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5일 월요일

사기 강의 제99회 보충설명

20. 公-갑골문(분배+음식물), 원래는 음식물을 균등하게 나눠줌 ; 金文, 개인 소유를 모두에게 나눠줌 ; 篆書, 《說文解字》󰡒公,平分也󰡓; 八(반대)+厶(개인 私)=公 ;《韓非子》〈五蠹〉󰡒背厶謂之公,或說,分其厶以與人謂公󰡓; 정의로운,《史記》〈屈原賈生列傳〉󰡒
讒諂之蔽明也,邪曲之害公也,方正之不容也󰡓; 국가의 업무,《論語》〈雍也〉󰡒行不由徑,非公事未嘗至于偃(子游名,武城宰)之室也󰡓; 제후국군주,《左傳》襄公十一年󰡒三分公室,而各有其一󰡓; 자신보다 나이 많은 남자의 존칭,《史記》〈項羽本紀〉󰡒公其怒,不敢獻󰡓
21. 旦-갑골문, 원래는 해가 떠오르는 것 ; 반대는 昏 ;《詩經》〈鄭風〉󰡒女曰鷄鳴,士曰昧旦󰡓; 중국 전통 희극에서 여성의 역할을 맡은 배우를 일컬음, 四大花旦(趙薇, 徐靜蕾, 周迅, 章子怡) ; 四小花旦(안젤라 베이비, 楊冪, 劉詩詩, 倪妮) ; 고대의 4대 傾國之色-西施(沈魚), 王昭君(落雁), 貂蟬(閉月), 楊貴妃(羞花) ; 4大影后(연기)-張曼玉, 鞏俐, 梅艶芳, 劉若英
22. 把-고문에서 쥐다, 들다
23. 畢-갑골문, 원래는 그물을 쥐고 새로 잡음 ; 끝나다,《史記》〈項羽本紀〉󰡒入前爲壽, 壽畢,請以舞劍, 因擊沛公於坐, 殺之󰡓; 󰡒壽比南山, 福如東海󰡓,《詩經》〈小雅〉“如日之恒,如月之升,如南山之壽,不騫不崩”
24. 小-갑골문, 원래는 작은 모래 ;《論語》〈衛靈公〉󰡒小不忍則亂大謀󰡓; 《孟子》〈萬章下〉󰡒柳下惠不羞污君,不辭小官。進不隱賢,必以其道󰡓; 小人--a.스스로 낮춰 부름 b.인격이 천박한 사람 c.자녀를 가리킴 d.어린 아이를 가리킴 ; 小房-첩을 가리킴 ; 矮小 ; 倭
25. 夾-갑골문, 원래는 두 사람이 어깨를 잡고 있는 모습 ;《說文解字》󰡒夹,持也󰡓;《禮記》〈檀弓〉󰡒使吾二婢子夹我󰡓; 보좌하다,《左傳》󰡒五侯九伯,女實征之, 以夹輔周室󰡓; 夹辅(共同辅佐) ; 夹介(輔佐) ; 夹助(輔助) ; 夹持(夹輔, 匡助) ; 양면, 夹擊, 夹攻 ; 鋏장검 협과 통함,《莊子》〈說劍〉󰡒天子之劍, ......周、宋爲鐔(심), 韓、魏爲夹󰡓
 
제95강, 2015, 7월, 24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공부하는 목적
學智〈 修道〈 積德 --行善
--踐遜《道德經》제7장󰡒後其身而身先,外其身而身存󰡓
(後身身先, 外身身存)
* 放學- 宋, 陸游 《蔬圃絶句》四 “貪看忘却還家飯,恰似兒童放學時󰡓
* 한국 영토차지
일본-殖民史觀-독도문제-한반도를 차지하려고
(日鮮同祖, 他律性, 停滯性, 黨派性)
중국-覇權史觀-고조선문제-유사시 북한을 차지하려고
(동북,서남,서북공정-현재 중국영토 안에서 발생한 모든 역사는 중국사)
 
* 그동안 배운 내용 여러 번 반복 학습하세요.
* 방학 잘 보내시고 8월 28일에 만나요 ^*^
제96강, 2015, 8월, 28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1. 盈科後進(학습할 때 한발자국씩 착실하게 실력을 쌓고 나아감)
《孟子》〈離樓下〉“原(源)泉混混,不舍晝夜,盈科而後進,放乎四海。”
2. 숙명여대 입시 광고문-兼人之勇(매우 용감함을 나타냄)
《漢書》〈韓信傳〉“受辱于胯下,無兼人之勇,不足畏也󰡓
3. 讀萬卷書 行萬里路-이론과 실제(실천)를 겸비
杜甫《奉贈韋左丞丈二十二韵》의 詩에 “讀書破萬卷,下筆如有神。”
明나라, 董其昌《畵旨》“讀萬卷書,行萬里路󰡓
* 종교
기독교-사랑의 실천
불교-깨달음을 추구하는 종교가 아니고 깨달음을 실천하는 종교
話頭-死話頭(이론), 生話頭(실천)
부처 없는 大衆은 있어도, 大衆 없는 부처는 필요 없다
* 요즘 사회, 너무 利를 추구
고전(사랑, 정의, 평화를 체득)을 전문적으로 가르치고, 나아가 공무원시험과 입사시험에 필수과목으로 넣기 범국민운동
 
* 추석연후 직전 날(9월 25일) 휴강합니다.
* 100강 기념(10월 2일) 특강 행사
 
제97강, 2015, 9월, 4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鳶-시조는 춘추전국시대 魯班-《墨子》〈魯班篇〉-또 四面楚歌-피리와 노래 소리는 연을 타고 공중에서-산동성 濰坊市-국제 연날리기 대회(현재 32회)
* 한국의 변호사-免飢難富
* 참여정부 인사들의 책 제목 經國濟民-? 󰡒經世濟民󰡓이 맞는 표현
經濟(economics)-“經邦”, “經國”, “濟世”, “濟民”,“經世濟民󰡓의 약칭
《晉書》〈殷浩傳〉:“足下......思綜(재기와 관념)通練,起而明之,足以經濟。”
* 聖人의 5가지
元나라 文宗 順二年(公元1331年)-聖人 孔子-復聖 顔淵-宗聖 曾子-述聖 子思-亞聖 孟子
* 五經-六經
《詩經》-思想感情을 표출,《書經》政事를 기술,《易經》陰陽變化를 천명 (《樂經》조화로움을 전달),《禮記》行爲規範을 정리, 《春秋》尊卑貴賤을 구분
* 중국 書院에서 배우는 科擧 준비 과목(明淸 시대) 기준
1단계-發蒙-《蒙求》,《三字經》,《百家姓》,《神童詩》,《千家詩》,《幼學琼林》,《弟子規》
2단계-童生-《大學》,《中庸》,《論語》,《孟子》,《文心雕龍》,《字貫》,《古文觀止》
3단계-秀才(府,州,縣의 학생)-五經, 《孝经》,《老子》,《莊子》,《墨子》,《孫子兵法》등 諸子百家
4단계-擧人(鄕試 합격자)-《心經》,《金剛經》,《壇經》,《資治通鑑》, 二十四史-《史記》
 
제98강, 2015, 9월, 11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咸和-화목, 화합-고대 신화 중에 부부간에 서로 사랑하는 두 명의 神의 이름
연꽃-蓮花、水芙蓉、藕(우)花、芙蕖(거)、水芝、水華、澤芝、中國蓮
* 鄒魯之鄕-문화창성한 지역을 가리킴. 산동성 鄒城 ; 추나라와 노나라 ; 유가의 발원지 ; 공맹의 탄생지 ; 臨淄와 稷下 ; 稷下學宮, 稷下學派
* 韜光養晦-《舊唐書》〈宣宗記〉“韜晦󰡓 ; 韜光養晦⇒和平崛起⇒世界制覇(?)
* 유엔이 정한 연령구분
0-17 미성년 ; 18-65 청년 ; 66-79 장년 ; 80-99 노인 ; 100- 장수 노인
1. 散-원래는 모였다가 흩어짐 ; 가루, 痲痺散 ; 한의약 관련-劑(湯), 散(末), 丸(丹), 膏, 液(汁) ; 一心, 二針, 三灸, 四藥, 五剖 ; 望, 聞, 問, 切(脈)
2. 宜-갑골문, 원래는 제사지내고 고기를 균등하게 나눔 ; 宀장소+且힘쓰다=宜적당하다 ; 편안히 거처하다 ; 당연하다,《呂氏春秋》〈察今〉󰡒世易时移,變法宜矣󰡓;옳다,《史記》〈魏公子列傳〉󰡒不宜有所過󰡓; 마땅히, 諸葛亮《出師表》󰡒宜付有司論其刑賞󰡓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