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 26일 토요일

사기 강의 제58회 보충설명


제58강, 2014, 7, 25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龍의 발가락(5,4,3)
1) 처음에는 도자기의 문양으로 등장 ; 시초-신석기시대 ; 초기-동한~당, 특징은 말발굽 모 양 ; 중기-오대~원, 특징은 3발 ; 말기-명~청, 특징은 4발, 5발, 본격적으로 황제권 상징
2) 의복의 문양으로 등장 ; 시초-진대(발가락이 없음), 청대 본격적 등장-5발(5,중앙,土,황 색)-황제, 황태자의 龍袍 ; 4발-황족, 주변국 왕의 龍褂 ; 3발-왕, 왕자, 먼 주변국 왕의 蟒袍
*千字文의 猶子比兒 해석-猶子조카-여기서는 자기 자식과 같게, 比兒조카
* 대만 항공기 사고-罹難-불행한 사고로 목숨을 잃다
* 骸骨-尸骨 ; 《吕氏春秋》〈禁塞〉“故暴骸骨無量數,爲京丘若山陵”

1. 崩-《禮記》〈曲禮〉天子-崩, 駕崩, ; 諸侯-(薨奄), 昇遐 ; 卿, 大夫-, 逝世(去), 他界, 下逝 ; 士-不祿 ; 平民-, 去世, 歸天, 死亡, 永眠, 殞命, 過逝, 謝世, 仙逝, 離 世, 辭世, 長逝, 犧牲, 殉国, 捐軀, 就義, 身故, 夭亡, 夭折, 歸西, 咽氣, 喪命, 亡故, 遇難, 罹難(리난), 遇害, 晏駕, 歿, 見背, 圓寂, 坐化, 與世長辭, 駕鶴西去, 斃命(폐명), 隕落。
군주 죽음에 대한 별칭-등하(登遐), 붕어(崩御), 빈천(賓天), 상빈(上賓), 안가(晏駕), 예척 (禮陟), 용어(龍馭), 조락(殂落), 척방(陟方) ; 기독교-召天 ; 천주교-善終 ; 불교-入寂(涅 槃, 寂滅)
2. 庚-천간 ; 나이-貴庚, 年庚, 同庚, 生庚, 庚甲, 庚帖, 齒庚
3. 管-원래는 고대의 악기, 簫(洞簫, 세워서 불고, 굵직하고), 笛(횡으로 불고, 날카롭고) ; 가운데가 빈 대롱
4. 叔-伯(孟)-仲-叔-季
5. 續-원래는 연결하다 ; 계승《史記》〈太史公自序〉󰡒汝復爲太史,則續吾祖矣󰡓
6. 史-갑골문, 원래는 기록하는 사람 ;《禮記》〈玉藻〉󰡒動則左史書之,言則右史書之󰡓
7. 公-원래는 公正無私
8. 余-나, 余一人(천자의 自稱) , 余小子(천자가 喪을 당했을 때 스스로를 가리킴) ; 남은
9. 頌-원래는 용모 ; 찬양...《詩經》의 일부분으로 風(지방 民歌), 雅(조정 樂歌), 頌(종묘 樂歌) ; 《詩經》의 표현 방식은 賦(직설적으로 표현), 比(비유하는 방식), 興(인용하는)
10. 次-갑골문, 원래는 앞쪽에 있지 않다, 임시 주둔 ; 순서 ; 이르다 ; 계승하다 ; 둘째《孫 子》〈謀攻〉󰡒凡用兵之法,全國爲上,破國次之󰡓;
兵書-《孫子兵法》,《孫武兵法》,《吳孫子兵法》; 《孫臏兵法》; 《六韜》,《太公六韜》, 《太公兵法》; 《三略》,《黃石公三略》
11. 采-갑골문, 원래는 따다 ; 선택, 채택
12. 空-갑골문, 원래는 누추한 집 ; 비다。——《管子》〈五輔〉󰡒倉禀實而囹圄空󰡓
13. 桐-갑골문, 10여종, 泡桐(거문고, 선박, 상자), 梧桐(15미터), 油桐(3-8미터, 식물기름)
14. 稚-갑골문, 원래는 어린 벼 ; 어리다
15. 夷-갑골문, 원래는 포로로 묶여 끌려감 ; 夷戎蠻狄華
16. 路-원래는 십자로 ;《周禮》〈地官〉途는 수레1대 왕래,道는 수레2대,路는 수레3대
17. 善-言+羊=善, 원래는 吉祥

〈里仁〉
子曰:「三年無改於父之道,可謂孝矣。」
子曰:「父母之年,不可不知也:一則以喜,一則以懼。
年-나이 ; 喜-오래 생존해서 ; 懼-돌아가실 날이
子曰:「古者言之不出,恥躬之不逮也。」
古者-옛날사람 ; 恥-부끄럽다 ; 躬-자신의 행동, 몸소 ; 逮-이르다, 미치다
子曰:「以約失之者,鮮矣。」
約-자신을 엄격히 다스림, 검약 ; 失-잃다, 손해보다 ; 鮮-드물다
子曰:「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訥-과묵하여 말을 경솔히 하지않다 ; 敏-민첩, 신속
子曰:「德不孤,必有鄰(隣)。」
* 휴먼 네트워크 형성
* 보답-積善之家, 必有餘慶, 積不善之家, 必有餘殃
* 도덕을 수양하는 사람은 혼자하지 않으며, 반드시 훌륭한 스승이나 친구와 같이 切磋琢磨
子游曰:「事君數,斯辱矣;朋友數,斯疏矣。」
數-자주 삭, 이것저것 충고하다 ; 斯-즉, 곧(則, 就)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