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6일 토요일

동양고전아카데미 제63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63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9월12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장소후원 :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 

주본기 4


4-004.
(원문)
慶節卒, 子皇僕立。 皇僕卒, 子差弗立。 差弗卒, 子毁隃立。 毁隃卒, 子公非立。 公非卒, 子高圉立。 高圉卒, 子亞圉立。 亞圉卒, 子公叔祖類立。 公叔祖類卒, 子古公亶父立。 古公亶父復脩后稷、公劉之業, 積德行義, 國人皆戴之。 薰育戎狄攻之, 欲得財物, 予之。 已復攻, 欲得地與民。 民皆怒, 欲戰。 古公曰 : “有民立君, 將以利之。 今戎狄所爲攻戰, 以吾地與民。 民之在我, 與其在彼, 何異。 民欲以我故戰, 殺人父子而君之, 予不忍爲。” 乃與私屬遂去豳, 度漆、沮, 踰梁山, 止於岐下。 豳人擧國扶老攜弱, 盡復歸古公於岐下。 及他旁國聞古公仁, 亦多歸之。 於是古公乃貶戎狄之俗, 而營築城郭室屋, 而邑別居之。 作五官有司。 民皆歌樂之, 頌其德。

(음역)
경절졸, 자황복입。 황복졸, 자차불입。 차불졸, 자훼유입。 훼유졸, 자공비입。 공비졸, 자고어입。 고어졸, 자아어입。 아어졸, 자공숙조류입。 공숙조류졸, 자고공단보입。 고공단보부수후직、공류지업, 적덕행의, 국인개대지。 훈육융적공지, 욕득재물, 여지。 이복공, 욕득지여민。 민개노, 욕전。 고공왈 : “유민입군, 장이이지。 금융적소위공전, 이오지여민。 민지재아, 여기재피, 하이。 민욕이아고전, 살인부자이군지, 여부인위。” 내여사속수거빈, 도칠、저, 유양산, 지어기하。 빈인거국부로휴약, 진복귀고공어기하。 급타방국문고공인, 역다귀지。 어시고공내폄융적지속, 이영축성곽실옥, 이읍별거지。 작오관유사。 민개가악지, 송기덕。

(주석)
1. 경절(慶節)-4-003-주석24 참고.
2. 황복(皇僕)-고대 주(周) 종족의 수령으로 경절의 아들이다.
3. 차불(差弗)-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황복의 아들이다.
4. 훼유(毁隃)-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차불의 아들이다.
5. 공비(公非)-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훼유의 아들이다.
6. 고어(高圉)-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공비의 아들이다.
7. 아어(亞圉)-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고어의 아들이다.
8. 공숙조류(公叔祖類)-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아어의 아들이다.
9. 고공단보(古公亶父)-고대 주 종족의 수령으로 공숙조류의 아들이다. 고는 옛날 석(昔)과 같고 공은 작위이며, 이름은 단보이다, 달리 주나라 태왕(太王)으로 일컫는다. 위로는 후직(后稷)과 공류(公劉)의 업적을 계승하고 아래로는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의 태평성세를 가져오게 한 정치가, 개혁가, 군사가이다.
10. 후직(后稷)-1-026-주석8 참고.
11. 공류(公劉)-4-003-주석8 참고.
12. 국인(國人)-주나라 시기에 성읍(城邑) 및 그 주위에 거주하던 백성을 가리킨다. 주로 공상업에 종사하였다. 참고로 야인(野人)은 성읍 바깥에 거주하는자이고 농업에 종사하였다. 국인과 야인은 모두 자유민이고 노예가 아니다.
13. 대(戴)-존중하여 받들다.
14. 훈육(薰育)-1-005-주석7 참고.
15. 융적(戎狄)-4-003-주석5 참고.
16. 이(已)-오래지 않아서.
17. 유민(有民)-백성, 민중.
18. 소위(所爲)-소이(所以)와 동일하고, 원인, 목적의 의미이다.
19. 사속(私屬)-집안의 식솔.
20. 빈(豳)-4-003-주석26 참고.
21. 칠(漆)-4-003-주석12 참고.
22. 저(沮)-4-003-주석13 참고.
23. 양산(梁山)-옹주(雍州) 호치현(好畤縣) 서북쪽에 있다.
24. 기하(岐下)-기산(岐山) 아래를 가리킨다. 이곳은 주(周) 문화의 발상지이고, 섬서성(陜西省) 부풍현(扶風縣) 서북쪽에 있으며, 남쪽에 주원(周原)이 있다.
25. 휴(攜)-끌다.
26. 폄(貶)-감소, 제거의 의미.
27. 읍별거지(邑別居之)-읍락을 설치하고 따로따로 거주하다.
28. 5관(五官)-상(商)나라와 주(周)나라 시기 정사를 담당하던 고급 관직으로, 사도(司徒), 사마(司馬), 사공(司空), 사토(司土), 사구(司寇)를 가리킨다. 달리 광의의 의미로 백관을 가리킨다.
29. 유사(有司)-관리.

(국역)
경절이 사망하고 아들 황복이 즉위하였다. 황복이 사망하고 아들 차불이 즉위하였다. 차불이 사망하고 아들 훼유가 즉위하였다. 훼유가 사망하고 아들 공비가 즉위하였다. 공비가 사망하고 아들 고어가 즉위하였다. 고어가 사망하고 아들 아어가 즉위하였다. 아어가 사망하고 아들 공숙조류가 즉위하였다. 공숙조류가 사망하고 아들 고공단보가 즉위하였다. 고공단보는 다시 후직과 공류가 했던 일을 다스리고, 덕을 쌓고 의로움을 실행하였으며, 성읍 및 그 주위에 거주하던 백성인 국인들이 모두 그를 추대하였다. 서북방의 이민족 훈육과 융적이 그를 공격하고 재물을 얻으려고 하니 재물을 주었다. 오래지 않아서 다시 공격하고 토지와 백성을 차지하려고 하였다. 백성이 모두 분노하여 그들과 전쟁하려고 하였다. 고공이 말하기를 󰡒백성이 군주를 세우는 것은 장차 백성들을 이롭게 하려는 것이다. 지금 융적이 공격하여 전쟁하려는 목적은 우리의 토지와 백성이다. 백성들이 우리 쪽에 있거나 그들과 더불어 저쪽에 있거나 무엇이 다르겠는가! 백성들이 나와의 연고로 인하여 전쟁하려는 것은, 다른 사람의 부친과 자식을 살해하면서 그들의 군주가 되려는 것과 같으므로, 나는 참을 수 없다.󰡓 이에 집안의 식솔과 더불어 드디어 빈을 떠났으며, 칠수와 저수를 건너고 양산을 넘어서 기산 아래에 정착하였다. 빈 지역의 백성들은 온 나라에서 모두 노인은 부축하고 어린이는 이끌면서, 전부 기산의 아래에 정착하고 있는 고공에게 다시 귀의하였다. 게다가 그의 주변 나라에서까지 고공이 어질다는 것을 듣고 또한 대다수가 그에게 귀의하였다. 그래서 고공은 융적의 습속을 폐지하고 성곽과 집을 건축하였으며, 그리고 백성을 몇 개 읍락으로 나누어 거주하게 하였다. 또 사도, 사마, 사공, 사토, 사구 등 5종류의 고급관직을 설치하고 관리를 두었다. 그래서 백성들은 모두 《시경》의 〈천작(天作)〉편과 〈비궁(閟宮)〉편에 실린 것처럼 시와 노래를 지어 그의 은덕을 칭송하였다.

(참고)
기산(岐山)에서 봉황새가 운 까닭-고공단보(古公亶父)는 외적의 침입으로 종족을 이끌고 기산(岐山)으로 이동하였다. 기산은 바로 주 종족의 발상지로 여겼으며, 기산 아래의 평야가 바로 주원(周原)이다. 《국어(國語)》〈주어(周語)〉에 보면 기산은 봉황새가 울어서 달리 봉황산이라고 일컬었다. 봉황새는 전설중의 불사조이고, 길상을 나타내며 흥성과 발전을 상징한다고 한다. 즉 고공단보의 기산 개척과 봉황새의 울음은 미래에 주 종족의 흥성과 발전을 상징하는 표시이다. 그 외에 고공단보는 성곽과 가옥을 지어 부락민들로 하여금 나누어 거주하게 하였고, 5관(五官)과 담당 부서를 두어 통치하게 하는 등 개혁을 단행하였다. 그의 이러한 개혁은 계급 사회와 국가 기구의 초보적 형태가 구비되었음을 나타내주고 있었다. 이후에 무왕(武王)이 상나라를 멸망시키게 되는 실력의 기초는 바로 이 시기에 갖추게 되었던 것이다.

사기 강의 제62회 보충설명


제62강, 2014, 9, 5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史記》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책, 3천년 역사를 다루고, 52만 6500자와 130권의 분량 과 난해한 글자, 고사성어 600개와 명언 600개의 원천, 1000개 직업인의 등장, 가치있는 삶, 절대긍정, 출신성분을 따지지 않는 개혁강조, 好學深思의 태도, 고조선열전 ......
* 이밥-1)입쌀(멥쌀)로 지은 밥 ; 2)이팝나무(입하시 개화-이밥) ; 3)이성계가 내려준 밥 ; 4)조선시대 벼슬아치들이 먹는 밥 ; 5)쌀밥의 경상도 사투리 ; 6)북한에서 쌀밥을 가리키 는 평상 말 ; 7)이(곤충) 한마리가 하루에 새끼 10마리 낳는데 조금 지나면 하얗게 쌓임 ; 8)야생 미를 가리키는 고대어 Ni-Vara에서 변화(니밥-이밥)
* 秋夕-《禮記》와 唐, 杜牧의 詩에 나옴
중국의 2대 명절 추석에 대한 간략한 설명
1)명칭-秋夕, 仲秋節, 中秋節, 8月節, 團圓節
2)유래-문자상 유래는《禮記》󰡒天子春朝日,秋夕月,朝日以朝,夕月以夕󰡓春分朝日, 東 門, 秋分夕月, 西門-제왕의 제사 ; 또는 唐, 杜牧의 詩에서 유래한다. 그 외에 전설과 농경 사회의 償月 행사가 있다. 대략 위의 3가지가 서로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영향을 받음.
첫째, 嫦娥가 달로 도망가고, 계수나무 아래서 옥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다는 등의 여러 신 화 전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둘째 《禮記》󰡒天子春朝日, 秋夕月󰡓의 문헌으로 󰡒천자는 봄철에 태양에 제사지내고 가 을에는 달에 제사 지낸다.󰡓는 내용이 있다. 이것이 시대가 변하면서 국가의 엄숙한 제사 가 가족이 함께 모여서(團圓) 낭만적인 달을 감상하고 달의 모양을 한 月餠을 먹는 민간의 습속으로 변했다.
셋째는 농경사회에서 음력 8월에 농업생산물을 수확하여 天地에 감사하고 가족간에 즐거 움을 나누는 풍속에서 유래되었다. 특히 仲秋는 음력으로 가을에 해당하는 7월, 8월, 9월 중에서 8월을 가리키므로 가을의 중간을 의미하는 仲秋(中秋)라고 일컬었다. 또 15일은 8 월에서도 중간이고, 달도 둥글고 크며 밝아서 달을 감상하기에 가장 적당하여 8月節이라고 일컬었다.
3)형성-양한(兩漢) 시대에 이미 달을 감상하고 月餠을 먹는 초보적인 형태가 형성되었다.
4)성행-당대(唐代)에 이러한 습속이 크게 성행하고 명절 활동이 정착되었다.
(출처 : 김영환-中國文化 이야기-󰡒秋夕󰡓요약)
* 刈草, 伐草, 割草, 剪草, 切草, 除草

1. 皇-원래는 이전에 없던 제왕 ; 天神 ;《詩經》〈周頌〉󰡒上帝是皇󰡓; 봉황 凰의 古字, 암 컷 봉황
2. 僕-갑골문, 원래는 주인 대신에 노역하다 ;《禮記》〈禮運〉󰡒仕于家曰僕󰡓
3. 立-갑골문, 원래는 앞을 보고 서있음
4. 差-羊양무리+工노동=差, 원래는 집단 노동 ; 차별, 차이, 착오, 한계《後漢書》󰡒輕用 人力, 繕修宫宇, 出入無節, 喜怒過差󰡓
5. 毁-원래는 기와 파손 ; 훼손, 비방《戰國策》〈齊策〉󰡒每言未尝不毁孟尝君也” ; 哀毁- 초상났을 때 슬픔이 지나쳐 건강을 상함.
6. 隃-넘을 逾와 통용
7. 非-갑골문, 원래는 위배하다 ; 그렇다고 여기지 않다(不以爲然) ; 비방하다《史记》〈秦 始皇本纪〉󰡒今諸生(儒生)不師今而學古, 以非當世, 惑亂黔首(焚書坑儒)󰡓
8. 高-갑골문, 원래는 이층집 ;《荀子》〈勸學〉󰡒不登高山,不知天之高也󰡓 ; 연세 高壽
9. 圉-갑골문, 원래는 갇혀서 힘을 못 씀 ; 감옥, 말을 기르는 곳, 圉人(말 기르는 관리), 圉 牧(소, 말 기르는 사람)
10. 亞-갑골문, 원래는 꽃잎의 바깥 ; 못생기다, 馬王堆 漢墓 帛書《十六經》󰡒夫地有山有 澤,有黑有白,有美有亞󰡓
11. 叔-伯(孟)-仲-叔-季-末
12. 祖-갑골문, 원래는 男根 ; 示 조상+且 남근, 생육, 힘을 주다=祖, 자손에게 힘을 주는 조상 ; 祖禰(祖考) ;《周禮》〈考工記〉󰡒左(동쪽)祖右(서쪽)社󰡓王宮之左宗廟, 王宮之右社 稷壇-서울거리-동쪽은 양반, 서쪽은 전문직 중인(효자, 통인, 옥인, 누하, 체부, 사직) ; 男左(東)女右(西)(주재자의 입장에서)
13. 類-원래는 개들의 모습이 가장 비슷 ;《莊子》〈漁夫〉󰡒同類相從, 同聲相應, 固天之理 也󰡓;《荀子》〈正論〉󰡒以類相從(類類相從?)󰡓 ; 公叔祖類-성은 姬, 이름은 類, 자는 叔 類, 칭호는 太公, 별칭 公祖, 公은 존칭
14. 古-갑골문, 원래는 옛날,《呂氏春秋》〈察今〉󰡒故察己則可以知人,察今則可以知古。古 今一也,人与我同耳󰡓; 시대구분은 古代--太(遠)古-上古, 中古, (下古), 近古), 中世, 近代, 最近世, 現代(當代)
15. 亶-원래는 믿다 ; 古公亶父의 이름, 성은 姬, 이름은 亶, 존칭은 古公, 父는 甫(보)와 같 고, 남자 중에서 존경할 만한 사람을 나타냄, 시호는 周의 太王
16. 戴-원래는 머리위에 추가하는 것 ;《漢書》〈嚴助傳〉󰡒頭生白髮, 形容人老󰡓:戴盆望 天-《保任安書》“僕以爲戴盆何以望天” ; 不共戴天-《禮記》〈曲禮上》“父之仇,弗與共戴 天。”
17. 薰-원래는 향기나는 풀(난초 종류), 蕙草
18. 育-갑골문, 원래는 애를 낳다 ; 생-생물학상, 육체 , 육-사회학상, 정신 ;《易經》󰡒婦 孕不育,失其道也󰡓-3살까지는 엄마가 키워야 함.
19. 攻-원래는 성 밖에서 토목사업을 하는 것 ;《孫子兵法》〈謀攻〉󰡒是故百戰百勝,非善 之善也;不戰而屈人之兵,善之善者也。故上兵伐謀,其次伐交,其次伐兵,其下攻城。攻城 之法,爲不得已󰡓
20. 財-원래는 저축한 돈 ;《六書故》󰡒凡粟米絲麻材木可用者曰財󰡓
21. 物-갑골문, 원래는 소(牛)와 여러 가지 색의 깃발(勿)
22. 予-갑골문, 원래는 찌르고 있는 창 ; 余, 我 ; 주다《荀子》󰡒怒不過奪,喜不過予󰡓
23. 怒-갑골문, 원래는 화내다, 《國語》〈周语〉󰡒怨而不怒󰡓
24. 戰-원래는 힘껏 싸우다 ; 떨다,《詩經》〈小雅〉󰡒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冰󰡓
25. 君-갑골문, 원래는 명령을 내리다, 군주 ; 상대의 존칭(남녀 가리지 않음)
26. 吾-원래는 중앙에 위치한 사람(你我他) ; 우리들-吾匹, 吾曹, 吾輩,吾儔,吾儕,吾等, 吾屬, 吾倫, 吾們, 吾人
27. 彼-원래는 상호 영향을 주다 ; 那, 此와 반대, 彼岸(utopia)과 此岸(dystopia) ; 《孫子 兵法》〈謀攻〉󰡒知彼知己, 百戰不殆󰡓; 서로 같다 彼此一般, 彼此彼此
28. 異-원래는 공동경작 토지 ; 私田, 公田, 共田 ;《禮記》〈樂記〉󰡒禮者爲異(親疎貴賤)󰡓
29. 故-갑골문, 원래는 까닭 ; 오래된, 죽은, 의외의, 이전의.....《論語》〈爲政〉󰡒温故而知 新,可以爲師矣󰡓
30. 殺-갑골문, 원래는 허벅지에 표시한 기호 ; 《孟子》〈梁惠王〉󰡒殺人以梃與刃,有以異 乎?󰡓
31. 忍-갑골문, 원래는 마음에 상처를 입다 ; 《論語》〈衛靈公〉󰡒小不忍,則亂大謀󰡓; 《呂氏春秋》〈去私〉󰡒忍所私以行大義󰡓;《史记》〈廉頗藺相如列傳〉󰡒不忍爲之下(자신의 직위가 그의 아래에 있다는 것을 참을 수 없다)󰡓
32. 私-禾+厶=私 , 원래는 자기의 곡식 ; 고대에 卿, 大夫의 家臣 ; 고대에 여성이 자신의 여동생 남편을 일컫는 말
33. 屬-원래는 특수한 동물종류
34. 度-원래는 손으로 길이를 재다 ; 五度는 分0.33, 寸3.33, 尺30.33, 丈300.33, 引 3000.33 ; 《孟子》〈梁惠王〉󰡒權然後知輕重, 度然後知長短󰡓; 度量衡律
35. 踰-逾와 통용
36. 梁-갑골문, 원래는 물 위에 만든 다리 ; 《詩經》〈大雅〉󰡒造舟爲梁,不顯其光󰡓
37. 止-갑골문, 원래는 다리(脚) ; 그치다, 머무르다 《搜神記》󰡒南陽西郊有一亭,人不可 止,止則有禍󰡓
38. 岐-원래는 큰 산 주위의 작은 산

〈公冶長〉
子曰:「吾未見剛者。」或對曰:「申(木長)。」子曰:「(木長)也慾,焉得剛?」
剛-인품이 곧음;申(木長)-공자의 학생 ; 慾-탐욕
子貢曰:「我不欲人之加諸我也,吾亦欲無加諸人。」子曰:「賜也,非爾所及也。」
可-능욕, 능멸, 가하다, 무리한 요구 ; 諸-之於 ; 賜-자공 이름 ; 非爾所及-부족한 점이다, 도달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己所不欲, 勿施於人
子貢曰:「夫子之文章,可得而聞也;夫子之言性與天道,不可得而聞也。」
文章-공자가 가르쳐준 학문(6藝); 性-인간의 본성 ; 天道-天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