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24일 토요일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51회


제51강, 2014, 5, 23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三從四德
《儀禮》〈喪服〉“婦人有三從之儀,無專用之道。故未嫁從父,既嫁從夫,夫死從子。”
《周禮》〈天官〉“九嬪掌婦學之法,以九敎御:婦德、婦言、婦容、婦功。”
* 胡適의 三從四德-(1)부인이 외출하면 꼭 모시고, (2)시키면 무조건 복종, (3)말 같지 않은 소리도 맹종할 것 ; ㉠부인이 화장 끝날 때까지 불평 말고 기다릴 것, ㉡생일을 절대 잊지마라, ㉢야단맞을 때 말대꾸하지 말 것, ㉣부인이 쓰는 돈을 아까워 말 것
* 장개석-ⓐ부인 이외엔 처다보지 말고, ⓑ부인 따라서 와인을 마시고,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고 , ⓓ기독교를 믿었고

1. 崩-山+朋=崩 산이 무너지다 ; 《禮記》〈曲禮〉天子-崩, 駕崩, ; 諸侯-(薨奄), 昇遐 ; 卿, 大夫-, 逝世(去), 他界, 下逝 ; 士-不祿 ; 平民-, 去世, 歸天, 死亡, 永眠, 殞命, 過逝, 謝世, 仙逝, 離世, 辭世, 長逝, 犧牲, 殉国, 捐軀, 就義, 身故, 夭亡, 夭折, 歸西, 咽氣, 喪命, 亡故, 遇難, 罹難(리난), 遇害, 晏駕, 歿, 見背, 圓寂, 坐化, 與世長辭, 駕鶴西去, 斃命 (폐명), 隕落。
군주 죽음에 대한 별칭-등하(登遐), 붕어(崩御), 빈천(賓天), 상빈(上賓), 안가(晏駕), 예척 (禮陟), 용어(龍馭), 조락(殂落), 척방(陟方)
종교의 죽음 ; 기독교-召天 ; 천주교-善終 ; 불교-入寂(涅槃, 寂滅)
2. 立-갑골문 ; 서다, 오르다
3. 嘉-북소리를 따라서 내는 소리 ; 칭찬하다, 아름답다, 훌륭하다, 기쁘다 ; 嘉言善行 ; 亨 嘉之會(우수한 인물이 많이 모여 있음)
4. 祥-갑골문, 흉하고 길한 징조
《易》〈系辭〉󰡒吉事有祥󰡓; 《周書》〈武順〉󰡒無道曰祥󰡓
5. 廟-원래는 조상을 제사지내는 곳。《禮記》“天子七廟,卿五廟,大夫三廟,士一廟。”, 漢 代 이후 귀신을 제사지내는 곳으로 변화(문묘(孔子廟,무묘(關羽廟), 사찰, 도교 등등)
6. 遂-원래 의미는 도망가다 ; 따라가다 ; 稱心如意 ; 순리롭게
7. 作-갑골문, 옷깃을 처음 만든 형상 ; 사람이 몸을 일으키는 것, 일어나다, 수공업 공장 (作坊), 하다......《樂府詩集》󰡒日出而作,日入而息󰡓
8. 高-갑골문, 원래는 이층집 ;《荀子》〈勸學〉󰡒不登高山,不知天之高也󰡓 ; 연세 高壽
9. 宗-宀집 면+示보일 시=宗실내에서 귀신에게 제사지냄
《周禮》〈春官〉󰡒春見曰朝, 夏見曰宗, 秋見曰謹, 冬見曰遇, 時見曰會, 殷見曰同󰡓
10. 及-갑골문, 뒷쪽에 있던 사람이 따라와서 손으로 잡는 것
11. 弟-갑골문, 끈으로 나무 몽둥이를 묶은 것
《爾雅》〈釋親〉󰡒男子先生爲兄,後生爲弟󰡓
12. 淫-氵+음=淫 과다, 점차 가라앉다, 미혹, 부정당한 행위, 방종
13. 亂-헝클어진 실을 정리하는 모습 ; 무질서 ; 부정당한 행위
14. 廩-본래는 쌀 창고 ; 《荀子》〈富國〉󰡒穀藏曰倉,米藏曰廪󰡓
《管子》“倉廩實而知禮節。”
15. 去-갑골문, 사람이 동굴에서 떠나는 것
16. 亳-갑골문,《史記正義》󰡒湯即位都南亳(商丘),後徙西亳(偃師)也󰡓
17. 徙-辵쉬엄쉬엄갈 착+止=徙 옮기다
18. 河-명칭상-黃河長江 ; 규모상-小河大江 ; 지역상-北河南江
19. 北-갑골문, 背의 古字 ; 面(南)明, 背(北)暗

論語》〈里仁〉
子曰:「里仁爲美。擇不處仁,焉得知?」
里-마을 또는 동사로 사용, 거주하다 ; 處-동사,里와 같은 뜻 ; 知-지혜智(《論語》의 “智”는 모두 知로 썼다.
子曰:「不仁者,不可以久處約,不可以長處樂。仁者安仁,知者利仁
約-빈곤 ; 久約必濫 ; 樂-부귀 ; 久樂必淫 ; 利-순종 ; 仁者, 安于仁道 ; 智者, 利于仁道
子曰:「唯仁者,能好人,能惡人。」
唯-오직 ; 好-좋아하다 ; 惡-미워하다
子曰:「苟志於仁矣,無惡也。」
苟-만약, 진실로 ; 惡-악, 사악(나쁜 일을 안 할 것이다) ; 오, 미워함, 싫어함(싫어하는 행동을 안 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