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25일 일요일

사기 강의 제102회 보충설명


4. 康-갑골문, 원래는 곡식을 키질해서 날리는 것 ; 부유한,《史記》〈孟子荀卿列傳〉󰡒皆命曰列大夫,爲開第康壯之衢(路-四通八達大路, 比喩美好光明的前途), 高門大屋󰡓; 편안한,《商君書》〈開塞〉󰡒夫利天下之民者莫大於治,而治莫康於立君󰡓
5. 封-갑골문, 원래는 하사받은 토지 주위에 초목을 심어서 토지의 경계를 나타냄 or 흙을 모으다 ; 《説文解字》:封,爵諸矦之土也...... 公侯,百里;伯,七十里;子男,五十里 ; 밀봉,《史记》〈项羽本纪〉󰡒籍吏民,封府库,而待将军󰡓; 제후에게 땅을 분배, 《史記》〈貨殖列傳序〉󰡒故太公望封於營丘󰡓; 상을 내리다,《史記》〈魏公子列傳〉󰡒安縕王即位,封公子爲信陵君󰡓; 하늘에 제사지내다,󰡒祭天爲封, 祭地爲禪󰡓-봉선을 행한 황제는 秦 始皇, 漢 武帝, 後漢 光武帝, 唐 高宗과 玄宗, 宋 眞宗 ; 5仙-天地神人鬼 ; 편지 한통, 一封信
* 勸學文-眞宗, 朱子, 王安石
a.眞宗〈勸學文〉-󰡒富家不用買良田,書中自有千鍾粟。安居不用架高堂,書中自有黄金屋。取妻莫愁無良媒,書中有女颜如玉。出門莫愁無人随,書中車馬多如簇。男兒欲遂平生志,五經勤向窗前讀。
b.朱子〈勸學文〉-󰡒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日月逝矣,歲不我延。嗚呼老矣,是誰之愆? ......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未覺池塘春草夢,階前梧葉已秋聲󰡓:[明]范立本-《明心寶鑑》 정리자는 아래내용 삽입
c.王安石〈勸學文〉-󰡒讀書不破費,讀書利萬倍。窗前讀古書,燈下尋書義。貧者因書富,富者因書貴。
6. 布-금문, 원래는 도끼를 들고 일하는 남자가 몸도 가리지 못하는 옷을 걸치고 있음
7. 召-갑골문, 원래는 술과 음식으로 손님을 대접하는 것 ;《淮南子》〈脩務〉󰡒楚人有烹猴而召其鄰人󰡓; 부르다,《說文解字》󰡒召,呼也......以言曰召,以手曰招󰡓;《史記》〈李將軍列傳〉󰡒於是天子乃召拜廣爲右北平太守󰡓;《荀子》〈勸學〉󰡒故言有召祸也,行有招辱也󰡓; 兎死狗烹
8. 奭-《說文解字》󰡒奭,盛也󰡓
9. 贊-원래는 사람들이 재물을 들고 만나러 오는 것 ;《說文解字》󰡒贊,見也󰡓; 안내하다,《國語》󰡒太史贊王, 王敬從之󰡓; 보좌하다,《國語》〈晉語〉󰡒子若能以忠信贊君󰡓; 칭찬하다,《史记》〈平原君虞卿列傳〉󰡒自贊於平原君󰡓; 소개하다,《史記》〈魏公子列傳〉󰡒公子引侯生坐上坐, 遍贊賓客󰡓; 선발하다,《礼记》〈月令〉󰡒命太尉贊桀俊󰡓
10. 采-갑골문, 원래는 손으로 과일을 따다 ; 《說文解字》󰡒采,採取也󰡓; 줍다,《孟子》󰡒有采薪之憂,不能造朝(朝觐)󰡓; 수집하다,《史记》〈秦始皇本纪〉󰡒采上古帝位號,曰皇帝󰡓
11. 牽-갑골문, 원래는 소에 고삐를 끼고 끌고 감 ;《說文解字》󰡒牽,引前也󰡓; 끌다,《孟子》〈梁惠王上〉󰡒牽牛而過堂下者󰡓; 견제하다,《管子》〈法法〉󰡒令出不行謂之牽󰡓
12. 牲-갑골문, 원래는 제사에 사용하는 살아있는 동물 ;《周禮》〈庖人〉󰡒始養之曰畜,將用之曰牲,是牲者,祭祀之牛也󰡓;《穀梁傳》哀公元年󰡒全曰牲,傷曰牛󰡓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