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28일 화요일

사기 강의 제152회 보충설명

11. 居-갑골문, 원래는 여성이 막 아이를 낳고 휴식하는 ;《說文解字》󰡒居,蹲也󰡓; 거처하다,《左傳》󰡒昔闔閭食不二味,居不重席,室不崇壇󰡓;《荀子》〈勸學〉󰡒君子居必擇鄕󰡓;《老子》三十一章 󰡒君子居則貴左,用兵則貴右󰡓
12. 易-갑골문, 원래는 그릇의 손잡이를 잡고 액체를 따르는 것 ; 《說文解字》󰡒易,蜥易,蝘蜓,守宮也,象形。《祕書》說:日月爲易,象陰陽也。󰡓; 바꾸다,《戰國策》〈魏策〉󰡒寡人欲以百里之地易安陵󰡓; 변경,《易經》〈繫辭下〉󰡒上古穴居而野處,後世聖人易之以 宫室󰡓; 경작하다,《孟子》〈盡心上〉󰡒易其田疇,薄其稅斂,民可使富也。食之以時,用或禮,財不叮勝用也。民非水火不生活,昏暮叩人之門户求水大,無弗與者,至足矣。聖人治天下,使有寂票如水火。寂粟如水火,而民焉有不仁者乎?” ; 쉽다,《北史》〈裴矩傳〉󰡒易如反掌,何往不至󰡓
13. 毋-금문, 원래는 여성의 민감한 부분에 자극을 주지 않다, 《說文解字》󰡒毋,止之也󰡓; 금지어, 莫、勿、不要, 不, 無 ;《論衡》〈견告〉󰡒毋者,禁之也󰡓; 不要,《史記》〈秦始皇本紀〉󰡒身自持築臿,脛毋毛󰡓
14. 固-금문, 원래는 방패를 더욱 굳세게 만듦 ; 《說文解字》󰡒固,四塞也󰡓; 공고하다,《荀子》〈王霸〉󰡒如是則兵勁城固,敵國畏之󰡓;《史記》〈廉頗藺相如列傳〉 󰡒藺相如固止之󰡓
15. 有-갑골문, 원래는 손에 고기를 들고 있음 ;《說文解字》󰡒有,不宜有也󰡓;《春秋傳》曰:“日月有食之󰡓;《老子》󰡒天下萬物生於有,有生於無󰡓;《詩經》〈小雅〉󰡒東有啓明,西有長庚󰡓
* 芒種-바쁜 날, 忙種,二十四 절기중 9번째, 대략 6월5일 6일, 음력5월(仲夏) ; 보리는 수확하고 벼는 심는 시기
* 敎學相長-《禮記》〈學記〉󰡒玉不琢,不成器;人不學,不知道。是故古之王者建国君民,教學爲先 雖有佳肴,弗食,不知其旨也。雖有至道,弗學,不知其善也。是故學然後知不足,教然後知困。知不足,然後能自反也,知困,然後能自强(努力)也。故曰:教學相長也。󰡓
* 《論語》〈述而〉󰡒學而不厭, 敎(誨)而不倦󰡓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