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31일 토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04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04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5년 11월 6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인생이모작센터(종로3가역 3번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03회 보충설명


* 나이 들수록 해야 되는 7가지
clean up ; dress up ; shut up ; show up ; cheer up ; pay up ; give up

* 나이 들수록 갖춰야 되는 것
인품과 실력-존경받음 ; 인품이 없으면 추하고 실력이 없으면 비웃음

* 司馬遷(기원전145-기원전90 ; 西漢, 武帝)의 《史記》와 許愼(58-147 ; 東漢 和帝, 100-121 완성)의《說文解字》

1. 尹-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지팡이를 집고 업무를 봄 ; 君의 본래 글자 ;《説文解字》󰡒尹,治也󰡓; 고급관리,《論語》〈公冶長〉󰡒令尹子文(鬪穀於菟, 字는 子文),三仕爲令尹,無喜色.,三已之,無愠色󰡓
2. 祝-갑골문, 원래는 제사지낼 때 입으로 기도하며 복을 구하는 모습 ; 《說文解字》󰡒祝,祭主贊詞者󰡓; 기도하다,《戰國策》〈趙策〉󰡒祭祀必祝󰡓; 詛呪(咒),《史記》〈孝文帝紀〉󰡒民或祝詛上󰡓; 단절하다,《公羊傳》哀公十四年󰡒子路死, 子曰..噫(희), 天祝予󰡓; 머리를 자르다(祝髮),《列子》󰡒南國之人, 祝髮而裸󰡓
3. 殷-갑골문, 원래는 귀족이 임신한 부인을 위해서 음악을 연주하게 하여 태아를 즐겁게 함 ; 부유, 간절, 검 붉은색 ; 풍성,《說文解字》󰡒殷,作樂之盛稱殷󰡓按..󰡒 殷者, 舞之容, 殳(수)者, 舞之器󰡓; 크다,《廣雅》󰡒殷,大也,衆也󰡓; 많다,《三國志》〈諸葛亮傳〉󰡒民殷國富󰡓; 제사 종류, 殷際(풍성한 제사)
* 胎敎-《史記》〈周本紀〉“(太妊-周文王母)及其妊娠,目不視惡色,耳不聽淫聲,口不出傲言󰡓
4. 末-금문, 원래는 나무의 윗부분 ; 《說文解字》󰡒末,木上曰末󰡓; 끝부분,《孟子》〈梁惠王上〉󰡒明足以察秋毫之末, 而不見輿薪,則王許之乎?󰡓; 뾰족한,《史記》〈平原君虞卿列傳〉󰡒夫賢士之處世也, 譬若(比如)錐之處囊中,其末立見(立刻出現)󰡓; 錐處囊中(囊中之錐), 毛遂自薦 ; 말기,《禮記》〈中庸〉󰡒武王末受命󰡓
5. 孫-갑골문, 원래는 사람과 사람간의 혈연관계 ; 포승줄로 묶은 소년 ; 아들의 아들,《說文解字》󰡒孫,子之子曰孫󰡓;《禮記》〈雜記〉󰡒孫謂祖後者󰡓
6. 季-갑골문, 원래는 어린 벼이삭 ; 곡물을 파종부터 수확 할 때까지의 기간 ; 서열에서 末과 동일󰡒孟(伯), 仲, 叔, 季󰡓; 冠軍(first place, champion), 亞軍(second place), 季軍(third place) ; 3개월
7. 殄-원래는 단절 ;《說文解字》󰡒殄,盡也󰡓; 다하다,《左傳》宣公二年󰡒敗國盡民󰡓; 소멸,《史記》〈秦始皇本紀〉󰡒武殄暴逆󰡓
8. 廢-원래는 집이 무너지다 ; 《說文解字》󰡒廢,屋頓也󰡓; 폐기하다, 賈誼《過秦論》󰡒於是廢先王之道,焚百家之言󰡓; 중지하다,《論語》〈雍也〉󰡒冉求(子有, 冉有, 冉子)曰:非不說(悅)子之道,力不足也。子曰:「力不足者,中道而廢。」󰡓;《禮記》〈中庸〉󰡒君子遵道而行,半途而廢, 吾弗能已矣󰡓(고사성어, 東漢, 樂羊子와 현명한 부인)
9. 侮-원래는 어리석은 사람 ; 무시하다,《左傳》昭公元年󰡒不侮鰥寡󰡓; 노비를 욕하다,《方言》󰡒秦晋之間罵奴婢曰侮󰡓
* 鰥(矜)寡孤獨廢疾
《禮記》〈禮運〉󰡒大道之行也,天下爲公。先賢與(擧)能,講信修睦。故人不獨親其親,不獨子其子。使老有所終,壯有所用,幼有所長。矜(鰥)寡孤獨廢疾者,皆有所養。男有分,女有歸󰡓
《孟子》〈梁惠王〉󰡒老而無妻曰鰥,老而無夫曰寡,老而無子曰獨,幼而無父曰孤.,此四者,天下之窮民而無告(依)者。󰡓

2015년 10월 25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03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03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5년 10월 30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인생이모작센터(종로3가역 3번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지하1층 열린마당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02회 보충설명


4. 康-갑골문, 원래는 곡식을 키질해서 날리는 것 ; 부유한,《史記》〈孟子荀卿列傳〉󰡒皆命曰列大夫,爲開第康壯之衢(路-四通八達大路, 比喩美好光明的前途), 高門大屋󰡓; 편안한,《商君書》〈開塞〉󰡒夫利天下之民者莫大於治,而治莫康於立君󰡓
5. 封-갑골문, 원래는 하사받은 토지 주위에 초목을 심어서 토지의 경계를 나타냄 or 흙을 모으다 ; 《説文解字》:封,爵諸矦之土也...... 公侯,百里;伯,七十里;子男,五十里 ; 밀봉,《史记》〈项羽本纪〉󰡒籍吏民,封府库,而待将军󰡓; 제후에게 땅을 분배, 《史記》〈貨殖列傳序〉󰡒故太公望封於營丘󰡓; 상을 내리다,《史記》〈魏公子列傳〉󰡒安縕王即位,封公子爲信陵君󰡓; 하늘에 제사지내다,󰡒祭天爲封, 祭地爲禪󰡓-봉선을 행한 황제는 秦 始皇, 漢 武帝, 後漢 光武帝, 唐 高宗과 玄宗, 宋 眞宗 ; 5仙-天地神人鬼 ; 편지 한통, 一封信
* 勸學文-眞宗, 朱子, 王安石
a.眞宗〈勸學文〉-󰡒富家不用買良田,書中自有千鍾粟。安居不用架高堂,書中自有黄金屋。取妻莫愁無良媒,書中有女颜如玉。出門莫愁無人随,書中車馬多如簇。男兒欲遂平生志,五經勤向窗前讀。
b.朱子〈勸學文〉-󰡒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日月逝矣,歲不我延。嗚呼老矣,是誰之愆? ......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未覺池塘春草夢,階前梧葉已秋聲󰡓:[明]范立本-《明心寶鑑》 정리자는 아래내용 삽입
c.王安石〈勸學文〉-󰡒讀書不破費,讀書利萬倍。窗前讀古書,燈下尋書義。貧者因書富,富者因書貴。
6. 布-금문, 원래는 도끼를 들고 일하는 남자가 몸도 가리지 못하는 옷을 걸치고 있음
7. 召-갑골문, 원래는 술과 음식으로 손님을 대접하는 것 ;《淮南子》〈脩務〉󰡒楚人有烹猴而召其鄰人󰡓; 부르다,《說文解字》󰡒召,呼也......以言曰召,以手曰招󰡓;《史記》〈李將軍列傳〉󰡒於是天子乃召拜廣爲右北平太守󰡓;《荀子》〈勸學〉󰡒故言有召祸也,行有招辱也󰡓; 兎死狗烹
8. 奭-《說文解字》󰡒奭,盛也󰡓
9. 贊-원래는 사람들이 재물을 들고 만나러 오는 것 ;《說文解字》󰡒贊,見也󰡓; 안내하다,《國語》󰡒太史贊王, 王敬從之󰡓; 보좌하다,《國語》〈晉語〉󰡒子若能以忠信贊君󰡓; 칭찬하다,《史记》〈平原君虞卿列傳〉󰡒自贊於平原君󰡓; 소개하다,《史記》〈魏公子列傳〉󰡒公子引侯生坐上坐, 遍贊賓客󰡓; 선발하다,《礼记》〈月令〉󰡒命太尉贊桀俊󰡓
10. 采-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과일을 따다 ; 《說文解字》󰡒采,採取也󰡓; 줍다,《孟子》󰡒有采薪之憂,不能造朝(朝觐)󰡓; 수집하다,《史记》〈秦始皇本纪〉󰡒采上古帝位號,曰皇帝󰡓
11. 牽-갑골문, 원래는 소에 고삐를 끼고 끌고 감 ;《說文解字》󰡒牽,引前也󰡓; 끌다,《孟子》〈梁惠王上〉󰡒牽牛而過堂下者󰡓; 견제하다,《管子》〈法法〉󰡒令出不行謂之牽󰡓
12. 牲-갑골문, 원래는 제사에 사용하는 살아있는 동물 ;《周禮》〈庖人〉󰡒始養之曰畜,將用之曰牲,是牲者,祭祀之牛也󰡓;《穀梁傳》哀公元年󰡒全曰牲,傷曰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