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8일 토요일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43


제43강, 2014, 3, 7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他人能解-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雲鳥樓의 쌀 뒤주의 손잡이에 쓰인 글
陶淵明,〈歸去來兮(辭)〉雲無心以出岫(운무심이출수) 鳥倦飛而知還(조권비이지환)  
남한 3대 길지-옥천 마성산, 예산 가야사-남연군묘, 구례)
* 3모녀 자살과 福祉-福-福 ; 祉-祿 ; 福利 ; 福祉(ふくし) ; welfare
孟子가 梁惠王에게 질문-몽둥이로 죽이나 칼로 죽이나, 칼로 죽이나 정치로 죽이나
* 재미있는 간체자 설명

1. 敗-貝(鼎)+攴(칠 복, 손으로 막대기를 잡고 때리다)=敗
2. 虛-墟(옛날 도읍지)와 동일 사용 ; 虍+丘=虛 ; 虛左(존경의 뜻으로 왼쪽의 자리를 남겨 둠)
3. 奔-大(사람)+止止止(빨리 달리는 모습)=奔 ; 私奔(여자가 정식 절차없이 남자와 결합하 는 것 ; 《內記》󰡒私奔爲妾󰡓
4. 鳴-口+鳥=鳴 새 소리; 새, 동물, 곤충의 소리
5. 績-糸(비단)+責(이자)=績 비단을 짜서 원금과 이자 등 채무를 갚다 ; 방직
6. 俘-갑골문, 人+孚(부치다, 붙다)=俘 획득하다
7. 典-갑골문, 冊+大=典 중요한 책
8. 勝-力+朕=勝 견디다, 감당하다 ; 이기다 ; 《資治通鑑》󰡒勝負兵家之常事󰡓
9. 遷-登, 徙, 移
10. 報-죄인을 다스리다, 판결하다 ; 알리다, 대답, 보복, 복종...
11. 海內-고대 전설에 중국은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임, 四海之內 ; 전국, 국경 안
《論語》〈顔淵〉“君子敬而無失,與人恭而有禮,四海之内,皆兄弟也。󰡓
12. 歸-止+婦=歸 출가하는 것 ; 女……以夫爲家,故謂嫁曰歸也 ; 歸寧-출가한 여자가 친정 집에 부모를 뵈러 가는 것 ; 歸省-남녀불문, 결혼불문하고 부모님을 찾아뵈는 것
13. 絀-黜물리치다 ; 漢, 武帝, 董仲舒의 건의󰡒罷黜百家, 獨尊儒術󰡓-儒家+道家+法家+陰 陽五行家=儒學(新思想, 왕권 神化化)
14. 維-문장에 첫머리에 나오면 의미 없음 ; 계절과 붙어서 출현 維歲次......
15. 勤-菫(단기간)+力=勤 단기간에 힘쓰는 것
16. 迺-乃
17. 怨-夗(누워 뒹굴다, 열다)+心=怨
18. 農殖-農植 ; 백성들에게 심는 것을 권하다 ; 《書經》〈呂刑〉“ 稷降播種,農殖嘉穀󰡓
19. 昔-원래 의미 乾肉 ; 옛날, 이전

《論語》〈八佾〉
孔子謂季氏,󰡒八佾舞於庭,是可忍也,孰不可忍也?󰡓
謂-曰, 云, 語 ; 季氏:노나라의 3대 세력가 孟孫氏, 叔孫氏, 季孫氏 중에서 季孫氏인 季平子(《左傳》에 포악한 놈)를 가리킨다. 八佾-고대 樂舞 행렬(8×8=64),주나라의 제도, 天子 八佾,諸侯 六佾,大夫 四佾, 士 二佾. 季氏는 大夫인데 천자의 의례를 행함. ; 庭-안마당 ; 孰-누구, 어느, 무엇
내가 이것을 참을 수 있다면 누구(무엇)인들 참을 수 없겠는가
* 門〉庭〉樓(閣)〉廊〉堂(廳, 殿)-중앙을 正室, 정실 양쪽을 房〉階(陛)〉屋, 家, 宮
僭越(下剋上)
三家者以雍徹。子曰:󰡒󰡐相維辟公,天子穆穆󰡑,奚取於三家之堂?󰡓
三家-노나라의 3대 세력가 孟孫氏, 叔孫氏, 季孫氏로 󰡒三桓”이라고 함. ; 雍-《詩經》〈周頌〉중의 한 편。고대에 天子가 종묘에 제사를 지낸 후에 제기를 거둘 때에 부르게 하는 노래. 徹-제사의 마지막 단계로 제기를 거둔다. 相維辟公제후들은 서로 돕고,天子穆穆천자의 모습은 빗나다-雍의 마지막 두 구절. 相-助 ; 維-어조사 ; 辟公-諸侯 ; 穆穆-엄숙 장엄한 모습 ; 堂-대청마루로 제사시 귀신을 영접하는 장소 ; 奚-어찌 何
子曰:󰡒人而不仁,如禮何?人而不仁,如樂何?󰡓
인은 내면의 본성이고 예와 악은 외면의 표현
예라는 것은 그 사람(仁하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 어떤 의미도 없다.
김형석교수의 聖地巡禮
林放問禮之本。子曰:󰡒大哉問! 禮,與其奢也,寧儉 ; 喪,與其易也,寧戚。󰡓
林放-노나라 사람 ; 奢-사치 ; 與其~寧-~하기 보다는 차라리~ ; 儉-검소하다 ; 喪-초상 ; 易-온화하고 화평한 모습 또는 형식적으로 잘 치르다, 낭비하다 ; 戚-슬퍼하다.
사회풍조가 형식(虛禮虛飾)이 실질(本質)을 초과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