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26일 토요일

사기 강의 제140회 보충설명

6. 今-갑골문, 원래는 머리를 수그리고 중얼거리다 ;《說文解字》󰡒今,是時也󰡓;《孟子》〈梁惠王下〉󰡒今之樂,猶古之樂也󰡓;《戰國策》〈燕策〉󰡒今行而無信,則秦未可親也󰡓;《史記》〈項羽本紀〉󰡒奪項王天下者,必沛公也,吾屬今爲之虜矣!󰡓
7. 我-갑골문, 원래는 손에 큰 도끼를 들고 소리 지름 ;《說文解字》󰡒我,施身自謂也。或說我,頃頓也󰡓;《詩經》〈小雅〉󰡒昔我往矣,楊柳依依;今我來思,雨雪霏 霏󰡓;《孟子》〈盡心上〉󰡒萬物皆備於我矣。反身而誠,樂莫大焉。强恕而行, 求仁莫近焉。”+
8. 未-갑골문, 원래는 여름철에 잎은 무성하지만 열매는 맺지 않음, 또는 나무의 윗부분 ; 《說文解字》󰡒末,木上曰末󰡓; 끝부분,《孟子》〈梁惠王上〉󰡒明足以察秋毫之末, 而不見輿薪,則王許之乎?󰡓; 뾰족한,《史記》〈平原君虞卿列傳〉󰡒夫賢士之處世也, 譬若(比如)錐之處囊中,其末立見(立刻出現)󰡓; 錐處囊中(囊中之錐), 毛遂自薦 ; 말기,《禮記》〈中庸〉󰡒武王末受命󰡓
9. 定-갑골문, 원래는 전쟁이 끝나고 편안히 보냄 ; 《說文解字》󰡒定,安也󰡓; 편안히 거주 or 이불 깔개 or 주무시는 보고 가서 자신이 자는 것,《禮記》〈曲禮〉󰡒凡爲人子之禮,冬温而夏凊,昏定而晨省󰡓; 안정,《史記》〈留侯世家〉󰡒天下屬安定,何故反乎?󰡓; 毛澤東.󰡒革命無罪,造反有理󰡓
10. 保-갑골문, 원래는 애기를 업고 있는 ;《說文解字》󰡒保,養也󰡓; 유아를 보육하는 여자,《禮記》〈内則〉󰡒國君世子生,…保受,乃負之󰡓;《孟子》〈藤文公上〉󰡒儒者之道,古之人若保赤子󰡓; 애기 싸는 포대기,《後漢書》〈桓郁傳〉󰡒昔成王幼小,越在襁保󰡓; 상점에서 일하는 하인(남자 하인은 酒保, 여성은 酒母 ? ) ; 작은 성,《莊子》〈盗跖〉󰡒所過之邑(城市),大國守城,小國入保 ; 보물,《史記》〈周本紀〉󰡒展九鼎保玉󰡓; 보증하다,《獄中雜記》󰡒然後導以取保󰡓
11. 何-갑골문, 원래는 관문을 지키는 병졸이 창을 어깨에 매고 통과하는 행인에게 물어보는 것 ;《說文解字》󰡒何,儋也󰡓;《過秦論》󰡒信臣精卒陳利兵而誰何󰡓; 어찌,《論語》〈述而〉“默而識之,學而不厭,誨人不倦, 何有於我哉󰡓;《孟子》〈萬章下〉󰡒何事非君,何使非民󰡓;《史記》〈項羽本紀〉󰡒今日之事何如󰡓
12. 暇-갑골문, 원래는 빌려온 시간 ;《說文解字》󰡒暇,閑也󰡓;《韓非子》〈外儲說右下〉󰡒救亡不暇,安得王哉󰡓;《書經》〈無逸〉󰡒不敢自暇自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