택도 안정되었다. 이곳은 가는 대나무가 널리 분포되어 있고, 풀은 무성하고 나무는 높게 자랐으며, 토양은 수분이 많은 진흙이다. 토지는 9등급(하하)이고 토지세는 전국에서 7등(하상)인데 한 단계 위인 6등(중하)이 되기도 하였다. 공물(특산물)은 금, 은, 동 3가지 금속과 옥돌, 아름다운 옥, 가는 대나무, 상아, 코뿔소 가죽, 새 깃털, 야크의 꼬리와 또 도이의 가는 갈포로 만든 옷, 대나무로 만든 원형의 바구니에 담긴 조개 무늬를 넣어서 짠 비단과 천자의 명령이 있은 다음에 바치는 귤과 유자 꾸러미가 있다. 공물은 선박에 싣고 장강과 바다를 따라서 회수와 사수로 운송되었다.

사기 강의 보충설명 26


제26강, 2013, 10, 25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隨處作主-손학규 전 국회의원 사무실 액자. 義玄(?-867), 希運禪師의 제자, 唐代, 臨濟宗의 창시자.󰡒무엇이 祖師가 서쪽에서 온 뜻 입니까? 󰡓3번 묻고 3번 무차별 맞으면서 득도했다는 일화가 있음. 〈臨濟慧照禪師語錄〉에 나온다.
󰡒隨處作主, 立處皆眞󰡓의 해석은 「보통사람은 언제 어디서나 사람, 일, 물질의 영향을 받아서 마음이 흔들리지만, 수행을 한 사람은 몸과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되고, 그래서 언제 어디에 있더라도 너와 나, 옳고 그름, 이해득실 등 모든 것을 초월하여 본래 면목이 출현하게 되는 경지에 이르른 것을 가리킴.」-수행자에게 적당한 글귀이다.
1. 陽鳥-태양을 따라서 남북으로 이동하는 철새, 鴻, 雁의 일종.
《史記》〈陳勝世家〉󰡒燕雀安知鴻鵠之志哉󰡓
2. 夭喬-長曰夭, 高曰喬
3. 朝宗-고대에 제후가 春、夏에 天子를 뵙는 것. 후대에 신하가 제왕을 뵙는 것을 일컬었다.《周禮》〈春官〉󰡒春見曰朝,夏見曰宗,秋見曰謹,冬見曰遇󰡓
4. 錯-磨(갈다)와 같다. 切磋琢磨-切(骨)磋(象)琢(玉)磨(石) 학술연구에 힘씀.
education as a gradual polishing process
《詩經》〈國風〉󰡒有匪(斐,용모가 준수한)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
5. 旄-야크의 꼬리털, 旗의 장식품
6. 齒-여기서는 象牙를 나타냄. ; 牙齒, 齒牙 ; 牙科(중국, 대만), 齒科(한국, 일본)
7. 革-皮는 가죽 전체를 가리킴 ; 革은 동물 가죽에서 털을 제거한 것 ; 바꾸다, 제 거하다 《易經》〈雜卦〉󰡒革故鼎新󰡓鼎은 취하다 ; 韋는 무두질한 가죽 韋編三 絶-《史記》〈孔子世家〉“孔子晩而喜《易》......讀《易》,韋編三絶”
8. 卉-花卉(꽃과 초목)
9. 橘-귤 ; 柑橘科의 한 가지-柚, 柑, 橘, 橙, 枳 ; 橘柑은 橘
《晏子春秋》〈內篇〉󰡒橘生淮南則爲橘, 生於淮北則爲枳󰡓
10. 均-~을 따라서 ; 한국국민당(김구)의 趙素昻의 三均主義-均權(1인1표의 보통선 거), 均産(토지국유화), 均學(국비 의무교육)
11. 荊-荊(가시나무 형) 棘(가시나무 극) ; 荊棘 ; 荊軻(연나라 신하, 진시황 암살하 려던 자객) 《史記》〈刺客列傳〉참고.
12. 甚-매우, 지나치게, 무엇? 성명이 어떻게 되십니까?-姓甚名誰?
13. 梏矢(곡시)-楛矢(고,호시)《国語》〈鲁語下〉“ 肅慎氏貢楛矢石砮,其長尺有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