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4일 토요일

사기 강의 제150회 보충 설명


2. 及-갑골문, 원래는 뒤쪽에 있던 사람이 따라와서 손으로 잡는 것 ;《說文解字》󰡒及,逮也󰡓; 이르다,《左傳》隱公元年󰡒不及黄泉,無相見也󰡓 ; 때맞춰서(及時),《史記》〈項羽本紀〉󰡒使人追宋義子,及之齊,殺之󰡓명
3. 德-갑골문, 원래는 큰 길에서 조금의 의심도 없이 직진하는 것 ;《說文解字》󰡒德,升也󰡓; 破字는 彳(조금걸을 척),十(직선으로 감),目(눈으로 보고), 一(시작), 心(본래 마음) ;《廣雅》〈訓詁三〉󰡒德,得也󰡓; 자연스럽게,《禮記》〈玉藻〉󰡒足容重,手容恭,目容端,口容止,聲容静,頭容直,氣容肅,立容德,色容莊,坐如尸󰡓; 天道에 맞게,《莊子》〈天地〉󰡒故曰,玄古之君天下,無爲也,天德而已矣󰡓; 《孟子》〈梁惠王上〉󰡒(齊宣王)曰:德何如,則可以王矣?(孟子)曰:保民而王,莫之能御也。曰:若寡人者,可以保民乎哉?󰡓;《史記》〈項羽本紀〉󰡒願伯具言臣之不敢倍德也󰡓
4. 方-갑골문, 원래는 죄지은 사람 목에 형틀을 채워서 변방으로 유배 보냄 ;《說文 解字》󰡒方,併船也。象兩舟省、總頭形󰡓; 변방,《論語》〈學而〉󰡒有朋自遠方來不 亦樂乎?󰡓; 방위,《後漢書》〈張衡傳〉󰡒尋其方面,乃知震之所在󰡓; 사각형,《墨子》〈天志中〉󰡒中吾矩者謂之方,不中吾矩者謂之不方,是以方與不方,皆可得而知之󰡓; 책략,《韓非子》〈六反〉󰡒學道立方,離法之民也,而世尊之曰文學之士󰡓; 비로소,《韓非子》󰡒賞有功,罰有罪,而不失其人,方在於人者也󰡓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