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 14일 토요일

사기 강의 제53회 보충설명


제53강, 2014, 6, 13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食怯-놀라다, 겁내다 ; 吃驚
* 選擧-《禮記》〈禮運〉“大道之行也,天下爲公,選賢與能,講信修睦。” 選賢任能, 選賢 擧能과 동일
* 顯忠日-顯忠이라는 용어는 중국 고전에 없음. 6월6일-淸明, 寒食 지나서 芒種-제사지내 는 풍속 ; 현충의 유래는-1706년 건립된 이순신장군 사당 이름인 顯忠祠에서 따옴. 중국 과 대만은 忠烈祠
* 訃告, 訃文-孤子(父喪) ; 哀子(母喪) ; 孤哀子(부모 중 한분이 먼저 돌아가신 후에 다시 한 분이 돌아가시면)

1. 長子-항렬상 위(嫡,庶 구별) ; 나이가 많은《大戴禮記》〈本命〉󰡒女有五不取 : 逆家子不 取, 亂家子不取, 世有刑人不取, 世有惡疾不取, 喪婦長子不取󰡓 ; 키가 큰 ; 유가학파의 大 儒를 존칭 ; 나머지 자식은 別子
2. 微-몰래가다 ; 작다 ; 천하다......
微子-微는 商나라의 封國 ; 子는 존칭 ; 啓(開)는 이름 ; 후에 주나라 周公에 의해 宋나라 의 군주로 봉해짐. 그래서 宋微子, 또는 微子啓
3. 啓-열다, 시작하다, 가르치다, 편지 ; 啓蒙, 啓發, 啓示, 啓閉(開閉)
4. 母-갑골문 ; 《禮記》〈曲禮〉󰡒生曰父曰母,死曰考曰妣󰡓
5. 賤-갑골문, 가격이 낮은 ; 천한, 욕, 겸양. ; 《周禮》〈小司徒〉󰡒以辨其貴賤老幼廢疾󰡓
6. 嗣-冊제왕이 신하에게 봉토와 작위를 주는 문서+口구두 명령+司대대로 어떤일에 종사= 嗣아버지가 적장자에게 물려줌.
7. 少-갑골문, 적다 ; 幼年
8. 紂-마차 뒤에 묶는 끈 ; 帝辛과 紂王 한 사람에 두 개의 칭호-중국역사상 유일한 사례 ; 모택동-동이를 정벌한 영웅 ; 춘추전국의 유가학파-천하의 나쁜 놈으로 평가, 周나라가 商나라를 정벌한 것은 下剋上이 아니고 民本觀念의 실현으로 여김.
9. 資-貝+次=資, 원래는 재물, 비용, 천부, 조건......
10. 辨-원래는 판별, 구별 ; 辮머리땋을 변; 辯말잘할 변 ; 瓣참외씨 판 ; 辦힘쓸 판
11. 捷-원래는 전리품, 승리, 민첩, 신속(疾과 동일)
12. 疾-갑골문 ; 몸에 화살을 맞은 모양 ; 金文에서 疒(병들어 누울 녁)은 누워서 땀을 흘 리는 모양
13. 聞-《禮記》〈大学〉󰡒心不在焉,視而不見,聽而不聞󰡓
14. 見-갑골문, 원래는 사람의 눈 ; 目+人 주목을 끌다
15. 甚-甘쾌락+匹짝=甚남녀간에 사랑에 빠지다
16. 敏-갑골문, 원래는 뚜껑 있는 물건을 깨뜨리다 ; 빠른, 뛰어난, 반응이 빠른, 총명박학, 근면
17. 材-갑골문, 준비되었지만 아직 사용하지 않은 나무재료 ; 人才(완성품,현재형) ; 人材(미 완성품,미래형) ; 人財(재무에 능한 CFO) ; 人裁(無德無才)
18. 手-金文 ; 大拇指(엄지)、食指(검지-음식맛)、中指(중지)、無名指(약지-심장관련,약 저 을때)、小拇指(소지)
19. 格-木+各나뭇가지 교차=格,나뭇가지를 교차해서 십자가로 만든 것 ; 틀, 방식, 표 준......이르다, 오다
20. 猛-犭+孟=猛 원래는 처음 태어난 개, 건강한 개 ; 사나울
21. 獸-《爾雅》〈釋鳥〉󰡒四足而毛謂之獸󰡓
禽獸-飛禽走獸 ; 조류와 수류의 통칭(birds and beasts) ; 華陀의 五禽戱(一曰虎,二曰 鹿,三曰熊,四曰猿,五曰鳥)
22. 知-口+矢=知, 원래는 입을 통해서 알게 되는 인식 ; 《莊子》〈外物〉󰡒心徹爲知󰡓
《史記》〈李將軍(廣)列傳〉󰡒百姓聞之,知與不知,無老壯皆爲垂涕󰡓
23. 足-《道德經》󰡒千里之行,始於足下󰡓; 膝+脚+小腿+足 ; 26개 뼈와 3000개 신 경 ; 임신 3-4주 생성, 죽을 때까지 수고 ; 전신의 거울, 제2의 心臟 ; 性感 제일 풍부 ; 발바닥은 인체 12 經絡 중에서 중요한 6經絡(脾, 胃, 膀胱, 腎, 肝, 膽)과 연결 ; 발끝 온도 22도 이하-두통과 불면증 , 발바닥 중앙 온도 28도 이하 腎臟 계통 문제 ; 照顧脚下, 高足(다른 사람의 학생), 足下(상대방에 대한 존칭) ; 手相, 面相, 痣相, 骨相, 心相, 足相-점(痣)과 人字 최고 ; 知足-《道德经》“禍莫大于不知足 󰡓; 반대는 貪-不知足 ; 貪하면 貧하다 ; 貧은 원래 貝 +分-由一而多 「心足則物 常有餘,心貪則物常不足」
* 자기가 가지면 언젠가 없어지고, 남에게 주면 오랫동안 남게 된다.
* 파푸아뉴기니 상각부락의 추장(Big Man)󰡒베풀수록 존경받고 나눌수록 따른다󰡓
24. 距-거리, 항거, 거절...
25. 諫-言+柬가장 적당한 의견을 가려서 선택하다=諫

《論語》〈里仁〉
子曰:「人之過也,各於其黨。觀過,斯知仁矣。」
過-과실 ; 黨-유형, 종류, 습벽 ; 斯-이것, 즉
子曰:「朝聞道,夕死可矣!」
道-진리의 길, 진리 추구
子曰:「士志於道,而恥惡衣惡食者,未足與議也!」
士-전국이전은 지식분자, 전국이후는 文士와 武士 ; 恥-부끄러울 ; 惡-나쁜, 거친, 조악한
子曰:「君子之於天下也,無適也,無莫也,義之與比。」
適-可, 친밀 ; 莫-不可, 소원 ; 與-어기조사 ; 比-따르다
子曰 : 「君子懷德, 小人懷土 ; 君子懷刑, 小人懷惠。」
懷-생각한다 ; 土-삶의 터전, 토지 ; 刑-법 질서 ; 惠-요령, 사적인 은혜
德-刑 ; 禮-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