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8월 2일 토요일

사기 강의 제59회 보충설명


제59강, 2014, 8, 1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朴趾源《熱河日記》-法古創新 ; 溫故知新
* 休暇-唐, 王勃《秋日登洪府滕王閣餞别序》“十旬休暇,勝友如雲” ; 《增廣賢文》󰡒時來風 送滕王閣,運去雷轟薦福碑󰡓 ; きゅうか, 休暇を過(す)ごす
* 忍-심장을 찔러서 핏방울이 튀긴 모양-어떤 분이 주장-잘못된 정보입니다.
갑골문, 원래는 마음으로 하여금 상처를 받지 않도록 하는 것, 주로 아랫사람, 약자로부터 받는 마음의 상처 ; 참다 ; 刃은 칼날, 예리한 칼날의 모양.

1. 周-갑골문, 원래는 밭에 식물을 심은 모양
2. 后-갑골문, 司에서 유래, 관리의 의미 ; 后의 최초 의미-자식이 아버지의 업적을 계승 ; 왕, 군주 ; 제후 ; 왕후 ; 後의 약자 ;《禮記》〈曲禮〉󰡒天子之妃曰后󰡓《獨斷 下》󰡒帝 嫡妃曰皇后,帝母曰皇太后,帝祖母曰太皇太后󰡓
3. 稷-기장, 인류가 최초로 재배한 곡물중의 하나 ; 5穀의 神(稷米), 百穀之長, 황제가 穀神 으로 받들어 제사지냄. 《本草綱目》󰡒黏者爲黍,不黏者爲稷󰡓, 氣를 보충, 비장에 좋음, 뿌리는 難産에 효능 ; 蜀을 통해 전래 蜀黍-한국어 수수
* 稷은 도대체 어떤 식물인가에 대한 학설-첫째, 黍(穈(糜), 黃米) ; 둘째, 粟 ; 셋째, 高粱
* 社稷-국가를 대표함.
社-갑골문, 여성생식기 모양-共工의 아들 句龍-홍수-흙언덕-백성거주-구룡을 토지신- 제사-社神-천자와 제후는 社 건립-각종활동 거행-社會 글자 생김-토지를 대표.
稷-五穀神-주나라 시조 后稷-제왕의 혈연관계 대표
《周禮》〈考工記〉󰡒左(동쪽)祖右(서쪽)社󰡓王宮之右社稷壇, 王宮之左宗廟
4. 棄-갑골문, 원래는 거꾸로 태어나다, 버리다 ; 포기하다, 잊다, 위배...
5. 原-근원, 들 ; 源-원천 ; 願-원하다 ; 愿-삼가다 ; 㥳-헤아리다
6. 元-갑골문, 二머리위의 물건+儿사람 인=元, 원래는 머리 위의 물건을 아이에게 주는 것
7. 妃-처음에는 군주의 부인, 나중에 后의 아래가 됨 ; 周, 一 后(천자), 三 妃(황태자, 왕), 六 宮娘娘, 九 嬪, 二十七 世婦, 八十一 御妻。
8. 野-갑골문, 원래는 야외의 풍경 ; 木+木+土=埜, 野 ; 漢代에 변화 ; 國〉都〉郊〉野〉 鄙 ; 野外, 分野, 下野, 野蠻, 野心, 野性, 野菜(중국-蔬菜, 한국-菜蔬, 일본-やさい)
*수도, 서울-京師, 都(宗廟 있으면), 城, 邑(宗廟없으면)으로 구성됨. 城-內城;郭-外城
*황제가 직접 통치하는 지역-王畿이고 수도를 포함하고 郊(近郊, 遠郊)〉野〉鄙로 구성됨.
*《爾雅》“邑外謂之郊,郊外謂之牧,牧外謂之野,野外謂之林󰡓
9. 見-갑골문, 원래는 주목하다, 보다 ; 《禮記》〈大學〉󰡒視而不見,聽而不聞󰡓
10. 巨-원래는 矩(구-직각, 사각을 그리는 도구)의 본자 ; 크다
11. 迹-발자국
12. 忻-欣과 동일
13. 然-불태우다, 燒
14. 說-悅
15. 踐-밟다 履 ; 오르다, 실행......
16. 孕-갑골문, 姙, 妊
17. 居-원래는 옛날부터 거기에 살던
18. 祥-갑골문, 원래는 길조와 흉조의 징조 ; 상서롭다
19. 隘-갑골문, 원래는 좁은
20. 巷-直 또는 大는 街,曲 또는 小는 巷;途, 道, 路
22. 馬-赤免(呂布), 的盧(劉備), 昭陵6駿(唐 太宗), 汗血
23. 過-원래는 이쪽에서 저쪽으로 가다 ; 지나다, 잘못......
24. 皆-갑골문, 원래는 아무것도 없는 ; 모두, 전부
25. 辟-법도, 열다, 군주 ; 避와 통용
26. 徙-원래는 옮기다, 遷, 移 ; 徒와 구별
27. 適-적합, 가다, 여성 출가(出嫁, 適人, 出閣, 來歸)
28. 渠-원래는 물이 멈춰있는 곳, 인공개간, 도랑
29. 翼-날다, 돕다 ; 左辅右弼,前疑后承
30. 覆-원래는 뒤집다, 덮다, 망하다
31. 薦-원래는 풀방석
32. 神-원래는 천둥번개, 많은 것을 번식시키는 조상
33. 遂-원래 의미는 도망가다 ; 따라가다......半身不隨(순조롭다, 따르다)와 半身不遂(如意)
34. 收-거두다 ; 杜甫《兵車行》󰡒古來白骨無人收󰡓 ;《史记》〈太史公自序〉󰡒春生夏長, 秋收冬藏󰡓; 李紳《憫農》󰡒春種一粒粟,秋收萬顆子󰡓
35. 養-키우다, 기르다, 교육 󰡒唯女子與小人難養也,近之則不遜,遠之則怨”
*養의 3종류-①扶養-子女 ②贍養(섬양, 奉養)-父母 ③包養-妾室
36. 初-원래는 옷을 재단하는 시작

〈公冶長〉
子謂公冶长,「可妻也。雖在縲紲之中,非其罪也。」以其子妻之。
公冶长-성 公冶,이름 長, 자는 子長, 새 소리를 알아듣는 특기 있음 ; 妻:사위삼다, 시집보내다 ; 縲-포승 루 ; 緤-고삐 설-여기서는 감옥 ; 子-여기서는 여성, 딸
子謂南容,「邦有道不廢,邦無道免於刑戮。」以其兄之子妻之。
南容-성 南宮,이름 縚,자 子容 ; 兄之子-孔子의 형 孟皮의 딸(형이 먼저 죽어 공자가 혼례를 주관)
子謂子賤,「君子哉若人!魯無君子者,斯焉取斯?」
子賤-성 伏(宓), 이름 不齊,자 子賤 ; 若人-이사람 ; 斯焉取斯-처음 “斯”는 子賤,다음 “斯”는 子賤의 품덕
子貢問曰:「賜也何如?」子曰:「女,器也。」曰:「何器也?」曰:「瑚璉也。」
賜-자공의 이름, 저 ; 瑚璉-제사 때 黍稷을 담는 제기
或曰:「雍也仁而不佞。」子曰:「焉用佞?禦人以口給,屢憎於人。不知其仁,焉用佞?」
雍-姓 冉,이름 雍,자 仲弓 ; 佞-말재간이 뛰어난 ; 御-응대, 방어 ; 口给-말재간이 뛰어난 ; 屢-여러 번 ; 憎-미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