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월 8일 토요일

동양고전아카데미 제40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40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2월 14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 출제위원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9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39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2월 7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한일문화교류센터(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 출제위원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하본기 34


2-034.
(원문)
太史公曰 : 禹爲姒姓, 其後分封, 用國爲姓, 故有夏后氏、有扈氏、有男氏、斟尋氏、彤城氏、褒氏、費氏、杞氏、繒氏、辛氏、冥氏、斟(氏)戈氏。 孔子正夏時, 學者多傳夏小正云。 自虞、夏時, 貢賦備矣。 或言禹會諸侯江南, 計功而崩, 因葬焉, 命曰會稽。 會稽者, 會計也。

(음역)
태사공왈 : 우위사성, 기후분봉, 용국위성, 고유하후씨、유호씨、유남씨、짐심씨、동성씨、포씨、비씨、기씨、증씨、신씨、명씨、짐과씨。 공자정하시, 학자다전하소정운。 자우、하시, 공부비의。 혹언우회제후강남, 계공이붕, 인장언, 명왈회계。 회계자, 회계야。

(주석)
1. 태사공(太史公)-1-030-주석1 참고.
2. 우(禹)-1-026-주석5 참고.
3. 사(姒)-우(禹)와 하(夏)나라 왕실의 성씨이다.
4. 하후씨(夏后氏)-1-029-주석14 참고.
5. 유호씨(有扈氏)-2-029-주석1 참고.
6. 유남씨(有男氏)-달리 유남씨(有南氏)라고 일컬으며, 우의 후예이고 하나라의 제후국이며, 나라의 명칭을 성씨로 삼았다.
7. 짐심씨(斟尋氏)-우의 후예이고 하나라의 제후국이며, 나라의 명칭을 성씨로 삼았다.
8. 동성씨(彤城氏)-우의 후예이고 하나라의 제후국이며, 나라의 명칭을 성씨로 삼았다.
9. 포씨(褒氏)-포(褒)의 군주는 유포씨(有褒氏)이고 우(禹)를 도와서 치수에 공적이 뛰어났으며, 그 공로로 포에 분봉되고 하나라의 제후국이 되었으며, 나라의 명칭을 성씨로 삼았다. 포는 하, 상(商), 주(周) 3대에 걸쳐서 존속되었고, 위치는 오늘날 한중시(漢中市) 북쪽이다.
10. 비씨(費氏)-우의 후예이고 하나라의 제후국이며, 나라의 명칭을 성씨로 삼았다.
11. 기씨(杞氏)-우의 후예이고 하나라의 제후국이며, 나라의 명칭을 성씨로 삼았다.
12. 증씨(繒氏)-우의 후예이고 하나라의 제후국이며, 나라의 명칭을 성씨로 삼았다.
13. 신씨(辛氏)-우의 아들 계(啓)가 서자를 신(莘)에 봉하고, 그 자손들이 나라의 명칭 신(莘)을 신(辛)으로 바꾸고 성씨로 삼았다.
14. 명씨(冥氏)-우의 후예이고 하나라의 제후국이며, 나라의 명칭을 성씨로 삼았다.
15. 짐과씨(斟戈氏)-우의 후예이고 하나라의 제후국이며, 나라의 명칭을 성씨로 삼았다.
16. 공자(孔子)-1-030-주석10 참고.
17. 정(正)-정은 교정(校正)의 의미이다. 다른 의미로는 하나라의 역법은 1월을 1년의 시작으로 하였는데 이것을 하정(夏正)이라고 한다.
18. 하시(夏時)-하나라의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계절의 변화를 기록한 역법 책. 달리 하력(夏曆)을 가리킨다.
19. 하소정(夏小正)-중국에서 현존하는 최초의 과학 문헌중의 하나이고 또 최초의 농사와 역법에 관한 문헌으로, 원래는 《대대예기(大戴禮記)》중의 제47편이다. 〈하소정〉은 경(經)과 전(傳)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 400여 글자이다. 주요 내용은 1년 12개월에 따라서 매월의 기상, 별자리와 중대한 생산방면에 관한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은 당시 농업생산에 관한 즉 곡물, 섬유식물, 염료, 원예작물의 재배, 누에치기, 축목, 채집, 어로 등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결점으로는 11월과 12월의 별자리에 관한 기록이 없고, 4계절과 절기의 개념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20. 우(虞)-1-016-주석8 참고.
21. 공부(貢賦)-토공(土貢)과 군부(軍賦)를 합해서 일컫는 말이다. 즉 백성과 속국에서 천자에게 바치는 진귀한 토산품이나 특산품을 공이라 일컫고, 백성이 천자에게 바치는 전차, 말 등 군용물품을 부라고 일컫는다. 그러나 역대 왕조를 거치면서 부의 개념은 군부에서 농전(農田), 관시(關市), 산림(山林)과 천택(川澤)의 모든 과세물(課稅物)로 확대되었다. 그래서 공부는 점차 세금의 별칭으로 일컬어지면서 중국 고대의 세금 징수 방법이 되었다.
22. 제후(諸侯)-1-002-주석3 참고.
23. 강남(江南)-1-028-주석4 참고.
24. 회계(會稽)-2-027-주석2 참고.
25. 회계(會計)-덕이 있는 자는 작위를 주고, 공적이 있는 자는 책봉하기 위해서, 여럿이 모여서 심사하다의 의미이다.

(국역)
태사공이 말하기를 우왕은 성씨가 사인데, 그의 후손들은 각 지역에 책봉되어서 제후국을 건립하고 나라의 명칭으로 성씨를 삼았으며, 그래서 하후씨, 유호씨, 유남씨, 짐심씨, 동성씨, 포씨, 비씨, 기씨, 증씨, 신씨, 명씨, 짐과씨가 있게 되었다. 공자가 하나라의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계절의 변화를 기록한 역법 책(하력)을 바로 잡아서, 학자들이 대부분 〈하소정〉의 내용을 전수받을 수 있었다. 순과 우왕 시기부터 세금 징수 방법인 공부제도가 완비되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우왕이 강남에서 제후를 모아놓고 업적을 심사하다가 사망하여서, 강남에 장사지내고 회계라고 이름 지었다. 회계는 덕이 있는 자는 작위를 주고 업적이 있는 자는 책봉하기 위해서, 여럿이 모여서 심사하다의 의미이다.

(참고)
하나라의 역법-농업과 목축업의 발전과 수요에 의하여 천문 역법의 지식도 매우 풍부하게 되었다. 《夏小正》은 夏代 역법을 보존하고 있는 중요 문헌이었다. 오늘날도 농력(農曆, 陰曆)을 하력(夏曆)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바로 중국 최초의 역법이며, 하나라 사람이 장기간의 농업생산 과정 중에 획득한 지식이었다. 농업 생산은 계절과 기후의 변화와 밀접하였으며, 하나라의 역법은 비교적 정확하게 기후의 변화를 반영하였다. 사료에 등장하는 「하득천수(夏得天數)」라는 기록으로 당시 역법의 수준을 짐작할 수 있었다. 하력은 일, 월, 년의 개념이 있었고, 1년을 12개월로 나누었다. 정삭(正朔)은 동지 이후 2개월째 맞는 초봄의 처음 하루를 1년의 시작으로 삼았다. 동시에 60갑자(甲子, 干支)로 날을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일식과 유성(별똥별)에 대한 관측도 시행하였다. 또 12개월의 차례에 따라서 매 달의 별자리와 기상 및 마땅히 해야 할 농사와 정치에 대해서도 기록하기 시작하였다.

하본기 33


2-033.
(원문)
孔甲崩, 子帝皐立。 帝皐崩, 子帝發立。 帝發崩, 子帝履癸立, 是爲桀。 帝桀之時, 自孔甲以來而諸侯多畔夏, 桀不務德而武傷百姓, 百姓弗堪。 迺召湯而囚之夏臺, 已而釋之。 湯修德, 諸侯皆歸湯, 湯遂率兵以伐夏桀。 桀走鳴條, 遂放而死。 桀謂人曰 : “吾悔不遂殺湯於夏臺, 使至此。” 湯乃踐天子位, 代夏朝天下。 湯封夏之後, 至周封於杞也。

(음역)
공갑붕, 자제고입。 제고붕, 자제발입。 제발붕, 자제이계입, 시위걸。 제걸지시, 자공갑이래이제후다반하, 걸불무덕이무상백성, 백성불감。 내소탕이수지하대, 이이석지。 탕수덕, 제후개귀탕, 탕수솔병이벌하걸。 걸주명조, 수방이사。 걸위인왈 : “오회불수살탕어하대, 사지차。” 탕내천천자위, 대하조천하。 탕봉하지후, 지주봉어기야。

(주석)
1. 공갑(孔甲)-2-032-주석11 참고.
2. 고(皐)-공갑의 아들이다.
3. 발(發)-고의 아들이다.
4. 이계(履癸)-발의 아들이고 달리 계(癸)라고 일컫는다. 52년 동안 재위하였다. 그는 문무를 겸비하고 힘이 장사였지만, 난폭하고 음란하여 나라의 멸망을 초래하였다. 탕에 의해서 쫓겨나고 굶어죽었으며, 역사상 유명한 폭군으로 일컬어졌다. 상(商)나라의 탕왕(湯王)이 그의 시호를 흉악하고 난폭하다는 의미의 걸(桀)로 지었다.
5. 걸(桀)-이계를 참고할 것.
6. 제후(諸侯)-1-002-주석3 참고.
7. 내(迺)-이에 내(乃)와 같다.
8. 하대(夏臺)-하나라의 감옥으로 달리 균대(鈞臺, 均臺)라고 일컫는다. 양적(陽翟)에 있으며, 오늘날 하남성(河南省) 우주(禹州) 근처이다.
9. 탕(湯)-곡(嚳)의 아들 설(契)의 14대 손자로 성은 자(子)이고 이름은 이(履)이며, 달리 상탕(商湯), 성탕(成湯), 무탕(武湯), 천을(天乙), 성당(成唐), 대을(大乙), 고조을(高祖乙) 등으로 일컫는다. 하남성(河南省) 상구(商丘) 출신으로 하나라 말기에 방백(方伯)의 직책으로 전문적으로 대외정벌에 종사하다가 상족(商族)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하나라 걸왕(桀王)에 의하여 남소(南巢)로 쫓겨났다가 명조(鳴條)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상을 건국하였다. 재위 30년으로 그중에서 17년은 하나라의 제후국인 상의 제후였고, 나머지 13년은 상의 국왕이었다.
10. 명조(鳴條)-하나라와 상나라 시기 중원의 지명으로 고후원(高侯原) 이라고도 일컬었다. 현재 지명으로는 3가지 주장이 있다. 첫째, 하남성(河南省) 신향시(新鄕市)이다. 둘째, 낙양(洛陽)이다. 셋째, 산서성(山西省) 운성하현(運城夏縣)이다. 현재 둘째 주장이 비교적 우세하다. 명조의 전투는 역사상 유명한 전쟁으로, 탕이 하나라의 걸왕을 정벌할 때 여기서 전쟁하여 승리하였다.
11. 방(放)-추방하다.
12. 천(踐)-오르다, 즉위하다.
13. 기(杞)-기원전 11세기 주(周)나라의 제후국으로 기원전 445년 초(楚)나라에 의하여 멸망당했다. 주나라 무왕(武王)이 상(商)을 정벌하고 우왕(禹王)의 후손을 찾아서 기를 봉토로 주고 우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

(국역)
공갑왕이 사망하고 아들 고왕이 즉위하였다. 고왕이 사망하고 아들 발왕이 즉위하였다. 발왕이 사망하고 아들 이계가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걸왕이다. 걸왕의 통치시기에 이르러, 공갑왕 이래로부터의 제후들이 대부분 하나라를 배반하였고, 걸왕은 덕치에 힘쓰지 않고 무력을 사용하여 백관을 해쳤으며, 백관들도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걸왕은 이에 탕을 불러들여 하나라의 감옥인 하대에 가두었고, 얼마 되지 않아서 그를 석방하였다. 탕이 덕치를 행하자 제후들이 모두 탕에게 귀의하였으며, 탕은 마침내 군사를 이끌고 하나라의 걸왕을 정벌하였다. 걸왕은 명조로 도망갔다가 마침내 추방되어 사망하였다. 걸왕이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나는 탕이 감옥인 하대에 있을 때 결국 탕을 살해하지 못했는데, 그것이 나로 하여금 이 지경에 이르게 만든 것을 후회한다.󰡓 탕은 이에 천자의 자리에 즉위하고 하나라의 천하를 대신하였다. 탕은 하나라의 후손을 책봉하여 제후로 삼았고, 주나라 시대에 이르러 하나라의 후손들은 기에 책봉되었다.

(참고)
명조(鳴條)의 전쟁-대략 기원전 1,600년 전 상탕(商湯)이 명조 즉 현재 하남성(河南省) 낙양시(洛陽市) 부근에서 하(夏)나라를 멸망시킨 전쟁이다. 상탕은 일거에 하나라 걸왕(桀王)의 주력부대를 공격하였고, 걸왕은 소수 군사를 거느리고 남소(南巢) 즉 현재의 안휘성(安徽省) 소호시(巢湖市) 부근으로 도망갔다가 병으로 사망하였다. 상탕은 군사를 서박(西亳)으로 돌리고 3,000 제후의 추대를 받아서 하나라의 멸망을 정식으로 선포하였다. 명조의 전쟁은 중국 역사상 최초로 무력으로 성취한 역성혁명으로, 후대에는 이 전쟁을 가리켜 󰡒탕무혁명(湯武革命)󰡓 또는 󰡒상탕귀족역성혁명(商湯貴族易姓革命)󰡓 즉 상나라의 탕이 귀족 신분으로 도탄에 빠진 백성을 구제하기 위하여 역성혁명을 일으켜 새로운 왕조를 건국하였다는 내용이다.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39


제39강, 2014, 2, 7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立春大吉 建陽多慶
명칭-春聯(spring festival couplets), 門對, 春貼, 對聯, 對子 ; 특징-중국 특유의 문학형식 ; 내용-시대배경, 희망, 계절... ; 시기-春節에 붙임 ; 기원-桃符(周나라 시기에 복숭아 나무로 장방형(길이 6촌, 넓이 3촌)으로 만들어 神荼(신도)와 郁壘(욱루) 라는 신의 이름을 써서 대문 양쪽에 걸어둠) ; 형식-3자, 4자, 5자, 6자, 7자, 9자 幸福吉祥,花開富貴 ; 和風吹綠柳,時雨潤春苗 ; 冬去山明水秀,春來鳥語花香 ; 爆竹聲聲辭舊歲,紅梅朶朶迎新春
 
1. 孔甲-孔甲養龍-야생동물의 사육
2. 履-履歷, 履行
3. 癸-10干의 열 번 째 ; 10天干(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12地支(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4. 桀-妺嬉(喜), 酒池, 비단 찟는 소리, 傾國之色
傾國之色(하나라~당나라)
왕조
상대남성
경국지색
직위
별칭
비고
桀王
妺嬉
愛妾
佩劍帶冠
酒池肉林
紂王
妲己
愛妾
毒婦
酒池肉林
幽王
褒姒
王后
千金買笑
春秋戰國
吳王 夫差
西施
後宮
沈魚
臥薪嘗膽
元帝
王嬙
昭君
落雁
春來不似春
三國
呂布
貂蟬
夫人
閉月
왕윤이 여포와 동탁 이간질에 이용함.
玄宗
楊玉環
貴妃
羞花 , 解語花

5. 堪-堪當, 不堪當-능히 감당하여 해내지 못함., 不敢當-감히 대적하여 당해낼 수 없다.
6. 夏臺-하나라의 감옥, 鈞臺 ; 현재 河南省 禹州에 있다.
7. 已而-오래지 않아서, 나중에
8. 釋-解
9. 修德-탐욕을 버리고-利他 ; 집착을 버린다-寬容
10. 走-도망가다 ; 跑, 行, 逃, 去, 往, 奔
11. 放-쫒아내다, 추방하다 逐
12. 遂-순리적 완성, 완료, 성공, 순리적 ; 半身不遂(순리, 중국) , 半身不隨(따를, 한국)
13. 杞-杞憂, 쓸데없는 걱정-4글자를 줄여서 2글자로 만든 고사성어-畵蛇添足(蛇足) 東施 效顰(效顰-西施를 모방하여 이마를 찡그렸는데 오히려 더 보기 않 좋음, 즉 모방했는데 효과가 더 안 좋을 때 사용) , 墨守成規(墨守-묵적이 성을 잘 지켰음, 옛 것을 고집하여 변화하지 않음) , 杞人憂天(杞憂) , 囊螢映雪(螢雪)
14. 斟-斟酌하다, 添酌
15. 會計-여럿이 모여 공적 심사-漢代에 돈 계산으로 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