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 25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46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46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7년 2월 3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45회 보충설명

제145회 강의의 부수적인 내용으로는
첫째, 冬至 명칭의 由來(陰極, 日短, 日南), 別稱(冬節,亞歲, 長之節, 小年), 開始(周代), 傳說(共工氏 아들), 食習慣(餃子, 羊肉湯, 湯圓, 紅豆糯米飯), 風俗(祭天祀祖), 其他(官吏休暇) 등에 대하여 학습
둘째, 왕조 또는 통치자의 명칭과 관련된 甲骨文字와 사회단계(炎帝(불을 사용), 黃帝(활쏘기), 華(식물재배), 堯(토기제작), 舜(익힌 음식), 鯤(어로생활), 禹(파충류와 싸우는 용사), 夏(농업생산), 에 대하여 상세히 학습하였습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45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45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2월 23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44회 보충설명


6. 悉-갑골문, 마음속으로 분명히 아는 것 ; 《說文解字》󰡒悉,詳盡也󰡓;《史記》〈報任安書》󰡒書不能悉意󰡓; 완전히, 전부,《史記》〈平準書〉󰡒占不悉󰡓
7. 求-갑골문, 원래는 동물을 쫒아가 잡다 or 가죽 옷 ; 《說文解字》󰡒裘,皮衣也……求,古文省衣󰡓; 찾다,《孟子》〈告子上〉󰡒求則得之,舍則失之󰡓; 힘써 도모하다,《後漢書》〈列女傳〉󰡒求利以污其行󰡓; 구하다,《論語》〈衛靈公〉󰡒君子求諸己,小人求諸人󰡓
8. 惡-원래는 마음속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 《說文解字》󰡒惡,過也。從心,亞聲󰡓;《論語》〈里仁〉󰡒唯仁者,能好人,能惡人󰡓; 마음이 매우 안좋음,《論語》〈鄕黨〉󰡒色惡不食,臭惡不食󰡓; 나쁜, 杜甫《錦樹行》󰡒自古聖賢多薄命,奸雄惡少皆封侯󰡓;《禮記》〈大學〉󰡒人莫知其子之惡󰡓
9. 貶-깍아 내리다
10. 從-갑골문, 원래는 두 사람이 같이 걸어가는 모양 ; 따르다,《淮南子》〈泛論〉󰡒禽獸可羈(勒)而從也󰡓
11. 殷-갑골문, 원래는 귀족이 임신한 부인을 위해서 음악을 연주하게 하여 태아를즐겁게 함 ; 부유, 간절, 검 붉은색 ; 풍성,《說文解字》󰡒殷,作樂之盛稱殷󰡓按..󰡒殷者, 舞之容, 殳(수)者, 舞之器󰡓; 크다,《廣雅》󰡒殷,大也,衆也󰡓; 많다,《三國志》〈諸葛亮傳〉󰡒民殷國富󰡓; 제사 종류, 殷際(풍성한 제사)
* 胎敎-《史記》〈周本紀〉“(太妊-周文王母)及其妊娠,目不視惡色,耳不聽淫聲,口不出傲言󰡓; 胎毛筆 ;《說文解字》󰡒胎, 婦孕三月也󰡓

2016년 12월 10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44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44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2월 16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43회 보충설명

2. 天-갑골문, 원래는 사람 머리 위의 하늘 ;《說文解字》󰡒天,至高無上󰡓; 하늘, 王勃《送杜少府之任蜀州》󰡒海内存知己,天涯(海角)若比鄰󰡓; 白居易《長恨歌》󰡒天長地久有時盡,此恨綿綿無絶期󰡓; 절대자,《孟子》〈告子下〉󰡒天將降大任󰡓;《史記》〈項羽本紀〉󰡒此天之亡我,非戰之罪也󰡓;《史記》〈酈生陸賈列傳〉󰡒王者以民人爲天,而民人以食爲天󰡓; 날씨, 王羲之《蘭亭集序》󰡒是日也,天朗氣淸,惠風和暢󰡓;《爾雅》〈釋天〉󰡒春爲蒼天,夏爲昊天󰡓
* 天長地久-감정, 우의 등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음(《老子》7장 “天長地久,天地所以能長且久者,以其不自生,故能長生󰡓; 天地長久-嵇康《四言贈兄秀才入軍詩》“人生壽促,天地長久󰡓; 天長日久
3. 保-갑골문, 원래는 애기를 업고 있는 ;《說文解字》󰡒保,養也󰡓; 유아를 보육하는 여자,《禮記》〈内則〉󰡒國君世子生,…保受,乃負之󰡓;《孟子》〈藤文公上〉󰡒儒者之道,古之人若保赤子󰡓; 애기 싸는 포대기,《後漢書》〈桓郁傳〉󰡒昔成王幼小,越在襁保󰡓; 상점에서 일하는 하인(남자 하인은 酒保, 여성은 酒母 ? ) ; 작은 성,《莊子》〈盗跖〉󰡒孔子与柳下季为友,柳下季之弟,名曰盗跖。盗跖从卒九千人,横行天下,侵暴诸侯。穴室枢户,驱人牛马,取人妇女。贪得忘亲,不顾父母兄弟,不祭先祖。所過之邑(城市),大國守城,小國入保, 萬民苦之 ; 보물,《史記》〈周本紀〉󰡒展九鼎保玉󰡓; 보증하다,《獄中雜記》󰡒然後導以取保󰡓
4. 依-갑골문, 원래는 옷을 입고 있는 모습 ; 《說文解字》󰡒依,倚也。從人,衣聲󰡓; 따른다,《後漢書》〈竇融傳〉󰡒乃拜憲車騎將軍,金印紫綏,官屬依司空󰡓; 기대다,《孫子》〈行軍〉󰡒凡處軍相敵,絶山依谷󰡓
5. 室-갑골문, 원래는 부부의 침실(在古代,妻子住的屋子“室”,妾住的屋子“房”) ; 《說文解字》󰡒室,實也。從宀,從至。至,所止也󰡓;《禮記》〈曲禮上〉󰡒若通而言之,則宮室通名,故《爾雅》云,“宮謂之室,室謂之宮。”别而言之,論其四面穹隆則曰宫,因其貯物充實則曰室 ; 부인,《韓非子》󰡒丈夫二十而室,婦女十五而嫁󰡓; 집안,《三國志》〈諸葛亮傳〉󰡒將軍既帝室之胄,信義著於四海󰡓; 방 한 칸, 실내, 실외
* 尸앉다+至누워 휴식하다=屋방안에 앉아서 휴식(잠자다) ; 古人稱夫妻之

2016년 12월 3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43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43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2월 9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42회 보충설명

* 斬草除根-규제철폐 강조할 때 사용?《左傳》隱公六年-화근을 없애서 후환을 제거하는 것을 비유할 때 사용-馮夢龍《警世通言》
* 解語花
五代(后梁、后唐、后晋、后漢、后周)王仁裕《開元天宝遺事》〈解語花〉󰡒明皇秋八月,太液池有千葉白蓮數枝盛開,帝與貴戚宴賞焉。左右皆嘆羡(부러워할 이, 羨부러워할 선),久之,帝指貴妃示於左右曰:爭如我解語花?󰡓
1. 定-갑골문, 원래는 전쟁이 끝나고 편안히 보냄 ;《說文解字》󰡒定,安也󰡓; 편안히 거주 or 이불 깔개 or 부모가 주무시는 거 보고 가서 자신이 자는 것,《禮記》〈曲禮〉󰡒凡爲人子之禮,冬温而夏凊,昏定而晨省󰡓; 안정,《史記》〈留侯世家〉󰡒天下屬安定,何故反乎?󰡓; 毛澤東.󰡒革命無罪,造反有理󰡓
2. 天-갑골문, 원래는 사람 머리 위의 하늘 ;《說文解字》󰡒天,至高無上󰡓; 하늘, 王勃《送杜少府之任蜀州》󰡒海内存知己,天涯(海角)若比鄰󰡓; 白居易《長恨歌》󰡒天長地久有時盡,此恨綿綿無絶期󰡓; 절대자,《孟子》〈告子下〉󰡒天將降大任󰡓;《史記》〈項羽本紀〉󰡒此天之亡我,非戰之罪也󰡓;《史記》〈酈生陸賈列傳〉󰡒王者以民人爲天,而民人以食爲天󰡓; 날씨, 王羲之《蘭亭集序》󰡒是日也,天朗氣淸,惠風和暢󰡓;《爾雅》〈釋天〉󰡒春爲蒼天,夏爲昊天󰡓

2016년 11월 26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42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42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2월 2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41회 보충설명

13. 寐-갑골문, 원래는 침대에 누었지만 잠들지 못함 ;《說文解字》󰡒寐,臥也󰡓;《詩經》〈衛風〉󰡒夙興夜寐󰡓;《詩經》〈邶風〉󰡒耿耿不寐󰡓;《公羊傳》僖公二年 󰡒寡人夜者寝而不寐󰡓
*人生7不交
1.父母不孝者不可交 ; 2.爲人刻薄者不可交 ; 3.吝嗇之人不可交 ; 4.不知敬重人不可交 ; 5.善於阿諂者不可交 ; 6.權貴無原則不可交 ; 7.無同情心人不可交
*人生8必交
1.성취하게 해주는 ; 2.자기의견을 지지 ; 3.추구하는 바가 같고 ; 4.좋은 사람을 추천 ; 5.취미생활을 갖게 ; 6.안목이 탁월한 ; 7.합당한 방향으로 인도 ; 8.좋을때나 슬플때나 함께하는
*印度《摩訶僧只律》
명칭
배수
하루
시간
日夜

1
24
1440
86400
須臾
30
0.033333333
0.8
48
2880
羅預
20
0.001666667
0.04
2.4
144
彈指
20
8.33333E-05
0.002
0.12
7.2
20
4.16667E-06
0.0001
0.006
0.36
1
2.08333E-07
0.000005
0.0003
0.018
刹那
1
2.08333E-07
0.000005
0.0003
0.018
*1年4時8節12月24氣72候
1年(365일)
四時
봄(春)
여름(夏)
가을(秋)
겨울(冬)
八節
立春
春分
立夏
夏至
立秋
秋分
立冬
冬至
十二月
1月
2月
3月
4月
5月
6月
7月
8月
9月
10月
11月
12月
二十四氣
立春
雨水
驚蟄
春分
淸明
穀雨
立夏
小滿
芒種
夏至
小暑
大暑
立秋
處暑
白露
秋分
寒露
霜降
立冬
小雪
大雪
冬至
小寒
大寒
七十二候
東風解凍
蟄蟲始振
魚上氷
이하 각 氣에 3개 候(징조)가 있다.
 
司馬遷의 《史記》강의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의 『이모작 열린학교』 개강에 즈음하여)
Ⅰ. 緖 言
* 인사말(남서울대 김영환교수 소개)
* 동양고전아카데미 소개
(설립이념)
첫째, 고전을 통한 현재의 제문제 인식과 해결에 도움이 되는 유능한 젊은이
둘째, 삶의 숙명적인 문제로부터 모두가 자유롭고 평안해지는 훌륭한 어르신
셋째, 즐거움을 모두가 같이 누리는 󰡒여민동락(與民同樂)󰡓의 공동체 구성원
2013년 4월 19일부터 시작함. 중국 고전의 종합판 《史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옛사람의 응축된 지혜를 터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련 고전과 주변학문 및 사례를 집중적으로 학습합니다.
Ⅱ. 학습목적과 목표
1. 학습목적
젊은이의 인생을 변화시키고, 어르신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며, 모두가 행복한 공동체 구성
2. 학습목표
1) 사마천의 《사기》와 관련된 동양고전을 교재로
2) 현재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배양
3)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인간다운 품성을 함양함
4) 20년 이상 장기간 학습을 목표로 함.
Ⅲ. 《史記》중요내용
1.《史記》중요성(書院과 皇室敎育)
* 중국 書院에서 배우는 科擧 시험 준비 과목(明淸 시대기준)
a.초급(發蒙)
《蒙求》,《三字經》,《百家姓》,《神童詩》,《千家詩》,《幼學琼林》,《弟子規》
b.중급(童生)
《大學》,《中庸》,《論語》,《孟子》,《文心雕龍》,《字貫》,《古文觀止》
c.고급(秀才-府, 州, 縣의 학생)
《詩經》,《書經》,《易經》,《禮記》,《春秋》,《孝經》,《老子》,《莊子》,《墨子》,《孫子兵法》등 諸子百家
d.실전(擧人, 鄕試 합격자)
《心經》,《金剛經》,《壇經》,《資治通鑑》, 二十四史-《史記》
* 중국 역대 皇室의 皇太子 교육과정
a.초급-《急就篇》《千字文》《千家詩》《百家姓》
b.중급-《孝經》《論語》《中庸》《大學》《孟子》
c.고급-《詩經》《書經》《易經》《春秋》
d.실전-《資治通鑑》《史記》
2.《史記》요약
1)고전을 학습할 때에 꼭 읽어야 할 책, 3천년 역사(신석기 후기의 五帝부터 한나라 무제까지)를 다루고, 52만 6500자와 130권의 분량과 난해한 글자 및 대체글자, 고사성어 600개와 명언 600개의 원천, 1000개 직업인과 셀 수 없는 인물의 등장. 가치 있는 삶, 절대긍정, 출신성분을 따지지 않는 개혁 강조와 好學深思의 태도.
2)저술 동기는 첫째, 아버지 司馬談의 유지를 계승하였다. 둘째, 사마천은 《춘추》의 褒貶 정신을 계승하였다. 셋째, 사마천은 역사가의 책임을 완수하였다. 즉〈報任安書〉에󰡒究天人之際, 通古今之變, 成一家之言󰡓(우주만물의 자연적 현상과 인류사회의 규율적 질서 사이의 모든 관계를 탐구하고, 과거와 현재 및 미래의 무수한 변화과정을 깨우치고 통달해서, 자신의 독립적이고 완벽한 이론과 저술체계를 이룩한다.)
3)저술 태도는 첫째, 엄격한 고증을 통한 객관적인 사실을 기록하였다. 둘째, 인물을 묘사할 때에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처리하였다. 셋째, 인물에 대한 공과득실 등 평가를 분명히 하였다.
4)저술 체제는 紀傳體의 방법으로 서술하였다. 즉 역대 제왕의 중요 사적을 기록한 〈本紀〉 12편, 왕후장상(王侯將相) 및 걸출한 인물의 전기를 기록한〈世家〉 30편, 각계각층 인물의 전기를 기록한〈列傳〉70편, 천문 역법 등 방면의 제도를 기록한〈書〉 8편,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한 대사건 연표를 기록한〈表〉 10편으로 되어있다. 한국과 관련된 내용도 중요(고조선열전) ......
5)사마천의 《사기》가 후세에 알려지게 된 것은 사마천의 딸과 사위 大司農 양창(楊敞) 및 그들의 아들 양운(楊惲)의 공로이다. 사마천 생전에 《사기》는 금지된 서적이었는데, 양운의 적극적인 선전과 노력으로 宣帝 시기에 조정에 바쳐졌고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 變(無常)《周易》〈繫辭下〉󰡒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Ⅳ.《史記》학습과정
1. 甲骨文에서《說文解字》까지 글자 변화를 학습
2. 글자의 여러 가지 意味와 用例를 학습
3. 관련된 다양한 고전을 본문과 함께 학습
4. 故事成語의 유래와 관련내용을 상세히 학습
5. 博古通今의 능력을 배양하는 학습
6.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학습
7. 중국과 관련된 여러가지 사항을 학습
(1~7과 관련된 사례)
* 封-갑골문, 원래는 하사받은 토지 주위에 초목을 심어서 토지의 경계를 나타냄 or 흙을 모으다 ; 《說文解字》󰡒封,爵諸侯之土也...... 公侯,百里;伯,七十里;子男,五十里󰡓; 강계,《左傳》僖公三十年󰡒旣東封鄭,又欲肆其西封󰡓;《孟子》〈公孫丑下〉󰡒故曰,域民不以封疆之界, 固國不以山溪之險, 威天下不以兵革之利。得道者多助, 失道者寡助。寡助之至, 親戚畔之。多助之至, 天下順之。以天下之所順, 攻親戚之所畔, 故君子有不戰, 戰必勝矣。󰡓; 영토,《荀子》󰡒土地之大,封內千里󰡓; 땅을 돋은 경계,《史記》〈商君書〉󰡒開阡陌封疆󰡓; 밀봉,《史記》〈項羽本紀〉󰡒吾入關,秋毫不敢有所近, 籍吏民,封府庫,而待將軍󰡓; 제후에게 땅을 분배, 《史記》〈貨殖列傳序〉󰡒故太公望封於營丘󰡓; 상을 내려 임명하다,《史記》〈魏公子列傳〉󰡒安縕王即位,封公子爲信陵君󰡓; 하늘에 제사지내다,󰡒祭天爲封, 祭地爲禪󰡓(참고로 봉선을 행한 황제는 秦 始皇, 漢 武帝, 後漢 光武帝, 唐 高宗과 玄宗, 宋 眞宗이다.) ; 5仙-天地神人鬼 ; 편지 한통, 一封信 ; 높다,󰡒登封泰山󰡓; 고사성어 封侯拜相-작위가 매우 높음을 뜻함
* 勸學文-眞宗, 朱子, 王安石
a.眞宗〈勸學文〉-󰡒富家不用買良田,書中自有千鍾粟。安居不用架高堂,書中自有黃金屋。取妻莫愁無良媒,書中有女顔如玉。出門莫愁無人隨,書中車馬多如簇。男兒欲遂平生志,五經勤向窗前讀。󰡓
b.朱子〈勸學文〉-󰡒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日月逝矣,歲不我延。嗚呼老矣,是誰之愆? ......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未覺池塘春草夢,階前梧葉已秋聲󰡓:(明)范立本-《明心寶鑑》 정리자는 아래내용 삽입
c.王安石〈勸學文〉-󰡒讀書不破費,讀書利萬倍。窗前讀古書,燈下尋書義。貧者因書富,富者因書貴。󰡓
* 封建制度란?
1. 토지를 매개로 한 주종관계-봉건제도
1) 중국)封土(列爵爲封)建國(分土曰建)-군주와 諸侯 ; 제후와 卿,大夫-혈연관계
2) 유럽)Feudalism-영주와 농노-계약관계
3) 일본)지역책임자 다이묘(大名)와 영지인 藩, 그리고 무사 ; 도쿠카와 이에야스 이후 쇼오군(將軍)과 다이묘가 토지와 인민을 지배하고 무사가 존재하는 幕藩체제-유럽과 비슷함.
2.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발전 5단계의 3단계-봉건사회
원시공동체사회(공동생산)-노예사회(노예)-봉건사회(농노, 秦代~淸代)-자본사회(근로자)-공산사회(공동)
3. 前近代의 의미-고루한, 남성중심의......
* 5월8일 어버이날
한국은 5월8일을 어버이날로 지정되어 있고, 중국과 대만은 5월2째 일요일을 어머니날로 정하게 된 것은 미국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어머니날은 미국의 Anna Jarvis(1864-1948)의 노력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현재 중국에서는 孟子의 탄생일인 음력 4월2일을 母親節로 하자는 논의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Ⅴ. 結 論
《論語》〈爲政〉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고전-과거를 통해서 현실과 역사에 대한 성찰과 비판의식을 함양, 미래 행복추구
1) 자신에게는-修己-개인의 욕망을 넘어서는 행위적 실천
2) 세상에게는-治人-우리를 넘어서 평화로운 공동체 건설
3) 방법-공부-텍스트를 파고드는 방법으로 스스로 힘들게 읽고 비판하고 성찰
(예1)한문을 배워서 중국 고전 작품을 읽고 깨우치는 희열을 느껴야
(예2)1929,시키고대학(노벨상수상자 80명) 총장, 로버트 허친스,「시카고플랜」
󰡒인문학 고전 100권을 외울 정도로 읽지 않은 학생은 졸업시키지 않는다󰡓
4) 지양
(1) 타자가 쉽게 요약해서 엔터테이너식으로 즐겁게 전달하는 방식 NO
(2) 고전의 외피를 쓴 힐링, 자기계발 등등 NO
(3)《논어》를 직접 읽지 않고 영화 「공자」를 즐기는 방식 NO
5) 맺음-스스로 힘들게 깨우쳐서(지적 고통을 수반해서) 모두가 평화롭고 정신적인 행복감을 누리는 사회 (정신적으로는 최상류층으로 살아야) , All for All.
 
* 리더의 5가지 미덕과 4가지 악덕
《論語》〈堯曰〉󰡒寬則得衆,信則民任焉。敏則有功,公則說。......子張曰:何謂五美?子曰:君子惠而不費;勞而不怨;欲而不貪;泰而不驕;威而不猛。.....何謂四惡?子曰:不教而殺謂之虐;不戒視成謂之暴;慢令致期謂之賊;猶之與人也,出納之吝,謂之有司。󰡓
* 술, 담배, 여색에 관한 중국 지도자의 수명
술× 담배× 林彪는 63세에 사망
술○ 담배× 周恩來는 73세에 사망
술× 담배○ 毛澤東은 83세에 사망
술○ 담배○ 鄧小平은 93세에 사망
술○ 담배○ 여색○ 張學良은 103세에 사망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41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41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1월 25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40회 보충설명

6. 今-갑골문, 원래는 머리를 수그리고 중얼거리다 ;《說文解字》󰡒今,是時也󰡓;《孟子》〈梁惠王下〉󰡒今之樂,猶古之樂也󰡓;《戰國策》〈燕策〉󰡒今行而無信,則秦未可親也󰡓;《史記》〈項羽本紀〉󰡒奪項王天下者,必沛公也,吾屬今爲之虜矣!󰡓
7. 我-갑골문, 원래는 손에 큰 도끼를 들고 소리 지름 ;《說文解字》󰡒我,施身自謂也。或說我,頃頓也󰡓;《詩經》〈小雅〉󰡒昔我往矣,楊柳依依;今我來思,雨雪霏 霏󰡓;《孟子》〈盡心上〉󰡒萬物皆備於我矣。反身而誠,樂莫大焉。强恕而行, 求仁莫近焉。”+
8. 未-갑골문, 원래는 여름철에 잎은 무성하지만 열매는 맺지 않음, 또는 나무의 윗부분 ; 《說文解字》󰡒末,木上曰末󰡓; 끝부분,《孟子》〈梁惠王上〉󰡒明足以察秋毫之末, 而不見輿薪,則王許之乎?󰡓; 뾰족한,《史記》〈平原君虞卿列傳〉󰡒夫賢士之處世也, 譬若(比如)錐之處囊中,其末立見(立刻出現)󰡓; 錐處囊中(囊中之錐), 毛遂自薦 ; 말기,《禮記》〈中庸〉󰡒武王末受命󰡓
9. 定-갑골문, 원래는 전쟁이 끝나고 편안히 보냄 ; 《說文解字》󰡒定,安也󰡓; 편안히 거주 or 이불 깔개 or 주무시는 보고 가서 자신이 자는 것,《禮記》〈曲禮〉󰡒凡爲人子之禮,冬温而夏凊,昏定而晨省󰡓; 안정,《史記》〈留侯世家〉󰡒天下屬安定,何故反乎?󰡓; 毛澤東.󰡒革命無罪,造反有理󰡓
10. 保-갑골문, 원래는 애기를 업고 있는 ;《說文解字》󰡒保,養也󰡓; 유아를 보육하는 여자,《禮記》〈内則〉󰡒國君世子生,…保受,乃負之󰡓;《孟子》〈藤文公上〉󰡒儒者之道,古之人若保赤子󰡓; 애기 싸는 포대기,《後漢書》〈桓郁傳〉󰡒昔成王幼小,越在襁保󰡓; 상점에서 일하는 하인(남자 하인은 酒保, 여성은 酒母 ? ) ; 작은 성,《莊子》〈盗跖〉󰡒所過之邑(城市),大國守城,小國入保 ; 보물,《史記》〈周本紀〉󰡒展九鼎保玉󰡓; 보증하다,《獄中雜記》󰡒然後導以取保󰡓
11. 何-갑골문, 원래는 관문을 지키는 병졸이 창을 어깨에 매고 통과하는 행인에게 물어보는 것 ;《說文解字》󰡒何,儋也󰡓;《過秦論》󰡒信臣精卒陳利兵而誰何󰡓; 어찌,《論語》〈述而〉“默而識之,學而不厭,誨人不倦, 何有於我哉󰡓;《孟子》〈萬章下〉󰡒何事非君,何使非民󰡓;《史記》〈項羽本紀〉󰡒今日之事何如󰡓
12. 暇-갑골문, 원래는 빌려온 시간 ;《說文解字》󰡒暇,閑也󰡓;《韓非子》〈外儲說右下〉󰡒救亡不暇,安得王哉󰡓;《書經》〈無逸〉󰡒不敢自暇自逸󰡓

2016년 11월 4일 금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40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40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1월 18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9회 보충설명


*《論語》〈述而〉󰡒三人行, 必有我師焉。擇其善者而從之,其不善者而改之󰡓
(주석)三-3, 多 ; 行-동행 ; 師-效法(스승으로 본받을 만한) ; 善者-좋은 방면에서 모방할 만한 것이 있는 사람 ; 不善者-나쁜 방면에서 모방할 만한 것이 있는 사람 ; 從-타인에게 虛心好學 ; 改-스스로 自己反省
(결론) 사람들은 자신의 좋은 점만 찾고, 타인의 나쁜 점만 부각시키려고 함. 공자는 자신의 나쁜 점을 찾아서 수양하고, 타인의 좋은 점을 찾아서 배우려고 함.
*《論語》〈子路〉󰡒人而無恒,不可以作巫醫󰡓
(주석)恒-오랫동안 덕행을 유지하다, 德行을 수양하다 ; 作-하다, 담당하다 ; 巫醫-a.점을 쳐서 병을 치료하는 사람(안 맞으면 치욕을 당함) ; b.혹은 巫師와 醫師로 구분하기도 함(신석기시대巫-청동기시대 초기巫醫-청동기시대 후기巫와 醫로 세분됨) ; c.달리 하늘의 뜻과 醫藥에 대한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배우기 어려운 직업 d.또는 아주 천한 직업 ; 어쨌든 안 맞으면 신의 뜻에 어긋나거나(天意) 사람이 죽거나(生命) 하는 등 심각한 상태를 가져오거나 배우기 힘들고 천한 직업으로.
(결론) 《易经》〈恒卦〉󰡒不恒其德, 或承之羞󰡓, 성인의 天意와 生命에 대한 존중 ; 현재도 군자처럼 수양이 된 사람은 자신을 믿고 점을 치지 않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다른 것에 의지하고 점을 친다.
1. 顯-금문, 원래는 실로 보석 등 빛을 내는 물건을 묶어서 머리에 걸음 ; 《說文解字》󰡒顯,頭明飾也󰡓; 드러내다,《韓非子》〈難三〉󰡒故法莫如顯,而術不欲見󰡓; 나타나다, 柳宗元《永州八記》󰡒嘉木立,美竹露,奇石顯󰡓; 모두 아는,《史記》〈孫子吳起列傳〉󰡒孫臏以此名顯天下󰡓;《韓非子》󰡒所說陰爲厚利而顯爲名高者也󰡓
2. 亦-갑골문, 원래는 사람의 양쪽 겨드랑이 ; 《說文解字》󰡒亦,人之臂亦也󰡓; 또,《左傳》文公七年󰡒先君何罪?其嗣亦何罪󰡓
3. 賓-갑골문, 원래는 환대받는 손님 ;《說文解字》󰡒賓,所敬也󰡓;《禮記》〈鄕飮酒義〉󰡒賓者,接人以義者也󰡓;《周禮》〈司儀〉󰡒諸侯、諸伯、諸子、諸男之相爲賓也。諸公之臣相爲國客,是散文賓客通稱,對稱則賓尊而客卑,賓大而客小󰡓;《荀子》〈禮論〉󰡒賓出,主人拜送󰡓
4. 滅-金文, 隸書, 원래는 전란과 화재, 홍수 등으로 촌락과 사람이 전멸하는 것 ;《說文解字》󰡒滅,盡也󰡓;《周禮》〈夏官〉󰡒大司馬之職,掌建邦國之九法,以佐王平邦国……外内亂,鳥獸行,則滅之󰡓;《呂氏春秋》〈愛類〉󰡒昔上古龍門未開,呂梁未發,河出孟門,大溢逆流,無有丘陵沃衍、平原高阜,盡皆滅之,名曰鴻水󰡓;
5. 至-갑골문, 원래는 집으로 돌아와 누워 휴식하는 or 화살이나 새가 땅에 떨어지는 모양 ; 到의 본래 자, 交의 거꾸로 된 모양 ;《說文解字》󰡒至,鳥飛從高下至地也󰡓;《荀子》〈勸學〉󰡒故不積跬(반걸음 규)步, 無以至千里󰡓:《論語》〈微子〉󰡒至則行矣󰡓《老子》〈小國寡民〉󰡒民至老死不相往來󰡓;《史記》〈李將軍列傳〉󰡒孝武帝時,至代相󰡓; 가장,《荀子》〈正論〉󰡒罪至重而罰至輕,庸人不知惡矣󰡓

2016년 10월 30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9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9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1월 4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8회 보충설명

8. 夫-갑골문, 원래는 서있는 사람 모양 or 성년 남자가 머리를 묶어 고정시킴 ; 남편,《說文解字》󰡒夫,丈夫也......周制以八寸为尺,十尺爲丈,人長八尺,故曰丈夫󰡓 ;《穀梁傳》文公十二年 “男子二十而冠,冠而列丈夫” ;《管子》〈地數〉“凡食鹽之數,一月:丈夫五升少半,婦人三升少半,嬰兒二升少半󰡓; 그(이것), 《論語》〈先進〉󰡒季路問事鬼神。子曰:未能事人,焉能事鬼? 敢問死? 曰:未知生,焉知死?閔子侍側,誾誾如也;子路,行行如也;冉有、子貢,侃侃如也。子樂。若由也,不得其死然。鲁人爲長府。閔子蹇曰:仍舊貫,如之何?何必改作!子曰夫人不言,言必有中󰡓; 무릇,《史記》〈項羽本紀〉󰡒夫秦有虎狼之心󰡓
 
* 服(從)-갑골문, 손으로 다른 사람의 머리를 눌러서 책상에 앉아있게 하는 것
* 下野
원래는 야외 또는 시골로 가다(野)
점차적으로 관직을 사퇴하고 물러나는 것
현재는 국가지도자가 물러나는 것을 의미한다.
鲁迅 《而已集》〈擬豫言〉“有在朝者數人下野;有在野者多人下坑(방에 들어가 칩거)
* 義士
1. 고상한 도덕, 절조를 가진 자. 혹은 무사 풍도를 가진 자(high-minded man)∶
《左傳》桓公二年 “武王克商,遷九鼎於雒邑,義士憂或非之󰡓
劉向《烈女傳》〈楚接與妻〉“義士非禮不動,不爲貧而易操,不爲賤而改行。”
2.정의, 공명정대함을 지지하고 유지하려고 하는 자(person who upholds justice ; righteous man)
《戰國策》〈趙策一〉“趙襄子曰..彼義士也,吾謹避之耳”
3. 고대에 비석을 새기는데 돈을 내서 도와주는 사람
* 烈士
고대에는 절조와 웅장한 포부를 가진 자 ; 근대이후는 정의, 민족, 국가를 위하여 장열하게 희생한 자
《韓非子》〈詭使〉“而好名義(名聲)不仕進者,世謂之烈士
* 한국에서 의사와 열사의 명칭 부여 기준은?
의사-나라와 민족을 위하여 제 몸을 바쳐 일하려는 의로운 뜻을 가진 자 ; 국가보훈처-무력으로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안중근, 윤봉길, 이봉창...)
열사-나라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 사람 ; 국가보훈처-맨 몸으로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낸 사람(유관순, 이준...)
殉國烈士에 대한 묵념 ; 忠烈祠(상주, 임진왜란 희생)? ; 시민단체의 열사?
* 義人
언행이 정의 혹은 도덕표준에 부합하는 자
《墨子》〈非命上〉“義人在上,天下必治”
《史記》〈伯夷列傳〉“(武王)東伐紂,伯夷、叔弟叩馬而諫……左右欲兵之。太公 曰:此義人也。

 

2016년 10월 23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8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8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0월 28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7회 보충설명


3. 民-갑골문, 날카로운 무기로 전쟁 포로의 눈을 찌르는 것 ;《說文解字》󰡒民,衆萌也󰡓; 백성,《孟子》〈盡心下〉󰡒民爲貴,社稷次之,君爲輕。是故得乎丘民而爲天子, 得乎天子爲諸侯, 得乎諸侯爲大夫. 諸侯危社稷, 則變置。犠牲既成, 粢盛既絜, 祭祀以時, 然而旱乾水溢, 則變置社稷。󰡓;《史記》〈項羽本紀〉󰡒吾入關,秋毫不敢有所近,籍吏民,封府庫,而待將軍󰡓;《淮南子》〈主術訓〉󰡒食者,民之本也;民者,國之本也;國者,君之本也󰡓
4. 三-갑골문, 원래는 만물을 생기게 하는 천지인 ;《說文解字》󰡒三,天地人之道也󰡓;《老子》󰡒道生一, 一生二,二生三,三生萬物󰡓;《論語》〈爲政〉󰡒吾十有五而志于學,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逾矩󰡓;
*《道德經》,《德道經》,《道德真經》、《老子》、《五千言》、《老子五千文》;《漢書》〈東方朔傳〉󰡒年十三學書,三冬,文史足用󰡓; 여러번,《史記》〈屈原賈生列傳〉󰡒一篇之中三致志焉󰡓
5. 百-갑골문, 원래는 말을 다 못하다 ; 《說文解字》󰡒百,十十也󰡓; 무수한,《詩經》〈大雅〉󰡒千祿百福󰡓
6. 六-갑골문, 원래는 사방에 벽이 있는 집 ;《說文解字》󰡒六,《易》之數,陰變於六,正於八󰡓;《莊子》〈齊物論〉󰡒六合之外,聖人存而不論󰡓;《管子》〈五行〉󰡒人道以六制󰡓; 韓愈《師說》󰡒六藝經典皆通習之󰡓
7. 十-갑골문, 원래는 묶어서 뜻을 나타내는 줄(끈) ; 《說文解字》󰡒十,數之具也。一爲東西,丨爲南北,則四方中央備矣󰡓;《抱朴子》〈用刑〉󰡒天下欲反,十室九空󰡓; 陸游《子律至湖上待其歸》󰡒十風五雨歲則熟,左餐右粥身其康󰡓

2016년 10월 16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7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7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0월 21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6회 보충설명


3. 在-갑골문, 원래는 집과 땅이 있어서 정착생활을 함 ;《說文解字》󰡒在,存也《󰡓説 。—《書經》〈堯典〉󰡒朕在位七十載󰡓 ;《淮南子》〈原道〉󰡒則無所不在󰡓;《论语》〈里仁〉󰡒父母在,不遠游󰡓
4. 牧-갑골문, 원래는 손에 작대기를 들고 소(양)를 방목함 ;《說文解字》󰡒牧,養牛人也󰡓;《周禮》〈牧人〉󰡒掌牧六牲(소, 말, 돼지, 양, 개, 닭)󰡓;《左傳》昭公七 年󰡒馬有圉,牛有牧󰡓;《爾雅》〈釋地〉“郊外謂之牧󰡓; 도읍에서 100리 떨어진 곳, 또는 성 밖,《周禮》〈載師〉󰡒五十里爲近郊。百里爲遠郊󰡓; 또는 󰡒王國百里爲郊”
5. 蜚-원래는 날아다니는 해충 ;《說文解字》󰡒蜚,臭蟲,負蠜也󰡓;《左傳》莊公二十九年,󰡒秋,有蜚,爲災也󰡓;《史記》〈楚世家〉󰡒三年不蜚,蜚將衝天󰡓;《漢書》〈王莽傳下〉󰡒夏,蝗從東方來,蜚蔽天󰡓
6. 鴻-갑골문, 원래는 큰 기러기 ;《說文解字》󰡒鴻,鴻鵠也󰡓;《史記》〈陳涉世家〉󰡒燕雀安知鴻鵠之志哉󰡓; 거대한,《淮南子》〈鴻烈序〉󰡒鴻,大也󰡓; 소식, 편지. 鴻信, 來鴻
7. 滿-원래는 그릇 내에 액체가 가득 차있는 것 ;《說文解字》󰡒滿,盈溢也󰡓; 가득하다,《書經》〈大禹謨〉󰡒滿招損,謙受益󰡓; 李白《與韓荊州書》󰡒雖長不滿七尺,而心雄萬夫󰡓
8. 野-갑골문, 원래는 경작지와 산림 사이의 과도지역 ;《說文解字》󰡒野,郊外也; 邑外謂之郊,郊外謂之野󰡓;《樂府詩集》󰡒天蒼蒼,野茫茫󰡓; 제멋대로,《左傳》宣公四年󰡒狼子野心󰡓; 민간, 朝野
9. 有-갑골문, 원래는 손에 고기를 쥐고 있는 것 ;《說文解字》󰡒有,不宜有也󰡓 ;《書經》〈說命中〉󰡒有備無患󰡓;《老子》󰡒天下萬物生於有,有生於無󰡓
10. 成-갑골문, 원래는 무력으로 정복하여 한 지역의 우두머리가 됨 ;《說文解字》󰡒成,就也󰡓; 화해(講和),《戰國策》〈趙策〉󰡒皆欲割諸侯之地以與秦成󰡓; 실현되다,《史記》〈平原君虞卿列傳〉󰡒公等錄錄,所謂因人成事者也󰡓; 성공, 諸葛亮《後出師表》󰡒至於成敗利鈍,非臣之明所能逆睹也󰡓
11. 建-금문, 원래는 산 절벽을 담장 삼아 집을 짓는 것 ;《說文解字》󰡒建,立朝律也󰡓;《玉篇》〈廴(인)部〉󰡒建,竪立也󰡓;《逸周書》〈作雒〉󰡒乃建大社於國中󰡓 ;《史記》〈淮陰侯列傳〉󰡒足下自以爲善漢王,欲建萬世之業,臣竊以爲誤矣󰡓
* 고대의 인재등용법
1. 有德有才-喜-才人-破格重用
2. 有德無才-惜-庸人-訓練任用
3. 無德有才-忍-小人-制限使用
4. 無德無才-怕-廢人-終年不用
* 조직원의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리더십 사용
1. 능력-好, 동기부여-好---위임형
2. 능력-好, 동기부여-不---지원형
3. 능력-不, 동기부여-好---코치형
4. 능력-不, 동기부여-불---지시형
* 베트남 장군 보응 우엔잡(2010년에 100살, 프랑스, 미국, 중국과의 전쟁을 승리)
3不 전략
1) 적들이 원하는 시간에 싸우지 않고
2) 적들이 싸우고 싶어 하는 장소에서 싸우지 않고
3) 적들이 생각하지 못한 방법으로 싸운다
1. 登-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음식이 가득 담긴 그릇을 들고 신령에게 바치는 것 ;《說文解字》󰡒登,上車也󰡓; 오르다, 《禮記》〈玉藻〉󰡒登席不由前󰡓; 수확,《孟子》〈滕文公〉󰡒五穀不登,禽獸逼人󰡓; 기록,《周禮》〈司民〉󰡒掌登萬民之數󰡓
2. 名-갑골문, 원래는 해가 저물어 어두워지자 부모가 아이를 부르는 것 ;《說文解字》󰡒名,自命也。從口,從夕。夕者,冥也。冥不相見,故以口自名󰡓;《禮記》〈内則〉󰡒父執子之右手,咳而名之 ; 일컫다,《正字通》〈日部〉󰡒春,唐人名酒爲春󰡓; 五粮春 ; 칭호,《周書》〈諡法〉󰡒大行受大名,細行受細名󰡓; 명성(유명한),《史記》〈滑稽列傳〉󰡒故西門豹爲鄴令,名聞天下󰡓;《封禪書》引〈周官〉󰡒天子祭天下名山大川, 五岳視三公, 四瀆視諸侯, 諸侯祭其疆内名山大川。四瀆者, 江、河、淮、濟也。天子曰明堂、辟雍, 諸侯曰泮宮。󰡓

2016년 10월 8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6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6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0월 14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문예춘추 제43회 신인문학상 수상 / 시인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5회 보충설명

* 選擧-《禮記》〈禮運〉“大道之行也,天下爲公,選賢與(擧)能,講信修睦”
選賢任能
* 어려움에 처해야 위대한 업적이 나온다.
《史記》〈報任安書〉
“蓋文王拘而演《周易》 ; 仲尼厄而做《春秋》 ; 屈原放逐,乃賦《離騷》 ; 左丘失明,厥有《國語》 ; 孫子臏脚,《兵法》修列 ; 不韋遷蜀,世傳《呂覽》 ; 韓非囚秦,《說難》、《孤憤》 ; 《詩》三百篇,大抵聖賢發憤之所爲作也。”
 
1. 糜-원래는 죽(粥)을 의미 ; 《釋名》〈釋飮食〉󰡒糜,煮米使糜爛也󰡓 ; 분쇄하다, 《至言》󰡒萬鈞之所壓,無不糜滅者󰡓 ; 소비하다
2. 鹿-갑골문, 원래는 사슴 ; 《說文解字》󰡒鹿,山獸也󰡓; 사슴,《淮南子》“逐鹿者不見山,攫(확)金者不見人” ; 정권을 비유,《史記》〈淮陰侯列傳》󰡒秦失其鹿, 天下共逐之󰡓 ; 《晉書》〈石勒載記下〉󰡒脫遇光武,當并驅於中原,未知鹿死誰手󰡓 ; 방형 양식창고,《國語》〈吳語〉󰡒市無赤米, 而囷鹿空虛󰡓

2016년 10월 1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5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5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10월 7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4회 보충설명

10. 末-갑골문, 원래는 여름철에 잎은 무성하지만 열매는 맺지 않음, 또는 나무의 윗부분 ; 《說文解字》󰡒末,木上曰末󰡓; 끝부분,《孟子》〈梁惠王上〉󰡒明足以察秋毫之末, 而不見輿薪,則王許之乎?󰡓; 뾰족한,《史記》〈平原君虞卿列傳〉󰡒夫賢士之處世也, 譬若(比如)錐之處囊中,其末立見(立刻出現)󰡓; 錐處囊中(囊中之錐), 毛遂自薦 ; 말기,《禮記》〈中庸〉󰡒武王末受命󰡓
11. 生-갑골문, 원래는 초목이 땅위로 자라남 ;《易義》󰡒自無出有曰生󰡓 ;《孫子兵法》〈九地〉󰡒陷之死地而後生󰡓;《論語》〈顔淵〉󰡒愛之欲其生, 惡之欲其死󰡓;《孟子》〈告子下〉󰡒然後知生于憂患, 而死于安樂也󰡓
12. 今-갑골문, 원래는 머리를 수구리고 중얼거림 ; 《說文解字》󰡒今,是時也󰡓 ;《孟子》〈梁惠王下〉󰡒今之樂,猶古之樂也󰡓;《史記》〈項羽本紀〉󰡒奪項王天下者,必沛公也,吾属今爲之虜矣󰡓; 此,這
13. 六-갑골문, 원래는 사방에 벽이 있는 집 ;《說文解字》󰡒六,《易》之數,陰變於六,正於八󰡓;《莊子》〈齊物論〉󰡒六合之外,聖人存而不論󰡓;《管子》〈五行〉󰡒人道以六制󰡓
14. 十-갑골문, 원래는 가득 찬 숫자 ;《說文解字》󰡒十,數之具也。一爲東西,丨爲南北,則四方中央備矣。凡十之屬皆从十。󰡓
* 중국인의 숫자관념 ; 上-6(六六大順), 9(天長地久) ; 中-8(發財, 18은 要發, 아파 트 18층은 18層地獄), 0(圓滿), 2(好事成雙) ; 下-1(要), 5(我), 7(吃) ; 下下-3(升 과 傷, 13과 13층), 4(四喜臨門-死, 핸드폰번호 싸다 ; 4, 14, 34, 44층...)
15. 年-갑골문, 원래는 수확한 곡식을 집으로 옮겨가는 것 ; 《說文解字》󰡒年(秊),穀孰也󰡓; 거둔 것을 축하하는 날,《穀梁传》桓公三年󰡒五穀皆熟爲有年也󰡓

2016년 9월 25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4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4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9월 30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3회 보충설명

6. 響-원래는 손님이 겸손의 말로 주인의 초대에 감사의 뜻을 나타냄 ;《說文解字》󰡒響,聲也󰡓
7. 殷-갑골문, 원래는 귀족이 임신한 부인을 위해서 음악을 연주하게 하여 태아를즐겁게 함 ; 부유, 간절, 검 붉은색 ; 풍성,《說文解字》󰡒殷,作樂之盛稱殷󰡓按..󰡒殷者, 舞之容, 殳(수)者, 舞之器󰡓; 크다,《廣雅》󰡒殷,大也,衆也󰡓; 많다,《三國志》〈諸葛亮傳〉󰡒民殷國富󰡓; 제사 종류, 殷際(풍성한 제사)
* 胎敎-《史記》〈周本紀〉“(太妊-周文王母)及其妊娠,目不視惡色,耳不聽淫聲,口不出傲言󰡓; 胎母筆 ;《說文解字》󰡒胎, 婦孕三月也󰡓
8. 自-갑골문, 원래는 코를 나타냄(鼻) ; 《說文解字》󰡒鼻也󰡓 ; 자신,《孟子》󰡒人必自 侮,然後人侮之󰡓; 시작, 근원, 근본,《韓非子》〈心度〉󰡒故法者,王之本也;刑者,愛之自也󰡓; ~로부터,《廣雅》󰡒自,從也󰡓; 필연적으로,《荀子》〈勸學〉󰡒神明自得󰡓
9. 發-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표창을 들고 야수나 적을 향하여 던짐 or 사람 혹은 동물 머리위의 긴 털 ; 髮이 본래 글자 ; 쏘다,《史記》〈李將軍列傳〉󰡒其射,見敵急,非在數十步之内,度不中不發,發即應弦而倒󰡓; 歐陽修《歸田錄》󰡒見其發矢十中八九󰡓; 출발,《史記》〈孫子吳起列傳〉󰡒暮見火而俱發󰡓; 선포하다,《孟子》〈梁惠王上〉󰡒今王發政施仁, 使天下仕者皆立於王之朝󰡓; 두발,《蘇武古詩》󰡒結髮成夫妻󰡓(注)“結髮始成人也。謂男年二十, 女年十五, 時取笄冠爲義也” ; 전하다,《史記》〈廉頗藺相如列傳〉󰡒使人發書於趙王󰡓

2016년 9월 10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 아카데미 제133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3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9월 23일(금) 오후 7시~9시
               9월16일은 추석 연휴로 휴강합니다.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2회 보충설명

* 석전제(釋奠祭)
고대에 학교에 술과 음식을 차려놓고 성인이나 스승에게 제사지내는 일종의 의례.《禮記》〈王制〉“出征執有罪,反釋奠於學,以訊馘(얼굴 괵)告。” ;《禮記》〈文王世子〉“凡學,春官釋奠於其先師,秋冬亦如之。凡始立學者,必釋奠於先聖先師。” 鄭玄 注 “釋奠者,設薦饌酌奠而已。” ;《北史》〈太祖文帝紀〉“二月丁巳,帝幸路門學,行釋奠禮。” ; 宋 歐陽修 《大理寺丞狄公墓志銘》“乃修孔子廟,作禮器,與其邑人春秋釋奠而興於學。”
1. 曷-何, 何不, 何時(“悠悠蒼天,曷其有所?”), 怎麽, 爲什麽
2. 王-갑골문, 전쟁에서 사용하는 가장 큰 도끼 ; 《說文解字》󰡒王,天下所歸往也󰡓(董仲舒曰..古之造文者,三畫而連其中謂之王。三者,天、地、人也,而參通之者王也。또 孔子曰..一貫三爲王);《六書故》󰡒王,有天下曰王。帝與王一也。周衰,列國皆僭號自王。秦有天下,遂自尊爲皇帝。漢有天下,因秦制稱帝,封同姓爲王,名始亂矣󰡓;《詩經》〈小雅〉󰡒溥(普)天之下,莫非王土, 率土之濱 莫非王臣󰡓; 통치하다,《商君書》󰡒周不法商,夏不法虞,三代異勢,而皆可以王󰡓
3. 告-갑골문, 원래는 소를 바치고 기도하는 것 ;《呂氏春秋》〈贊能〉󰡒敢以告于先君󰡓;《列子》〈楊朱〉󰡒不告而娶󰡓; 諸葛亮《出師表》󰡒不效則治臣之罪,以告先帝之靈󰡓;《史記》〈項羽本紀〉󰡒項伯乃夜馳之沛公軍,私見張良,具告以事󰡓;《禮記》󰡒夫爲人子者,出必告,反必面󰡓
4. 女-너, 당신 , 汝 , 你(您) , 爾 , 若 ; 나-我 , 吾 , 予 , 余 , 己 ; 3인칭-他 , 它 , 她너의 섬-汝矣島, 당신이 가 있는 섬-爾於島--離於島(波浪島, 蘇岩礁)
5. 天-갑골문, 원래는 사람 머리위의 하늘 ;《說文解字》󰡒天,至高無上󰡓; 하늘, 王勃《送杜少府之任蜀州》󰡒海内存知己,天涯(海角)若比鄰󰡓; 白居易《長恨歌》󰡒天長地久有時盡,此恨綿綿無絶期󰡓; 절대자,《孟子》〈告子下〉󰡒天將降大任󰡓;《史記》〈項羽本紀〉󰡒此天之亡我,非戰之罪也󰡓;《史記》〈酈生陸賈列傳〉󰡒王者以民人爲天,而民人以食爲天󰡓; 날씨, 王羲之《蘭亭集序》󰡒是日也,天朗氣淸,惠風和暢󰡓;《爾雅》〈釋天〉󰡒春爲蒼天,夏爲昊天󰡓
* 天長地久-감정, 우의 등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음(《老子》7장 “天長地久,天地所以能長且久者,以其不自生,故能長生󰡓; 天地長久-嵇康《四言赠兄秀才入軍詩》“人生壽促,天地長久󰡓; 天長日久
6. 響-원래는 손님이 겸손의 말로 주인의 초대에 감사의 뜻을 나타냄 ;《說文解字》󰡒響,聲也󰡓

2016년 9월 3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2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2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9월 9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31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1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9월 2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 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2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31회 보충설명


제131강, 2016, 9월, 2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의 『이모작 열린학교』 2학기 개강에 즈음하여)
Ⅰ. 緖 言
* 인사말(남서울대 김영환교수 소개)
* 동양고전아카데미 소개
(설립이념)
첫째, 고전을 통한 현재의 제문제 인식과 해결에 도움이 되는 유능한 젊은이
둘째, 삶의 숙명적인 문제로부터 모두가 자유롭고 평안해지는 훌륭한 어르신
셋째, 즐거움을 모두가 같이 누리는 󰡒여민동락(與民同樂)󰡓의 공동체 구성원
2013년 4월 19일부터 시작함. 중국 고전의 종합판 《史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옛사람의 응축된 지혜를 터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련 고전과 주변학문 및 사례를 이용하여 집중적으로 학습합니다.
Ⅱ. 강의 목적과 목표
1. 강의 목적
젊은이의 인생을 변화시키고, 어르신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며, 모두가 행복한 공동체 구성
2. 강의 목표
1) 사마천의 《사기》와 기타 관련된 동양고전을 교재로
2) 현재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3)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인간다운 품성을 함양하게 함
4) 20년 이상 장기간 학습을 목표로 함.
Ⅲ. 《史記》중요내용
1.《史記》의 중요성 (書院과 皇室敎育)
* 중국 書院에서 배우는 科擧 시험 준비 과목(明淸 시대 기준)
a.초급(發蒙)
《蒙求》,《三字經》,《百家姓》,《神童詩》,《千家詩》,《幼學琼林》,《弟子規》
b.중급(童生, 儒童-秀才(生員)자격을 얻기 이전)
《大學》,《中庸》,《論語》,《孟子》,《文心雕龍》,《字貫》,《古文觀止》
c.고급(秀才(生員)-府, 州, 縣의 학생)
《詩經》,《書經》,《易經》,《禮記》,《春秋》,《孝經》,《老子》,《莊子》,《墨子》,《孫子兵法》등 諸子百家
d.실전(擧人-鄕試 합격자)
《心經》,《金剛經》,《壇經》,《資治通鑑》, 二十四史-《史記》
* 중국 역대 皇室의 皇太子 교육과정
a.초급-《急就篇》《千字文》《千家詩》《百家姓》
b.중급-《孝經》《論語》《中庸》《大學》《孟子》
c.고급-《詩經》《書經》《易經》《春秋》
d.실전-《資治通鑑》《史記》
2.《史記》요약
1)고전을 학습할 때에 꼭 읽어야 할 책, 3천년 역사(신석기 후기의 五帝부터 漢나라 武帝까지)를 다루고, 52만 6500자와 130권의 분량과 난해한 글자 및 대체글자, 고사성어 600개와 명언 600개의 원천, 1000개 직업인과 셀 수 없는 인물의 등장. 가치 있는 삶, 절대긍정, 출신성분을 따지지 않는 개혁 강조와 好學深思의 태도.
2)저술 동기는 첫째, 아버지 司馬談의 유지를 계승하였다. 둘째, 사마천은 《춘추》의 褒貶 정신을 계승하였다. 셋째, 사마천은 역사가의 책임을 완수하였다. 즉〈報任安書〉에󰡒究天人之際, 通古今之變, 成一家之言󰡓(우주만물의 자연적 현상과 인류사회의 규율적 질서 사이의 모든 관계를 탐구하고, 과거와 현재 및 미래의 무수한 변화과정을 깨우치고 통달해서, 자신의 독립적이고 완벽한 이론과 저술체계를 이룩한다.)
3)저술 태도는 첫째, 엄격한 고증을 통한 객관적인 사실을 기록하였다. 둘째, 인물을 묘사할 때에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처리하였다. 셋째, 인물에 대한 공과득실 등 평가를 분명히 하였다.
4)저술 체제는 紀傳體의 방법으로 서술하였다. 즉 역대 제왕의 중요 사적을 기록한 〈本紀〉 12편, 왕후장상(王侯將相) 및 걸출한 인물의 전기를 기록한〈世家〉 30편, 각계각층 인물의 전기를 기록한〈列傳〉70편, 천문 역법 등 방면의 제도를 기록한〈書〉 8편,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한 대사건 연표를 기록한〈表〉 10편으로 되어있다. 한국과 관련된 내용도 중요(고조선열전) ......
5)사마천의 《사기》가 후세에 알려지게 된 것은 사마천의 딸과 사위 大司農 양창(楊敞) 및 그들의 아들 양운(楊惲)의 공로이다. 사마천 생전에 《사기》는 금지된 서적이었는데, 양운의 적극적인 선전과 노력으로 宣帝 시기에 조정에 바쳐졌고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 變(無常)《周易》〈繫辭下〉󰡒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Ⅳ.《史記》학습과정
1. 甲骨文에서《說文解字》까지 글자 변화를 학습
2. 글자의 여러 가지 意味와 用例를 학습
3. 관련된 다양한 고전을 본문과 함께 학습
4. 故事成語의 유래와 관련내용을 상세히 학습
5. 博古通今의 능력을 배양하는 학습
6.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학습
7. 중국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항을 학습
(1~7과 관련된 사례)
* 封-갑골문, 원래는 하사받은 토지 주위에 초목을 심어서 토지의 경계를 나타냄 or 흙을 모으다 ; 《說文解字》󰡒封,爵諸侯之土也...... 公侯,百里;伯,七十里;子男,五十里󰡓; 강계,《左傳》僖公三十年󰡒旣東封鄭,又欲肆其西封󰡓;《孟子》〈公孫丑下〉󰡒故曰,域民不以封疆之界, 固國不以山溪之險, 威天下不以兵革之利。得道者多助, 失道者寡助。寡助之至, 親戚畔之。多助之至, 天下順之。以天下之所順, 攻親戚之所畔, 故君子有不戰, 戰必勝矣。󰡓; 영토,《荀子》󰡒土地之大,封內千里󰡓; 땅을 돋은 경계,《史記》〈商君書〉󰡒開阡陌封疆󰡓; 밀봉,《史記》〈項羽本紀〉󰡒吾入關,秋毫不敢有所近, 籍吏民,封府庫,而待將軍󰡓; 제후에게 땅을 분배, 《史記》〈貨殖列傳序〉󰡒故太公望封於營丘󰡓; 상을 내려 임명하다,《史記》〈魏公子列傳〉󰡒安縕王即位,封公子爲信陵君󰡓; 하늘에 제사지내다,󰡒祭天爲封, 祭地爲禪󰡓(참고로 봉선을 행한 황제는 秦 始皇, 漢 武帝, 後漢 光武帝, 唐 高宗과 玄宗, 宋 眞宗이다.) ; 5仙-天地神人鬼 ; 편지 한통, 一封信 ; 높다,󰡒登封泰山󰡓; 고사성어 封侯拜相-작위가 매우 높음을 뜻함
* 부수적 내용 1-勸學文-眞宗, 朱子, 王安石
a.眞宗〈勸學文〉-󰡒富家不用買良田,書中自有千鍾粟。安居不用架高堂,書中自有黃金屋。取妻莫愁無良媒,書中有女顔如玉。出門莫愁無人隨,書中車馬多如簇。男兒欲遂平生志,五經勤向窗前讀。󰡓
b.朱子〈勸學文〉-󰡒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日月逝矣,歲不我延。嗚呼老矣,是誰之愆? ......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未覺池塘春草夢,階前梧葉已秋聲󰡓:(明)范立本-《明心寶鑑》 정리자는 아래내용 삽입
c.王安石〈勸學文〉-󰡒讀書不破費,讀書利萬倍。窗前讀古書,燈下尋書義。貧者因書富,富者因書貴。󰡓
* 부수적 내용 2-封建制度란?
1. 토지를 매개로 한 주종관계-봉건제도
1) 중국)封土(列爵爲封)建國(分土曰建)-군주와 諸侯 ; 제후와 卿,大夫-혈연관계
2) 유럽)Feudalism-영주와 농노-계약관계
3) 일본)지역책임자 다이묘(大名)와 영지인 藩, 그리고 무사 ; 도쿠카와 이에야스 이후 쇼오군(將軍)과 다이묘가 토지와 인민을 지배하고 무사가 존재하는 幕藩체제-유럽과 비슷함.
2.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발전 5단계의 3단계-봉건사회
원시공동체사회(공동생산)-노예제사회(노예)-봉건제사회(농노, 秦代~淸代)-자본제사회(근로자)-공산제사회(공동)
3. 前近代의 의미-고루한, 남성중심의......
* 부수적 내용 3-5월8일 어버이날
한국은 5월8일을 어버이날로 지정되어 있고, 중국과 대만은 5월2째 일요일을 어머니날로 정하게 된 것은 미국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어머니날은 미국의 Anna Jarvis(1864-1948)의 노력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현재 중국에서는 孟子의 탄생일인 음력 4월2일을 母親節로 하자는 논의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Ⅴ. 結 論
《論語》〈爲政〉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고전-과거를 통해서 현실과 역사에 대한 성찰과 비판의식을 함양, 미래 행복추구
1) 자신에게는-修己-개인의 욕망을 넘어서는 행위적 실천
2) 세상에게는-與衆-우리를 넘어서 평화로운 공동체 건설
3) 방법-공부-텍스트를 파고드는 방법으로 스스로 힘들게 읽고 비판하고 성찰
(예1)한문을 배워서 중국 고전 작품을 읽고 깨우치는 희열을 느껴야
(예2)1929,시키고대학(노벨상수상자 80명) 총장, 로버트 허친스,「시카고플랜」
󰡒인문학 고전 100권을 외울 정도로 읽지 않은 학생은 졸업시키지 않는다󰡓
(예3) 세인트존스 대학-4년간 고전 100권, 강의, 시험, 성적 없음, 오직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답을 만드는 힘을 기름
4) 지양
(1) 타자가 쉽게 요약해서 엔터테이너식으로 즐겁게 전달하는 방식 NO
(2) 고전의 외피를 쓴 힐링, 자기계발 등등 NO
(3)《논어》를 직접 읽지 않고 영화 「공자」를 즐기는 방식 NO
5) 맺음-스스로 힘들게 깨우쳐서(지적 고통을 수반해서) 모두가 평화롭고 정신적인 행복감을 누리는 사회 (정신적으로는 최상류층으로 살아야) , All for All.

2016년 7월 20일 수요일

사기 강의 제130회 보충설명


10. 公-갑골문(분배+음식물), 원래는 음식물을 균등하게 나눠줌 ; 金文, 개인 소유를 모두에게 나눠줌 ; 篆書, 《說文解字》󰡒公,平分也󰡓; 八(반대)+厶(개인 私)=公 ;《韓非子》〈五蠹〉󰡒背厶謂之公,或說,分其厶以與人謂公󰡓; 정의로운,《史記》〈屈原賈生列傳〉󰡒讒諂之蔽明也,邪曲之害公也,方正之不容也󰡓; 국가의 업무,《論語》〈雍也〉󰡒有澹台滅明者. 行不由徑,非公事未嘗至於偃(子游名,武城宰)之室也󰡓; 제후국 군주,《左傳》襄公十一年󰡒三分公室,而各有其一󰡓;《公羊傳》󰡒公,爵名,五等之首曰公; 其余大國稱侯; 小國稱伯、子、男󰡓; 자신보다 나이 많은 남자의 존칭,《史記》〈項羽本紀〉󰡒公其怒,不敢獻󰡓; 남편, 老公
11. 旦-갑골문, 원래는 태양이 떠오르는 것 ;《說文解字》󰡒旦,明也󰡓; 밝다,《詩經》〈鄭風〉󰡒女曰..鷄鳴,士曰..昧旦󰡓; 새벽,《史記》〈魏公子列傳〉󰡒吾攻趙,旦暮且下󰡓; 날(日),《戰國策》〈燕策〉󰡒人有賣駿馬者,比三旦立市,人莫之知󰡓; 元旦 ; 전통극의 여자주인공, 花旦- 四大花旦-趙薇、章子怡、周迅、徐靜蕾 ; 四小花旦(2013) Angelababy(楊 潁)、劉詩詩、楊 冪、倪妮
12. 卽-假若(만약) ; 盡管(비록~하더라도) ; 即使(설사~하더라도) ; 則 ; 當 ; 便 ; 就 ; 特 ; 只(단지)
13. 所-원래는 나무를 톱질해서 문을 만드는 것 ; 장소,《荀子》〈王霸〉󰡒不可不爲擇所而後錯之󰡓; 건물의 棟, 班固《西都賦》󰡒離宮别館三十六所󰡓; ~하는 바,《孟子》〈告子上〉󰡒生,亦我所欲也,義,亦我所欲也󰡓
 
 

제130강, 2016, 7월, 15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민중은 개, 돼지-교육부 공무원 발언
《孟子》《盡心下》“民爲貴 社稷次之 君爲輕󰡓;《荀子》〈哀公〉󰡒君者,舟也, 庶人者,水也。水則載舟,水則覆舟󰡓;《論語》〈衛靈公〉󰡒有敎無類󰡓;《史記》〈酈生陸賈列傳〉󰡒王者以民人爲天󰡓

2016년 7월 8일 금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 아카데미 제 130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30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7월 15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지하1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29회 보충설명

* 홍콩의 갑부-李嘉誠(長江實業)-성공한 사람들의 특징
누구와 경쟁할 필요가 없습니다. 어제와 경쟁하십시오. 어제보다 나아지십시오. 어제보다 오늘 조금 더 잘 해보세요. 明天會更好(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 肉斬骨斷-알파고의 작전-자신의 살을 내주고 상대방의 뼈를 자른다 ?
* 無病短命, 一病長壽---《禪門日誦》〈寶王三昧論〉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마라...󰡒一念, 身不求無病,身無病則貪欲易生󰡓
1. 登-갑골문, 손으로 음식이 가득 담긴 그릇을 들고 신령에게 바치는 것 ; 《說文解字》󰡒登,上車也󰡓; 수확,《孟子》〈滕文公〉󰡒五穀不登,禽獸逼人󰡓; 기록,《周禮》〈司民〉󰡒 掌登萬民之數󰡓
2. 豳-고대 지명,현재 陜西省 彬縣 ; 본래 邠
3. 皐- 皋와 동일. 물가의 높은 곳, 岸(江皐) ; 沼澤,湖泊
4. 望-갑골문, 원래는 높은데 올라가서 아래를 바라보는 것 ;《莊子》〈天運〉󰡒望之而不能見也,逐之而不能及也󰡓;《莊子》〈胠篋(거협)〉󰡒鄰邑相望,鷄狗之音相聞󰡓; 희망하다《史記》〈項羽本紀〉󰡒日夜望將軍至,豈敢反乎?󰡓
* 姜太公-姓姜, 氏呂, 名尙, 別名望, 字子牙, 別字牙, 別號飛熊, 封太公(齊나라 시조), 官太師(周나라), 尊師尙父, 俗姜太公, 강태공-한가롭게 낚시하는 사람 : 太公望 (?) ; 병법,《六韜》; 黃石公의《三略》과 구분
* 武經七書-1.周나라 呂望의《六韜》; 2.齊나라 孫武의《孫子》; 3.齊나라 司馬穰苴(사마양저)의《司馬法》; 4.楚나라 吳起의《吳子》; 5.秦나라 尉繚(위료,울요)의 《尉繚子》; 6.漢나라 黃石公의《三略》; 7.唐나라 李靖의《李衛公問對》를 아울러 일컫는 말로, 나중에 宋나라 元豊 연간에 이들 兵書를 武學으로 지정하면서 ‘七書’라고 호칭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5. 商-갑골문, 원래는 둘 이상이 함께 형량을 상의하다 ;《說文解字》󰡒商,從外知内也󰡓; 坐商은 賈(고), 行商은 商 ; 장사《史記》〈貨殖列傳〉󰡒商不出則三寶(糧食, 器物, 財貨)絶󰡓
6. 邑-갑골문, 원래는 약간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성곽 ;《說文解字》󰡒邑,國也󰡓;《爾雅》〈釋地〉󰡒邑外謂之郊󰡓;《六國論》󰡒小則獲邑,大則獲城󰡓
*《爾雅》〈釋地〉“邑外謂之郊,郊外謂之牧,牧外謂之野,野外謂之林”;《周禮》〈秋官〉“郊,距國(王城)百里爲郊󰡓; 〉王畿〉〉城〉邑〉(100리)〉牧(州)(200리)〉(300리)〉林〉
7. 至-갑골문, 원래는 집으로 돌아와 누워 휴식하는 ; 到의 본래 자, 交의 거꾸로 된 모양 ;《說文解字》󰡒至,鳥飛從高下至地也󰡓;《荀子》〈勸學〉󰡒故不積跬(반걸음 규)步, 無以至千里󰡓:《老子》〈小國寡民〉󰡒民至老死不相往来󰡓
8. 夜-금문, 원래는 사람의 겨드랑이 ;《說文解字》󰡒夜,舍也。天下休舍也󰡓; 밤,《詩經》〈衛風〉󰡒夙興夜寐, 靡有朝矣󰡓

2016년 7월 5일 화요일

문예춘추 2016년 여름 호 신인문학작품(시, 시조부문) 당선

문예춘추 2016년 여름 호 신인문학작품(시. 시조부문)에 당선되어 등단하게 되었다는 당선통지서를 받았습니다. 졸작은 여름 호(7월 초 출간)에 게재 예정입니다. 강호제현의 많은 지도편달을 바랍니다.

2016년 7월 1일 금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29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29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7월 8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지하1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28회 보충설명

4. 牧-갑골문, 원래는 손에 작대기를 들고 소(양)를 방목함 ;《周禮》〈牧人〉󰡒掌 牧六牲(소, 말, 돼지, 양, 개, 닭)󰡓;《說文解字》󰡒牧,養牛人也󰡓;《左傳》昭公七 年󰡒馬有圉,牛有牧󰡓; 《爾雅》〈釋地〉“郊外謂之牧󰡓
5. 君-갑골문, 원래는 지팡이를 잡고 명령을 내리다 ; 《說文解字》󰡒君,尊也󰡓; 尹(통치자)+口=君 ; 고대에 大夫 이상 토지가 있는 통치자를 통칭함 ; 군주,《荀子》〈禮論〉󰡒君者,治辨之主也󰡓; 제후의 아들(신릉군, 평원군...) ; 상대의 존칭(남녀 가리지 않음, 諸君), 杜甫《江南逢李龜年》󰡒落花時節又逢君󰡓; 부부간의 통칭, 杜甫《新婚别》君行雖不遠,守邊赴河陽 ; 처가 남편의 부모를 부를 때, 君舅, 君姑 ; 덕 있는 사람,《孟子》〈公孫丑下〉󰡒君子有不戰󰡓; 漢代에 여성의 이름으로 많이 사용, 許平君(宣帝 1황후), 霍成君(宣帝 2황후), 王昭君(落雁, 흉노 單于 부인, 春來不似春의 주인공), 王政君(元帝 황후)
 
* 涸澤之蛇 보충
󰡒鴟(올빼미 치)夷子皮(范蠡)事田成子,田成子去齊,走而之燕,鴟夷子皮負傳而從。至望邑,子皮曰:"子獨不聞涸澤之蛇乎?澤涸,蛇將徙。有小蛇謂大蛇曰:"子行而我隨之,人以爲蛇之行者耳,必有殺子者。不如相銜負我以行,人以我爲神君也。乃相銜負以越公道。人皆避之,曰:'神君也。' 今子美而我惡,以子爲我上客,千乘之君也;以子爲我使者,萬乘之卿也。子不如爲我舍人。" 田成子因負傳而隨之。至逆旅,逆旅之君待之甚敬,因獻酒肉󰡓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28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28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6년 7월 1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50+센터(종로3가역 3번 또는 4번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지하1층 열린강의실)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대한드래곤보트협회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27회 보충설명

* 이대곤 질문-虫間 ?
* 조 변호사-涸澤之蛇-《韓非子》〈說林上〉(水蛇裝神):강한 자가 약한 자를 섬기는 자세를 보인다고 함(×)--성실한 사람은 이용당하고 간교한 사람은 교묘한 방법으로 이익을 얻는 것을 비유함.
* 福以德招(福入德招 ×)-〈明皇祀圜丘樂章〉
그러면 德은?
唐, 太宗󰡒夫以銅爲鏡, 可以正衣冠., 以史爲鏡, 可以知興替., 以人爲鏡, 可以明得失。朕常保此之鏡, 以防己過。󰡓
* 사드와 관련 중국외교부 장관 王毅 󰡒項莊舞劒, 意在沛公󰡓--출처《史記》〈項羽本紀〉“今者項莊拔劒舞,其意常在沛公也。” ;󰡒司馬昭之心, 路人皆知󰡓--출처《漢晉春秋》; 바둑 두는 사람(미국, 중국)과 바둑판의 백돌(한국)과 흑돌(북한)
* 선거철
지렁이(蟮, 土龍)-이무기(蟒)-潛龍(《周易》󰡒隱而未顯󰡓)-顯龍-飛龍-天龍(亢龍-만인의 존경)
* 농사와 관련
《管子》〈輕重乙〉󰡒農者天下之大本󰡓
《鹽鐵論》〈水旱〉“農,天下之大業也󰡓
* 대보름-元宵節, 上元節, 小正月, 元夕, 春燈節(Lantern Festival) ; 秦나라 시작, 漢 文帝 법으로 정함, 武帝 太一神(우주의 일체 주재자)에게 제사지내는 날 ; 元은 正月, 宵는 밤을 나타냄
* 삼일 운동(×)-삼일 (抗日)抗爭 기념일-일제 附逆者들이 비하하는 말
*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이 잘못하는 일이다.
《論語》〈衛靈公〉“過而不改,是謂過矣󰡓
《論語》〈學而〉󰡒過則勿憚改󰡓
《左傳》宣公二年󰡒人非聖賢, 孰能無過! 過而能改, 善莫大焉󰡓~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1. 武-갑골문, 원래는 무기를 들고 작전하러 나감 ; 《說文解字》󰡒武,楚莊王曰..“夫武,定功戢兵。故止戈爲武(전쟁을 그치게 하는 것, 인의와 평화를 보호하는 실력)” ; 止戈와 動戈 ; 무력,《左氏春秋》宣公十二年󰡒臣聞克敵,必示子孫,以無忘武功。楚莊王回答..非爾所知也,夫文,止戈爲武(夫文止戈爲武)󰡓;《韓非子》〈五蠹〉󰡒德不厚而行武󰡓; 반보,《國語》〈周語下〉󰡒夫目之察度也, 不過步武尺寸之間(古以六尺爲步, 半步爲武)󰡓; 3尺-六尺爲步,半步爲武
2. 王-갑골문, 전쟁에서 사용하는 가장 큰 도끼 ; 《說文解字》󰡒王,天下所歸往也󰡓(董仲舒曰..古之造文者,三畫而連其中謂之王。三者,天、地、人也,而參通之者王也。또 孔子曰..一貫三爲王);《六書故》󰡒王,有天下曰王。帝與王一也。周衰,列國皆僭號自王。秦有天下,遂自尊爲皇帝。漢有天下,因秦制稱帝,封同姓爲王,名始亂矣󰡓;《詩經》〈小雅〉󰡒溥(普)天之下,莫非王土, 率土之濱 莫非王臣󰡓; 통치하다,《商君書》󰡒周不法商,夏不法虞,三代異勢,而皆可以王󰡓
3. 徵-갑골문, 征과 통, 원래는 조정에서 불의한 지역을 토벌하는 것 ;《說文解字》󰡒徵,召也󰡓;《爾雅》󰡒以量度成賈而徵󰡓;《周禮》〈司市〉󰡒各掌其縣之政令徵比󰡓;《周禮》〈縣正〉󰡒徵唯所欲󰡓;《儀禮》〈鄕射禮〉󰡒王使來徵聘󰡓;《左传》宣公九年󰡒發徵期會󰡓;《史記》〈貨殖列傳〉󰡒徵拜郞中󰡓;《後漢書》〈張衡傳〉󰡒徵拜尙書󰡓; 조건 있게 초빙하는 것,《左傳》宣公九年󰡒王使來徵聘󰡓; 강제로 관청에서 민간의 인력과 물력을 거두는 것,《孟子》〈盡心下〉󰡒有布縷之徵,粟米之徵󰡓; 분명한 흔적,《荀子》󰡒觀國之强弱貧富有徵󰡓; 정벌(征),東征(討)西討(伐)南征北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