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월 10일 토요일

사기 강의 제73회 보충설명 1


제73강, 2015, 1월, 9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天開於子, 地闢於丑, 人生於寅.....
* 趨-走+芻(乾草 추)=趨 볏 집을 가지고 달아나는 모양
* 새해 한자-正本淸源《晉書》〈武帝紀〉. 淸源正本《漢書》〈刑法志〉 ; 回天再造《舊唐書》〈昭宗紀〉; 事必歸正 첫째,《後漢書》〈儒林傳〉󰡒違邪歸正󰡓, 둘째,《水滸全傳》第九十一回󰡒改(棄)邪歸正󰡓, 셋째,󰡒因果報應,事必歸正󰡓; 擧直錯(措) 枉《論語》〈爲政〉

1. 上-갑골문, 원래는 하늘과 땅(천지) ; 《說文解字》, 높다 ; 좋다,《孫子兵法》〈謀攻〉󰡒凡用兵之法,全國爲上,破國次之󰡓; 최고,《史記》〈魏公子列傳〉󰡒侯生 遂爲上客󰡓-貴賓, 來賓, 내빈(주최자,내국인,여성손님), 외빈(초청자,외국인,남성손 님)
2. 祭-갑골문, 원래는 피가 뚝뚝 떨어지는 고기 덩어리를 손으로 잡다 ; 肉제물+手 +示탁자=祭 ;《說文解字》󰡒祭,祀也󰡓;《公羊傳》桓公八年 注..󰡒無牲而祭曰薦, 薦而加牲曰祭󰡓;《禮記》〈祭統〉󰡒祭者,所以追養繼孝也󰡓;《論語》〈鄕黨〉󰡒祭 于公,不宿肉。祭肉不出三日󰡓
3. 東-갑골문, 원래는 해 뜨는 방향 ;《白虎通》〈五行〉󰡒東方者,動方也,萬物始 動生也󰡓;《白虎通》〈情性〉󰡒東方者, 陽也󰡓; 접대하는 주인, 古時主位在東,賓 位在西, 所以主人稱東 ; 봄철, 春耕 ; 화장실(東厠)-고대에 화장실은 북방 좌측에 설치
* 東西(물건)의 유래-첫째, 송, 神宗이 王安石에게 질문-왜? --王安石 답변-春種秋 孰-東作西成 ; 둘째, 朱熹(朱子)와 친구 盛溫和의 대화에서 친구의 대답-대나무 바 구니-東(木)西(金)南(火)北(水)中(土)-木金은 도구, 물건인데 火水土는 자연재해
4. 觀-갑골문, 원래는 독수리(큰 새)가 예리한 눈으로 쳐다보고 있는 ; 원래 글자는 雚황새 관 ;《易經》〈系辭下〉󰡒仰則觀象于天,俯則觀法于地󰡓;《左傳》僖公二十 三年󰡒吾觀晋公子之從者,皆足以相國󰡓;《戰國策》〈秦策〉󰡒由此觀之,王之蔽甚 矣󰡓;《史記》〈魏公子列傳〉󰡒名爲救趙,實持两端以觀望󰡓 ; 고대에 도교 사원(현 재는 宮-신선의 거처)
5. 兵-갑골문, 원래는 두 손으로 짧은 도끼를 들고 있는 ; 무기,《周禮》〈司兵〉󰡒 掌五兵(戈、殳、戟、酋矛、夷矛)󰡓;《荀子》〈議兵〉󰡒古之兵,戈、矛、弓、矢而已 矣󰡓; 군사, 전쟁, 병졸
6. 至-갑골문, 원래는 집으로 돌아와 누워 휴식하는 ; 到의 본래 자, 交의 거꾸로 된 모양 ;《說文解字》󰡒至,鳥飛從高下至地也󰡓;《荀子》〈勸學〉󰡒故不積跬步, 無以至千里󰡓:《老子》〈小國寡民〉󰡒民至老死不相往来󰡓
7. 盟-갑골문, 원래는 물그릇(신선한 핏물)을 떠놓고 해와 달을 증인으로 생과 사를 같이하기로 맹세하는 것 ;《周禮》〈詛祝〉󰡒掌盟詛(盟詛,主于要誓,大事曰盟, 小事曰詛) ;《禮記》〈曲禮〉󰡒約信曰誓,涖牲曰盟󰡓; 宋, 辛棄疾《南鄕子》〈贈 妓〉“山盟海誓(天長地久)
8. 津-갑골문, 원래는 배에서 노를 저어 강을 건너는 모양 ; 배가 있어서 강을 건너 는 곳《論語》〈微子〉󰡒孔子過之,使子路問津焉󰡓; 浦, 물가(小河入江(海)的地方) ; 津液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