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1월 22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71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71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11월28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장소후원 :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 

사기 강의 제69회 보충설명 2


제69강, 2014, 11, 21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6. 卦-원래는 자연현상과 세상사 변화를 부호로 나타낸 것 ; 卜+圭=卦 ;《易經》〈說卦〉 󰡒觀變于陰陽而立卦󰡓
7. 詩-원래는 詩歌 ; 言+寺=詩 ;《書經》〈舜典〉󰡒詩言志, 歌永言󰡓;《國語》〈魯語〉󰡒詩 所以合意, 歌所以咏詩也󰡓;《周禮》〈大師〉󰡒教六師, 曰風(지방민가), 曰賦, 曰比, 曰典, 曰雅()조정악가), 曰頌(종묘음악)󰡓;《論語》〈爲政〉󰡒詩三百, 一言以蔽之, 曰..思無邪󰡓
8. 道-원래는 처음부터 걸어가기 시작하다 ; 辵쉬업쉬엄 갈 착+首=道 ;《周禮》〈地官〉󰡒 百夫有洫,洫上有途,千夫有澮,澮上有道,萬夫有川,川上有路󰡓; 途는 수레1대, 道는 수 레2대,路는 수레3대 ; 街,曲 또는 小는 巷(골목길, 작은길) ; 途, 道, 路 ;《史記》〈項 羽本紀〉󰡒從此道至吾軍,不過二十里耳󰡓;《漢書》〈藝文志〉󰡒小說家者流, 盖出于稗官, 街談巷語, 道聽途說者之所造也󰡓
9. 受-갑골문, 원래는 배에서 물건을 수송하는 것 ;《史記》〈魏公子列傳〉󰡒臣修身潔行數 十年,終不以監門困故而受公子財 ; 부담하다,《論語》〈憲問〉󰡒民到于今受其賜󰡓; 賈誼 《論織貯疏》󰡒一夫不耕,或受之飢,一女不織,或受之寒󰡓
10. 稱-갑골문, 원래는 어망으로 반복해서 물고기 잡다, ; 禾+爯=稱 ; 부합하다,《韓非子》〈王蠹〉󰡒薄罰不爲慈,誅嚴不爲戾,稱俗而行也󰡓; 일컫다,《戰國策》〈秦策〉󰡒稱帝而治󰡓;《漢書》〈李廣蘇建傳〉󰡒幸蒙大恩,賜號稱王󰡓; 칭찬,《左傳》󰡒禹稱善人,不善人遠󰡓
11. 斷-원래는 자르다 ;《韓非子》〈說林下〉󰡒公孫弘斷發而爲越王騎 ; 판단하다,《石鐘山 記》󰡒事不目見耳聞, 而臆斷其有無, 可乎󰡓
12. 訟-갑골문, 원래는 쌍방이 논쟁하다 ; 言+公=訟 ;《說文解字》󰡒訟, 爭也。…以手曰爭, 以言曰訟󰡓;《正字通》󰡒爭曲直于官有司也󰡓;《周禮》〈地官〉(注)󰡒爭罪曰獄, 爭財曰訟 󰡓;《論語》〈顔淵〉󰡒子曰..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 공개적으로,《史記》〈呂太 后紀〉󰡒太尉尚恐不勝諸呂, 未敢訟言誅之󰡓
13. 諡-사망한 이후에 후세 사람들이 올리는 존칭 ;《說文解字》󰡒行之迹也󰡓;《爾雅》〈釋 詁〉󰡒靜也󰡓(疏)󰡒人死將葬,誄列其行而作之也󰡓; 帝號-年號-諡號-廟號 ; 시호시작-주나 라 昭王 ;《逸周書》〈諡法解〉󰡒民無能名曰神󰡓; 시호 글자 靖民則法曰皇 ; 德象天地曰帝 ; 仁義所往曰王 ; 立志及衆曰公 ; 執應八方曰侯 ; 賞慶刑威曰君 ; 시호종류 1.美諡-莊、 武、文、宣、襄、明、睿、康、景、懿 ; 2.平諡-懷、悼、哀、閔、殤(同情 의미) ; 3.惡諡- 勵、靈、煬(부정 의미)
14. 改-갑골문, 원래는 몽둥이를 들고 체벌하여 아이를 가르침, 칠 복 攴) ;《論語》〈雍 也〉󰡒回也不改其樂󰡓;《論語》〈述而〉󰡒三人行必有我師焉,擇其善者而從之,其不善者而 改之󰡓 曲肱而枕之
15. 法-法의 古語가 있음 ; 獬짐승이름 해 廌법 치-용맹과 공정의 상징-獬廌 참고 ;《孫子 兵法》〈九變〉󰡒凡用兵之法,全國爲上, 破國次之󰡓;《書經》〈呂刑〉󰡒惟作五虐之刑曰法 󰡓;《鹽鐵論》〈詔聖〉󰡒法者,刑罰也。所以禁强暴也󰡓;《呂氏春秋》〈察今〉󰡒故治國無 法則亂,守法而弗度則悖󰡓;《史記》〈陳涉世家〉󰡒失期,法當斬󰡓
16. 度-원래는 석공이 재료를 살피다, 庶석공+又살피다=度 ; 추측하다,《史記》〈項羽本 紀〉󰡒度我至軍中,公乃入󰡓; 도량,《戰國策》〈燕策〉󰡒群臣驚愕,卒起不意,盡失其度󰡓; 측량,《孟子》󰡒度然后知長短󰡓; 계산하다,《韓非子》〈外儲說左上〉󰡒鄭人有欲買履者, 先 自度其足而置之其坐󰡓
17. 制-원래는 칼로 곡식을 자르다 ; 황제의 명령,《漢書》〈趙廣漢傳〉󰡒制曰..下京兆尹治 󰡓; 자르다,《淮南子》〈主術〉󰡒賢主之用人也, 猶巧工之制木也󰡓; 제정,《鹽鐵論》〈刑 德〉󰡒故王者之制法, 昭乎如日月󰡓; 제어,《孫子兵法》〈虛實〉󰡒水因地而制流, 兵因敵而 制勝 ;결단,《史記》〈晋世家〉󰡒當是時, 晉國政皆決知伯, 晉哀公不得有所制󰡓; 규모, 范仲 淹《岳陽樓記》󰡒乃重修岳陽樓, 增其舊制󰡓
18. 朔-원래는 달이 운행하고 원점으로 돌아옴 ;《釋名》󰡒朔,月初之名也󰡓; 북쪽,《爾 雅》󰡒朔,北方也󰡓;《後漢書》〈袁安傳〉󰡒今朔漠既定,宜令南單于反其北庭,并领降衆󰡓
19. 追-갑골문, 원래는 범죄자를 체포하러 가다 ; 쫒다, 賈誼《過秦論》󰡒追亡逐北,伏尸百 萬,流血漂櫓󰡓; 陶淵明《歸去来兮辭》󰡒悟以往之不諫,知來者之可追󰡓
20. 尊-갑골문, 두 손으로 술잔을 받들어 제사에 올림 ; 酒+寸양을 헤아리다=尊 ; 술잔, 《後漢書》〈張衡傳〉󰡒形似酒尊󰡓; 존중,《論語》󰡒堯曰..尊五美,屏四惡,斯可以從政矣 󰡓; 賈誼《過秦論》󰡒尊賢而重士󰡓; 고귀,《戰國策》〈趙策〉󰡒位尊而無功󰡓; 恭敬칭호, (1)타인부친-尊上,尊大人(타인부모);尊大君;尊甫、尊公;侯;尊堂(타인모친);令尊 (2) 자기부친,모친-尊慈,尊萱;家尊 (3)伯叔
21. 公-갑골문(분배+음식물), 원래는 음식물을 균등하게 나눠줌 ; 金文, 개인 소유를 모두 에게 나눠줌 ; 篆書, 《說文解字》八(반대)+厶(개인 私)=公 ;《韓非子》〈五蠹〉󰡒背厶謂 之公,或說,分其厶以與人謂公󰡓
22. 季-갑골문, 원래는 어린 벼이삭 ; 곡물을 파종부터 수확 할 때까지의 기간 ; 末과 동일 󰡒孟(伯), 仲, 叔, 季󰡓
23. 瑞-원래는 믿음을 나타내는 옥기 ; 玉+전=瑞 ; 상서로움,《論衡》〈指瑞〉󰡒世間謂之聖 王之瑞, 爲聖母來矣󰡓;《墨子》〈非攻下〉󰡒禹親把天之瑞令, 以征有苗󰡓;《荀子》〈天論〉 󰡒日月星辰瑞曆, 是禹桀之所同也󰡓
24. 興-갑골문, 여러 사람이 구호에 맞춰서 농기구를 사용함 ; 篆書, 《說文解字》 일찍 일 어나다 ;《詩經》〈衛風〉󰡒夙興夜寐󰡓;《禮記》〈大道之行也〉󰡒是故謀閉而不興󰡓;《周 禮》󰡒凡小祭祀則不興舞󰡓;《史記》〈平原君虞卿列傳〉󰡒興師以與楚戰󰡓;《論語》〈子 路〉󰡒—言可以興邦,有諸?󰡓;《報任安書》󰡒稽其成敗興壞之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