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6월 24일 토요일

사기 강의 제163회 보충설명

* 登鸛雀樓 -唐 王之涣-한겨레신문, 동양철학자 ooo의 번역
白日依山盡,黄河入海流,
欲窮千里目,更上一層樓。
1. 振-갑골문, 원래는 두 손으로 호미(농기구)를 잡고 노동하는 모습 ;《說文解字》󰡒振,舉救也󰡓; 흔들다,《史記》〈禮書〉󰡒擧若振槁󰡓; 곤경에서 벗어나게 도와줌(구제),《周易》〈蠱(고)》󰡒君子以振民育德󰡓;구조하다,《韓非子》〈五蠹〉󰡒智困於内而政亂於外,則忘不可振也󰡓
2. 兵-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도끼를 들고 작전하는 병졸 ; 《說文解字》󰡒兵,械也。從廾(두 손으로 들 공)持斤,并力之皃(貌얼굴 모)󰡓; 무기,《孫子》〈謀攻〉󰡒故上兵伐謀,其次伐交, 其次伐兵,其下攻城󰡓;《資治通鑑》󰡒又望八公山上草木,皆以爲晋兵󰡓 ;《孟子》〈梁惠王上〉󰡒塡然鼓之, 兵刃既接,棄甲曳兵而走。或百步而後止,或五十步而後止。以五十步笑百步, 則何如?󰡓;《老子》󰡒兵者,不祥之器󰡓;《墨子》〈七患〉󰡒兵者,国之爪也󰡓;《荀子》〈議兵〉󰡒古之兵,戈、矛、弓、矢而已矣......故近者親其善,遠方慕其德,兵不血刃,遠邇來服󰡓;《史記》〈項羽本紀〉󰡒乃令騎皆下馬步行,持短兵接戰󰡓; 諸葛亮《出師表》󰡒今南言已定,兵甲已足,當獎率三軍,北定中原󰡓; 군대,《史記》〈廉颇藺相如列傳〉󰡒趙亦盛設以兵待秦,秦不敢動󰡓 ;《韓非子》〈五蠹〉󰡒擧兵伐徐,遂滅之󰡓; 전쟁,《孫子兵法》〈計篇〉󰡒兵者,国之大事󰡓
3. 釋-원래는 분리하다 ;《說文解字》󰡒釋,解也。從釆,取其分别物也󰡓; 해석하다,《國語》〈吳語〉󰡒(夫差)乃使行人 奚斯釋言於齐󰡓; 석방하다,《史記》〈屈原賈生列傳〉󰡒懷王竟聽鄭袖,復釋去張儀󰡓; 포기하다,《呂氏春秋》〈察今〉󰡒故釋先王之法,而法其所以爲法󰡓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