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26일 금요일

동양고전아카데미 제66회 고전 무료강좌


김영환교수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66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4년 10월17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여의도동 44-2 태양빌딩 402호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9호선 샛강역 2번출구)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장소후원 : 아시아문화경제네트워크 

주본기 8


4-008.
(원문)
崇侯虎譖西伯於殷紂曰 : “西伯積善累德, 諸侯皆嚮之, 將不利於帝。” 帝紂乃囚西伯於羑里。 閎夭之徒患之。 乃求有莘氏美女, 驪戎之文馬, 有熊九駟, 他奇怪物, 因殷嬖臣費仲而獻之紂。 紂大說, 曰 : “此一物足以釋西伯, 況其多乎!” 乃赦西伯, 賜之弓矢斧鉞, 使西伯得征伐。 曰 : “譖西伯者, 崇侯虎也。” 西伯乃獻洛西之地, 以請紂去炮格之刑。 紂許之。

(음역)
숭후호참서백어은주왈 : “서백적선누덕, 제후개향지, 장불리어제。” 제주내수서백어유리。 굉요지도환지。 내구유신씨미녀, 여융지문마, 유웅구사, 타기괴물, 인은폐신비중이헌지주。 주대열, 왈 : “차일물족이석서백, 황기다호!” 내사서백, 사지궁시부월, 사서백득정벌。 왈 : “참서백자, 숭후호야。” 서백내헌낙서지지, 이청주거포격지형。 주허지。

(주석)
1. 숭후호(崇侯虎)-3-031-주석18 참고.
2. 참(譖)-무고하다, 헐뜯다.
3. 서백(西伯)-3-031-주석6 참고.
4. 은(殷)-3-001-주석1 참고.
5. 주(紂)-3-029-주석5 참고.
6. 제후(諸侯)-1-002-주석3 참고.
7. 향(嚮)-향할 향(向)과 동일.
8. 유리(羑里)-3-031-주석19 참고.
9. 굉요(閎夭)-3-031-주석20 참고.
10. 유신씨(有莘氏)-3-005-주석5 참고.
11. 여융(驪戎)-고대 융족(戎族)의 일파이다. 상나라와 주나라 시기에 여융국이 있었으며, 군주는 성씨가 희(姬)이고 작위는 남작(男爵)이며, 활동범위는 섬서성(陜西省) 임동현(臨潼縣) 일대이다. 일찍이 진(秦)나라의 선조와 통혼하였고, 춘추시대 초기에는 진(晉)나라의 헌공(獻公)이 정벌하여 여희(驪姬)를 얻었다.
12. 문마(文馬)-붉은 색 말갈기에 흰색 몸체에 눈은 황금색의 준마이다.
13. 유웅(有熊)-1-029-주석6 참고.
14. 사(駟)-고대에 4필의 말이 끄는 수레를 가리킨다. 참고로 2필의 말이 끄는 수레는 거(車), 8필의 말이 끄는 수레는 연(輦)이다.
15. 인(因)-부탁할.
16. 폐신(嬖臣)-총애하는 신하.
17. 비중(費仲)-3-031-주석22 참고.
18. 열(說)-기쁠 열(悅)과 동일.
19. 낙서(洛西)-3-031-주석21 참고.
20. 거(去)-폐지하다.
21. 포격(炮格)-3-031-주석5 참고.

(국역)
숭후호가 상나라 주왕에게 서백을 헐뜯으며 말하기를 󰡒서백이 선한 업적을 쌓고 덕치를 행하여 제후들이 모두 그에게 귀의하므로, 장차 주왕에게 이롭지 않을 것입니다.󰡓 주왕은 이에 서백을 상나라의 감옥인 유리에 가뒀다. 굉요 등 무리가 이 일을 걱정하고, 곧 유신씨의 미녀와 여융족의 붉은 색 말갈기에 흰색 몸체에 눈은 황금색의 준마와 유웅씨의 4마리 말이 끄는 수레 9대(또는 36필의 말), 기타 기이하고 진귀한 물건을 구하여, 상나라 왕의 총애를 받는 신하 비중에게 부탁하여 주왕에게 바쳤다. 주왕은 크게 기뻐하며 말하기를 󰡒유신씨의 미녀 한 가지 만으로도 충분히 석방할 만한데, 하물며 이렇게 많으니 말할 것도 없다.󰡓 이에 서백을 석방하고 그에게 활, 화살, 큰 도끼, 작은 도끼를 하사하였으며, 서백으로 하여금 기타 제후국을 정벌하는 권한을 주었다. 그리고 말하기를 󰡒서백을 헐뜯은 자는 바로 숭후호이다.󰡓 서백은 이에 낙수 서쪽의 땅을 바치고, 주왕에게 포격형을 폐지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주왕이 허락하였다.

사기 강의 제65회 보충설명


제65강, 2014, 9, 26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태풍 풍웡-鳳凰의 광똥화
* 아인슈타인-뭔가에 대해서 단순하고 쉽게 설명할 수 없다면 당신은 그것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If you can׳t explain it simply, you don׳t understand it well enough.

1. 崇-山+宗=崇 원래는 산이 높고 큰 산맥 ; 요 임금시기-崇伯 鯤 , 상나라시기-崇侯 虎 ; 明 · 許仲琳《封神演義》第十一回“崇侯虎不過隨聲附和,實非本心。”; 隨聲附和, 付(附)和 雷同, 黨同伐異, 唯唯諾諾 ;《論語》〈子路〉󰡒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2. 虎-갑골문, 큰입, 긴발, 얼룩무늬의 맹수 ; 唐· 柳宗元《捕蛇者說》󰡒苛政猛于虎󰡓; 虎背 熊腰, 虎頭蛇尾(한국-龍頭蛇尾), 虎視眈眈, 虎氣(豪氣, 浩氣), 虎狼, 虎口, 虎患, 虎符(朝廷- 右半,兵權-左半)
3. 殷-갑골문, 원래는 성대한 악기를 두드려 임신부를 기쁘게 함 ; 붉은 흑색(검붉은), 풍성, 많다, 《三國志》〈諸葛亮傳〉󰡒民殷國富󰡓; 殷正(음력 12월)
4. 紂-원래는 마차 뒤의 가죽혁대 ; 帝辛과 紂王 한 사람에 두 개의 칭호-중국역사상 유일 한 사례 ; 모택동-東夷를 정벌한 영웅 ; 춘추전국의 유가학파-천하의 나쁜 놈으로 평가, 周나라 武王이 商나라 紂王을 정벌한 것은 下剋上이 아니고 民本觀念의 실현으로 여김.
5. 積-원래는 곡식을 쌓다 ; 聚 ;많다,《周禮》〈大司徒〉󰡒委(少曰委)積(多曰積)󰡓; 陰氣 불 통의 병, 담적병
6. 累-원래는 줄(끈) ; 여러번,《後漢書》〈張衡傳〉󰡒累召不應󰡓; 묶다,《孟子》〈梁惠王 下〉󰡒系累其弟子󰡓
7. 響-원래는 주인과 손님 간에 인사 답례하는 것
8. 利-원래는 칼로 곡물을 수확하는 것 ; 害, 弊와 반대 ;《易經》〈系辞〉󰡒其利斷金󰡓; 무기(堅固銳利)《孟子》〈公孫丑下〉󰡒兵革非不堅利也󰡓;《韩非子》〈難一〉󰡒吾矛之利, 于物無不陷也 ; 순리, 유리《史記》〈項羽本紀〉「垓下歌」󰡒力拔山兮氣蓋世。時不利兮騅 不逝。騅不逝兮可奈何!虞兮虞兮奈若何!
9. 囚-원래는 가두다 ; 拘, 系와 통용 ;《爾雅》󰡒囚,拘也󰡓
10. 羑-원래는 좋은 방향으로 이끌다 ; 지명, 감옥이름
11. 里-원래는 전답과 집, 또는 의복의 안쪽 ; 마을,《周禮》〈地官〉“五家爲鄰,五鄰爲里 󰡓;《尙書大傳》󰡒八家爲鄰,三鄰爲朋,三朋爲里󰡓; 길이, 고대에 1里는 300步 ; 때(시 기), 宋 · 無名《張協壯元》󰡒妾身年少里,父母俱傾棄(去世)󰡓; 驚氣
12. 患-원래는 줄에 꿰어져 있는 물건을 마음에 담아둠(근심) ;《論語》〈憲問〉󰡒不患人之 不已知,患其不能也󰡓;《史记》〈廉颇藺相如列傳〉󰡒患秦兵之來󰡓; 신비로운 동물,《山海 經》󰡒獸,其狀如羊而無口󰡓
13. 求-원래는 가죽 옷(裘)의 옛글자 ;《史記》〈屈原列傳〉󰡒因留懷王以求割地󰡓;《孟子》 〈告子上〉󰡒求則得之,舍則失之󰡓; 蘇軾《超然台記》󰡒所爲求褔而辭禍󰡓;《論語》〈衛靈 公〉󰡒君子求諸己,小人求諸人󰡓; 求同存異-周恩來 창시, 통일전선의 근본계책, 1955년 1 회 아시아아프리카회의, 단계는 1)異中而求同 2)求同不求異 3)求同又存異 4)存異而待同
14. 驪-짙은 검은색 말
15. 文-갑골문, 원래는 복잡하게 엮인 것 ;《禮記》〈中庸〉“今天下,車同軌,書同文,行同 倫󰡓;《史記》「諡法」󰡒經緯天地曰文,道德博聞曰文,勤學好問曰文,慈惠愛民曰文,愍民 惠禮曰文,錫民爵位曰文。󰡓; 文房四寶(友)-筆, 墨, 紙, 硯
15. 熊-금문에 能
16. 九-갑골문, 원래는 손을 뻗어 구덩이 안을 더듬는 것 ;《楚辭》〈九辨〉󰡒九者, 陽之數, 道之綱紀也󰡓; 崇九 풍속(客家族) ; 九牛一毛-《史記》〈報任安書〉󰡒假令僕伏法受誅,若 九牛亡一毛,與螻(땅강아지 루)蟻何以異?󰡓사마천, 李陵 장군, 무제, 궁형(腐刑), 자살을 생각하면서...
17. 駟-원래는 4필의 말이 끄는 수레 ; 二馬爲車,四馬爲駟,八馬爲輦 ;《論語》〈顔淵〉󰡒
子貢曰 “惜乎!夫子之說君子也,駟不及舌󰡓
18. 奇-갑골문, 원래는 사람이 말 위에 앉은 모습 ;《史記》〈呂不韋傳〉󰡒此奇貨可居󰡓
19. 怪-원래는 불평상적인 것 ;《論語》〈述而〉󰡒子不語怪、力、難、神󰡓;《論衡》〈自 紀〉󰡒詭于衆而突出曰怪󰡓;《史記》〈商君列傳〉󰡒民怪之,莫敢徒󰡓
20. 嬖-원래는 총애하다 ;《左傳》〈莊公二十八年〉󰡒驪姬嬖, 欲立其子󰡓
21. 費-원래는 물가가 높아서 돈을 많이 사용함 ;《論語》〈堯曰〉󰡒君子惠而不費󰡓;《商君 書》〈墾令〉󰡒上不費粟,民不慢農󰡓;《管子》〈八觀〉󰡒國侈則用費,用費則民貧󰡓
22. 獻-갑골문, 원래는 제사에 제물을 바침 ; 주인이 손님에게 술을 권함《詩經》〈小雅〉 󰡒爲賓爲客,獻酬交錯󰡓《周禮》〈大司馬〉󰡒獻禽以祭祖󰡓
23. 足-갑골문, 원래는 무릎아래 ; 口무릎+止발=足, 무릎아래 부분 ;《老子》󰡒千里 之行, 始於足下󰡓; 膝+脚+小腿+足 ; 26개 뼈와 3000개 신경 ; 임신 3-4주 생 성, 죽을 때까지 수고 ; 전신의 거울, 제2의 心臟 ; 性感 제일 풍부 ; 발바닥은 인 체 12 經絡 중에서 중요한 6經絡(脾, 胃, 膀胱, 腎, 肝, 膽)과 연결 ; 발끝 온도 22도 이하-두통과 불면증 , 발바닥 중앙 온도 28도 이하 腎臟 계통 문제 ; 頭寒足 熱 ; 照顧脚下 ; 高足(다른 사람의 학생), 足下(상대방에 대한 존칭-자칭으로 변함)-士(己, 我-足下) 大夫, 卿-(臣-閣下-원래 일반인 지칭) 諸侯-(予一人, 孤-殿下) 天子-(朕, 寡人, 不穀-陛下)) ; 陛下, 殿下, 閣下, 閤下(존귀자-친구, 조선 흥선대원군), 麾下, 足下, 在下(자 칭), 膝下, 貴下(きか, 貴君, 貴兄)-남자가 편지에서 동년배 또는 그 아래 남성을 일컫는 말 ; 어른-鈞啓, 道啓, 鈞覽, 臺覽 ; 일반-緘, 臺啓, 大啓, 敬啓, 親啓, 惠覽, 賜覽 ; 手相, 面相, 痣相, 骨相, 心相, 足相-점(痣)과 人字 최고
24. 釋-원래는 동물이 발로 흙을 헤집어서 음식물을 가려내는 것 ; 풀다, 해석, 사면, 놓다 《莊子》〈養生主〉󰡒庖丁釋刀對曰, 臣之所好者,道也󰡓
25. 赦-원래는 관용으로 죄를 면해주다 ;《論語》〈子路〉󰡒先有司, 赦小過, 擧賢才󰡓; 《史 記》〈廉颇藺相如列傳〉󰡒臣從其計, 大王亦幸赦臣󰡓
26. 賜-갑골문, 원래는 군신 간에 가치 있는 물건을 교환 ;《禮記》〈曲礼〉󰡒長子賜, 少者 賤者不敢辭󰡓;《正字通》󰡒上予下曰賜󰡓
27. 弓-갑골문, 원래는 활과 화살 ;《過秦論》󰡒胡人不敢南下而牧馬,士不敢彎弓而報怨󰡓; 토지를 측량하는 단위󰡒一弓爲五尺、三百六十弓爲一里󰡓
28. 矢-갑골문, 원래는 멀리 쏘다 ;《戰國策》〈齊策〉󰡒疾如錐矢󰡓
29. 斧-갑골문, 원래는 家長(繼父)의 공구 또는 刑具 ; 軍權, 국가권력 상징 ; 도끼 ; 父는 돌도끼(斧)를 쥐고 있는 사람 ; 王도 갑골문 도끼 모양?-현재는 通天의 禮記)
30. 鉞-大斧 ; 원래는 刑具 ; 병기 ; 의장용 상징물(商, 周)
31. 征-갑골문, 원래는 멀리가다 ;《孟子》〈盡心下〉󰡒征者,上伐下也󰡓 ;《資治通鑑》󰡒 挾天子以征四方󰡓; 세금,《孟子》〈盡心下〉󰡒有布縷之征,粟米之征󰡓
32. 伐-갑골문, 원래는 창으로 사람의 머리를 베다 ;《論語》〈季氏〉󰡒季氏將伐顓臾󰡓; 자 랑하다,《史記》〈淮陰侯列傳〉󰡒不伐己功,不矜己能󰡓; 패배, 좌절,《孫子兵法》〈謀攻〉 󰡒故上兵伐谋,其次伐交,再次伐兵󰡓
33. 譖-원래는 근거 없이 타인을 나쁘게 이야기하다 ;《韓非子》〈奸劫弑臣〉󰡒處非道之位, 被衆口之譖󰡓
34. 洛-원래는 십자모양 교차되는 강물 ; 고대에는 雒
35. 炮-원래는 불에 굽는 형벌 ; 포락 형벌,《史記》〈殷本紀〉“百姓怨望而諸侯有畔者,於 是紂乃重刑辟,有炮格之法󰡓
36. 格-갑골문, 원래는 행군 작전 ; 또는 나무줄기와 가지가 교차되어 십자 모양으로 됨 ; 《禮記》〈緇衣》󰡒言有物而行有格也󰡓
37. 刑-원래는 죄인의 머리에 형틀을 씌운 것 ;《韓非子》〈二柄〉󰡒殺戮之謂刑󰡓;《周禮》 〈大司寇〉󰡒以五刑糾萬民󰡓
38. 許-갑골문, 원래는 고개를 끄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