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12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48회 古典 無料講座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48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4월 25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장소후원 :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

은본기 19


3-019.
(원문)
祖乙崩, 子帝祖辛立。 帝祖辛崩, 弟沃甲立, 是爲帝沃甲。 帝沃甲崩, 立沃甲兄祖辛之子祖丁, 是爲帝祖丁。 帝祖丁崩, 立弟沃甲之子南庚, 是爲帝南庚。 帝南庚崩, 立帝祖丁之子陽甲, 是爲帝陽甲。 帝陽甲之時, 殷衰。

(음역)
조을붕, 자제조신입。 제조신붕, 제옥갑입, 시위제옥갑。 제옥갑붕, 입옥갑형조신지자조정, 시위제조정。 제조정붕, 입제옥갑지자남경, 시위제남경。 제남경붕, 입제조정지자양갑, 시위제양갑。 제양갑지시, 은쇠。

(주석)
1. 조을(祖乙)-3-017-주석6 참고.
2. 조신(祖辛)-이름은 단(旦)이고 조을의 아들이다. 16년 재위하였고 적천(狄泉)에 장사지냈으며, 시호는 환왕(桓王)이다.
3. 옥갑(沃甲)-이름은 유(逾)이고, 갑골문에는 강갑(羌甲), 개갑(開甲)으로 기록되어 있다. 25년 재위하였고 적천(狄泉)에 장사지냈으며, 시호는 희왕(僖王)이다.
4. 조정(祖丁)-이름은 신(新)이고 갑골문에는 차정(且丁)으로 기록되어 있다. 9년 재위하였고 비(庇)로 도읍을 옮겼으며, 시호는 장왕(莊王)이다.
5. 남경(南庚)-이름은 갱(更)이고 6년 재위하였으며, 시호는 경왕(頃王)이다. 재위시기에 도읍을 엄(奄)으로 옮겼으며, 상나라는 재차 쇠락해졌다.
6. 양갑(陽甲)-이름은 화(和)이고 갑골문에는 상갑(象甲)으로 기록되어 있다.
7. 은(殷)-3-001-주석1 참고.

(국역)
조을이 사망하고 아들 조신왕이 즉위하였다. 조신왕이 사망하고 동생 옥갑이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옥갑왕이다. 옥갑왕이 사망하고 옥갑의 형 조신의 아들 조정이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조정왕이다. 조정왕이 사망하고 동생 옥갑의 아들 남경이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남경왕이다. 남경왕이 사망하고 조정왕의 아들 양갑이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양갑왕이다. 양갑왕의 재위시기에 상나라는 쇠락해졌다. 

은본기 18


3-018.
(원문)
河亶甲崩, 子帝祖乙立。 帝祖乙立, 殷復興。 巫賢任職。

(음역)
하단갑붕, 자제조을입。 제조을입, 은부흥。 무현임직。

(주석)
1. 하단갑(河亶甲)-3-017-주석4 참고.
2. 조을(祖乙)-3-017-주석6 참고.
3. 은(殷)-3-001-주석1 참고.
4. 무현(巫賢)-무함(巫咸)의 아들이고, 조을이 즉위하면서 재상이 되었다. 무는 제사를 담당하는 신직관료(神職官僚)를 나타내고, 현은 어진 사람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신직관료는 주로 상제(上帝, 天)와 하제(下帝, 商王) 사이의 매개 임무를 담당하였다. 상(商)나라의 신직 관료로는 복(卜, 길흉 점침), 정인(貞人, 운명 판단), 무(巫, 제사 의례), 축(祝, 제사 실무), 사(史, 기록), 작책(作冊, 문서 관리)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신의 뜻을 빌려 정치에 참여하였고, 국가의 대소사는 모두 그들의 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지만 권력은 상당하였다. 상나라에서 고급 정무관이 되려면 필수적으로 신직관료를 거쳐야만 한다.

(국역)
하단갑왕이 사망하고 아들 조을왕이 즉위하였다. 조을왕이 즉위하고 상나라는 다시 흥성하였다. 무현이 관직을 맡았다.

(참고)
상나라 왕의 신권정치(神權政治)-왕권과 신권이 결합된 것은 상나라의 정치상의 특징이다. 왕은 자칭 하늘의 대표로서 하늘을 대신해서 토지와 백성을 관리하도록 파견되었다고 하였다. 즉 왕권은 한편으로는 신(神)의 외투를 걸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신의 힘을 빌려서 통치자의 권력을 강화하였던 것이다. 왕의 통치는 물론 지배층의 일상사 및 심지어 군사행동에 이르기까지, 일체의 행위는 점복(占卜)을 통하여 신의 의사를 묻고 결정하였다. 또 이를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방대한 신직(神職) 관료가 있었으며, 국가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신직 관료는 무(巫)를 대표로 하며, 사회생활과 일체의 군국정사 중에서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은본기 17


3-017.
(원문)
中宗崩, 子帝中丁立。 帝中丁遷于隞。 河亶甲居相。 祖乙遷于邢。 帝中丁崩, 弟外壬立, 是爲帝外壬。 仲丁書闕不具。 帝外壬崩, 弟河亶甲立, 是爲帝河亶甲。 河亶甲時, 殷復衰。

(음역)
중종붕, 자제중정입。 제중정천우오。 하단갑거상。 조을천우형。 제중정붕, 제외임입, 시위제외임。 중정서궐불구。 제외임붕, 제하단갑입, 시위제하단갑。 하단갑시, 은부쇠。

(주석)
1. 중종(中宗)-3-016-주석20 참고.
2. 중정(中丁)-이름은 장(莊)이고 13년 재위하였으며, 적천(狄泉)에 장사지냈다. 재위기간에 최초로 도읍을 박(亳)에서 오(隞)로 천도하였다. 중정이 사망한 이후 동생들 간에 왕위쟁탈전이 벌어져서 형제상속제가 붕괴되었으며, 상나라는 재차 쇠락하게 되었다.
3. 오(隞)-현재 하남성(河南省) 정주시(鄭州市) 부근이다.
4. 하단갑(河亶甲)-이름은 정(整)이고 중정과 외임(外壬)의 동생으로 외임이 사망하고 즉위하였다. 9년간 재위하고 상(相)에 장사지냈다. 재위기간에 내황(內黃)으로 천도하였고, 내우외환으로 상나라는 급속히 쇠락해졌다.
5. 상(相)-하남성 안양시(安阳市) 이다.
6. 조을(祖乙)-이름은 등(滕)이고 19년 재위하였고 상(相)-경(耿)-형(邢)-비(庇) 등으로 4차례 천도하였으며, 적천(狄泉)에 장사지냈다. 재위 기간에 상나라의 사회와 경제가 회복과 발전을 이루어 재차 흥성하기 시작하였다. 갑골문에는 중종조을(中宗祖乙)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태을(太乙), 태갑(太甲)과 합하여 삼시(三示) 즉 공적이 뛰어난 3명의 조상으로 일컬어졌다.
7. 형(邢)-현재의 형태시(邢台市)이다.
8. 외임(外壬)-이름은 발(發)이고 갑골문에는 복임(卜壬)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중정(中丁)의 동생이다. 중정이 사망하고 왕위를 탈취하였으며 역사상의 9세(九世)의 난리를 일으켰고, 제후들은 조공을 바치지 않고 상나라는 쇠락하기 시작하였다. 15년 재위하였고 적천(狄泉)에 장사지냈다.
9. 중정(中丁)-〈중정〉편으로 전해지지 않는다. 대략 중정에 관한 기록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10. 서(書)-서적, 문헌.
11. 은(殷)-3-001-주석1 참고.

(국역)
중종이 사망하고 아들 중정왕이 즉위하였다. 중정왕은 도읍을 오로 옮겼다. 하단갑은 도읍을 상으로 옮겨 거주하였다. 조을은 도읍을 형으로 옮겼다. 중정왕이 사망하고 동생 외임이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외임왕이다. 〈중정〉이라는 문헌은 글자가 누락된 부분이 있어서 완전하지 않았다. 외임왕이 사망하고 동생 하단갑이 즉위하였는데, 이 사람이 바로 하단갑왕이다. 하단갑왕 재위시기에 상나라는 다시 쇠락해졌다.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47


제47강, 2014, 4, 11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두꺼비-蟆마, 蟾섬, 蝦하, 蜍여(서) ; 떡두꺼비-막 태어난 건강한 아들?
세발 달린 황금 두꺼비 이야기 三脚金蟾-횡재, 致富, 招財 ; 과거합격-蟾宮折桂(金榜題名)
* 루广+串=초가집 루
* 丳-원래 글자, 꼬챙이, 꼬치 찬
串-꼬챙이, 꼬치 찬-원래는 위의 글자를 잘못 쓴 것인데 현재 중국에서 널리 통용됨
꿰미 천 ; 어음 천 ; 꼬챙이, 꼬치 찬 ; 익을 관 ; 곶 곶 ; 羊肉串의 쥐고기
* 繼母-後母, 後媽, stepmother, 心猂手辣(심한수랄, 人面獸心)의 여성을 형용하는 말 ;
《史記》〈五帝本紀〉󰡒舜順事父及後母與弟,日以篤謹,匪有懈󰡓
《史記》〈匈奴傳〉󰡒父死,妻其後母,兄弟死,皆取其妻妻之”--報寡嫂 ; 蒸과 報 ; 보褓쌈
중국-춘추시대 보편적이나, 점차 중국에서는 사라지고 북방 유목민족에게는 오랫동안 잔 존함.

1. 遷-辵달릴 착 ; 관직이동, 직급상승(遷官) ; 죽다 ; 쫓겨나다 ; 직급이 떨어지다(左遷)
2. 亶-믿음, 진실 ; 但과 동일
3. 甲-갑골문 十 ; 싹이 튼 곡식의 껍질
4. 祖-갑골문 男根 ; 示 조상+且남근, 생육, 힘을 주다=祖자손에게 힘을 주는 조상
5. 壬-壬人아첨하는 사람
6. 闕-훼손, 제거, 결점 ; 궁전 ; 巨闕穴-명치 아래 손가락 두 마디 자리-위장병 특효
7. 具-갑골문 鼎+手+手=具 음식이 든 그릇을 손으로 들고 가는 모양 ; 준비 ; 함께
8. 興-갑골문 舁마주들 여+同=興 ; 흥기 ; 시작 ; 왕성
9. 巫-갑골문, 여자 무당이 사용하는 도구를 나타냄, 춤을 추면서 신을 부름 ; 巫師, 巫婆
10. 賢-貝돈+? 잘 관리하는=賢 돈을 관리하는 사람, 이재에 능한 사람, 능력있는 사람
11. 任-人+壬=任 담당하다, 책임지다, 아첨 ; 任-姙 , 懷妊(任), 任身, 姙娠
12. 職-耳경청하다+? 군대를 훈련시키다=職직책, 직위
13. 辛-갑골문, 가시나무 ; 매울 辣 ; 죄인 ; 휴가일-7일 근무, 3일(辛壬癸日) 휴무
毛澤東-不到長城非好漢-신라면 광고-不吃辣, 非好漢 ; 辛味入肺-5味(酸간苦심甘비辛鹹신)
14. 南-원래 의미는 악기 ; 남쪽
15. 庚-천간 ; 나이-貴庚, 年庚, 同庚, 生庚, 庚甲, 庚帖, 庚齒

王孫賈問曰:「與其媚于奧,寧媚于竈,何謂也?」子曰:「不然。獲罪于天,無所禱也。
王孫賈-衛나라 靈公의 大臣, 3명의 어진 신하중의 한명 ; 與~寧~ ~하기보다는 차라리 ~하겠다 ; 媚-아첨, 잘 보이다 ; 奥-집안에서 서남쪽을 관장하는 귀신 또는 안방 아랫목을 관장하는 귀신. 여기서는 영공의 부인 南子를 가리킴. ; 竈-부억 귀신 또는 여름에 제사지내는 곳. 여기서는 왕손가를 비유함 ; 天-최고신, 하늘을 가리킨다.
부귀영화를 누리기 위해서 세력가에게 아첨하는 사람이 아니다. 오직 하늘만 무서워 할 뿐이다.

子曰:「周監於二代,郁郁乎文哉!吾從周。
監-鑑거울에 비춰보다. ; 二代-하, 상 ; 郁郁-성대하고 찬란하다 ; 文-문화
하-자연주의 농업문화, 상-종교주의 유목문화, 주-인문주의 농업문화

子入太廟,每事問。或曰:「孰謂鄹人之子知禮乎?入太廟,每事問。」子聞之,曰:「是禮也。」
太廟-太祖(開国之君)의 廟, 周公旦은 鲁나라 최초의 군주,그래서 태묘는 주공의 묘 ; 孰謂~누가~라고 하겠는가? ; 鄹(추)-노나라의 지명 ; 鄹人-공자의 아버지 叔梁紇 ; 是-이것, 묻는 것
예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물음에 의해서 상황에 맞게, 새롭게 형성되는 것. 안다고 해도 또 묻는 것이 삼감의 표현이다.

子曰:「射不主皮,爲力不同科,古之道也。」
射-활쏘기 ; 主-중시하다 ; 皮-과녁(貫革)가죽을 뚫다 ; 爲- 때문에, 왜냐하면, 다른 주장은 爲力은 힘 쓰는 것은 ; 同科-同等
힘의 강약에 있는 것이 아니고 과정이 중요하다
子貢欲去告朔之餼羊。子曰:「賜也!爾愛其羊,我愛其禮。」
子貢-성은 端木, 이름은 賜, 자는 子貢, 6년 守墓(廬墓), 孔門十哲 중에서 언어(言)의 대가(실행은 별로) ; 去-없애다 ; 告(곡)朔-고대에 천자가 달력을 제후들에게 나눠주면서 매 달의 초하루를 알려주는 것 ; 餼-희생 희, 보낼 희, 제사용의 살아있는 양을 태묘에서 죽여 제사를 지냄. 당시 노나라 군주가 직접 참여하지 않아서 형식화 됨 ; 賜-자공을 가리킴 ; 爾-너, 당신 ; 愛-애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