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8일 일요일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05회 고전 무료강좌

金榮煥敎授의 『東洋古典아카데미』 제105회 古典 無料講座
 
1. 일시 : 2015년 11월 20일(금) 오후 7시~9시
2. 장소 : 서울시 도심권 인생이모작센터(종로3가역 3번출구 직진 50미터 동의빌딩)
3.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한학 수학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 문학석사, 문학박사
  동양고전아카데미 /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포럼 / 중국전문가
  한자교육연구회, 대한검정회 / 이사, 한자자격검정시험 출제위원
  비영리민간단체 사회공헌 다사랑월드 / 대표이사
  아시아문화경제연구원 / 이사
4. 대상 : 제한 없음
5. 교재 : 김영환,《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기(史記) 1》,서울, 경인문화사, 2013년.
6.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司馬遷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중국여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7. 참고 : 페이스북과 구글 블로그에 매주 공지사항과 자료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사기 강의 제104회 보충설명

10. 蔑-갑골문, 원래는 눈이 뒤집혀 적을 살해함 ; 눈이 충혈되어 잘 안보임 ;《說文解字》󰡒蔑,目眵(치)也󰡓; 매우 작다,《法言》〈學行〉󰡒視日月而知衆星之蔑也󰡓; 경시하다,《國語》〈周語〉󰡒鄭未失周典,王而蔑之,是不明賢也󰡓; 소멸하다,《國語》〈周語〉󰡒而蔑殺其民人󰡓; 없다, 蔑有(没有), 蔑須有(莫須有,没有)
*《大學》10傳〈治國平天下〉󰡒孟献子曰..畜馬乘,不察於鷄豚。伐冰之家不畜牛羊。百乘之家不畜聚斂之臣,與其有聚斂之臣。寧有盗臣。此謂國不以利爲利,以義爲利也。󰡓
孟献子-鲁나라 大夫,성은 仲孫, 이름은 蔑 ; 畜-養 ; 乘-4필 말이 끄는 수레 畜馬乘은 士가 大夫의 대우를 받음 ; 察-관심을 두다 ; 伐-매개 ; 伐冰之家-장례지낼 때 시체를 얼음으로 보존하는 재력 있는 집, 고위직의 대우 ; 百乘之家-封地가 있는 제후 아래의 卿으로 실력자의 대우 ; 聚斂之臣-재물을 착취하는 가신 ; 利-재물
11. 神-갑골문, 원래는 천둥번개, 많은 것을 번식시키는 조상 ;《說文解字》󰡒神,天神,引出萬物者也󰡓;《易經》〈系辭傳上〉󰡒一陰一陽之謂道,陰陽不測之謂神󰡓;《孟子》〈盡心下〉󰡒浩生不害問曰:“樂正子(春),何人也?”孟子曰:“善人也,信人也。”“何謂善?何謂信?” 曰:“可欲之謂善,有諸(之於)己之謂信。充實之謂美,充實而有光輝之謂大,大而化之之謂聖,聖而不可知之之謂神。樂正子,二之中,四之下也󰡓
12. 祇-원래는 토지 신, 示조상+氏밑바닥=祇 ;《尸子》󰡒天神曰靈, 地神曰祇󰡓 ; 正 바로, 恰 마치, 只 다만
13. 祀-갑골문, 원래는 어린아이를 산채로 제사지냄, 천신에게 제사지냄, 《周禮》 “天神稱祀,地祇稱祭,宗廟稱享” ;《左傳》成公十三年󰡒國之大事,在祀與戎󰡓; 唐, 玄 應《一切經音義》󰡒祠,祭也,天祭也。祀,地祭也󰡓
*祭-갑골문, 원래는 피가 뚝뚝 떨어지는 고기 덩어리를 손으로 잡다 ; 肉제물+手 +示탁자=祭 ;《說文解字》󰡒祭,祀也󰡓;《公羊傳》桓公八年 注..󰡒無牲而祭曰薦, 薦而加牲曰祭󰡓;《禮記》〈祭統〉󰡒祭者,所以追養繼孝也󰡓;《論語》〈鄕黨〉󰡒祭 於公,不宿肉。祭肉不出三日󰡓
14. 商-갑골문, 원래는 둘 이상이 함께 형량을 상의하다 ; 《説文解字》󰡒商,從外知内也󰡓; 坐商은 賈(고), 行商은 商 ; 장사《史記》〈貨殖列傳〉󰡒商不出則三寶(糧食, 器物, 財貨)絶󰡓
15. 國-갑골문, 원래는 무력으로 일정지역을 지킴 ; 夏-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모여사는 자연촌락 ; 商-제후가 분봉한 지역 ; 西周-囗통치범위(封邑), 戈군주의 아들 과 친척이 창을 들고 지킴, 口궁전의 성벽, 一군주가 칼을 들고 통치 ; 東周-囗 영토,口 인구, 戈 병기,一 토지,; 後漢-간략화해서 囯, 囗은 영토, 王은 󰡒普天之下莫非王土” ; 邦,《論語》〈微子〉󰡒丘也聞有國有邦者󰡓;《說文解字》“邑,國也。”
 
제102강, 2015, 10월, 23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산동성- 여인(황후)과 장군(인민해방군)
과거-三國(糜-卞-王) ; 晉.태조 司馬召-王 ; 모택동-江靑 ; 현재-習近平(彭麗媛),李克强(程虹),張德江(辛樹森)의 부인 , 林靑霞, 鞏利, 范氷氷 ; 현모양처, 이혼율 최저, 성공하려면 산동성 여인과 결혼 ; 인민해방군 장군의 25%-山東幇
1. 邑-갑골문, 원래는 약간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성곽 ; 《說文解字》󰡒邑,國也󰡓;《爾雅》〈釋地〉󰡒邑外謂之郊󰡓;《六國論》󰡒小則獲邑,大則獲城󰡓
*《爾雅》〈釋地〉“邑外謂之郊,郊外謂之牧,牧外謂之野,野外謂之林”;《周禮》〈秋官〉“郊,距國(王城)百里爲郊󰡓; 〉王畿〉〉城〉邑〉(100리)〉牧(州)(200리)〉(300리)〉林〉
2. 章-금문, 원래는 칼로 물건에 표시를 새김 ; 음악의 끝나는 곳,《說文解字》󰡒章,樂竟爲一章󰡓; 음악장절,《史記》〈呂太后本紀〉󰡒王乃爲歌詩四章, 令樂人歌之󰡓; 드러나다,《淮南子》󰡒鍾之與磬也,近之則鍾音充,遠之則磬音章󰡓; 무늬, 柳宗元《捕蛇者說》󰡒永州之野産異蛇,黑質而白章󰡓(한국-黑質黃章) ; 적백무늬,《周禮》〈考工記〉󰡒青與赤謂之文,赤與白謂之章󰡓; 법칙,《史記》〈高祖本紀〉󰡒與父老約, 法三章耳;殺人者死,傷人及盗抵罪󰡓; 그림(문자)로 신분을 나타내는 도장,《核舟記》󰡒又用篆章一󰡓; 작품,《三國志》〈陳思王植傳〉󰡒言出爲論,下筆成章 ; 마디(편,장),《後漢書》󰡒復習五經,皆訓詁大義,不爲章句󰡓
* 章, 印(모두 신하, 구리), 璽(천자, 옥, 國璽, 寶璽, 御寶), 印信, 圖章, 藏書章, 印鑑, 印章, 下款, 落款, 款 ; 秦始皇의 傳國璽(受命於天旣壽永昌-唐末 없어짐) ; 淸, 마지막 황제의 制誥之寶(25개중 14번째 御寶)-국가에 헌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