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6일 월요일

사기강의 제124회 보충설명

*七去(出)와 三不去(出) ;《禮記》〈本命〉“不順父母去,無子去,淫去,妬去,有惡疾去,多言去,竊盜去 ;《大戴禮記》󰡒有所娶(受)無所歸, 有更(경)舅姑三年喪, 前貧賤后富貴󰡓
* 七不出門-柴,米,油,鹽(塩),醬,醋,茶 ; 八不歸家-孝,悌,忠,信,禮,義,廉,耻
* 八不出-八不用, 八不取-팔삭동이, 어리석은 자
* 無頉(탈)
* 酌婦-しゃくふ, 작은 여관의 여성 안내원 ; 帳場ちょうば(상점, 여관의 계산하는 곳) 조바
1. 首-갑골문, 원래는 동물의 머리 부분 ;《戰國策》〈燕策〉󰡒願得將軍之首以獻秦󰡓; 처음,《史記》〈項羽本紀〉󰡒陳涉首難,豪杰蜂起󰡓- 王侯將相寧有種呼 ; 燕雀安知鴻鵠之志哉 ;《韓非子》〈心度〉󰡒故治民者,刑勝,治之首也󰡓
2. 營-宮+熒등불 형=營 ;《說文解字》營,帀(잡)居也󰡓段玉裁注“帀居,謂圍繞而居󰡓; 군대,《出師表》󰡒營中之事󰡓; 관리, 건설, 계획
3. 丘-갑골문, 두 개의 봉우리가 연결된 산 ;《說文解字》󰡒丘,土之高也,非人所爲也󰡓;《廣雅》〈釋丘〉󰡒小陵曰丘󰡓;《列子》〈湯問〉󰡒以君之力,曾不能損魁父之丘,如太行、王屋何?󰡓
4. 周-갑골문, 원래는 밭의 구역을 나누고 그 가운데에 식물을 심은 모양 ; 둘러싸다(담장),《管子》〈八觀〉󰡒大城不可以不完,郭周不可以外通󰡓; 완비(틈새가 없다),《荀子》〈解蔽〉󰡒周而成,泄而敗 ; 돌다,《禮記》〈月令〉󰡒周天下󰡓; 단결하다, 《论语》〈为政第二〉󰡒君子周而不比, 小人比而不周󰡓; 보편적 ; 주다
5. 旦-갑골문, 원래는 태양이 떠오르는 것 ;《說文解字》󰡒旦,明也󰡓; 밝다,《詩經》〈鄭風〉󰡒女曰..鷄鳴,士曰..昧旦󰡓; 새벽,《史記》〈魏公子列傳〉󰡒吾攻趙,旦暮且下󰡓; 날(日),《戰國策》〈燕策〉󰡒人有賣駿馬者,比三旦立市,人莫之知󰡓; 元旦 ; 전통극의 여자주인공, 花旦- 四大花旦-趙薇、章子怡、周迅、徐靜蕾 ; 四小花旦(2013) Angelababy(楊 潁)、劉詩詩、楊 冪、倪妮
6. 曲-금문, 원래는 대나무를 구부려 자르는 것 ; 구부리다,《玉篇》󰡒曲,不直也󰡓;《荀子》〈勸學〉“󰡒木直中繩,輮以爲輪,其曲中規󰡓;《論語》〈述而〉󰡒飯疏食飮水,曲肱而枕之,樂亦在其中矣󰡓; 음악의 악곡
7. 阜-갑골문, 원래는 바위 절벽의 돌계단 ;《廣雅》〈釋丘〉󰡒無石曰阜󰡓; 풍부,《華陽國志》󰡒是時世平道治,民物阜康󰡓; 순응하다
8. 召-갑골문, 원래는 술과 음식으로 손님을 대접하는 것 ;《淮南子》〈脩務〉󰡒楚人有烹猴而召其鄰人, 以爲狗羹而甘之。後聞其猴也,據地而吐之,盡瀉其食。此未始知味者也󰡓; 부르다,《說文解字》󰡒召,呼也......以言曰召,以手曰招󰡓;《史記》〈李將軍列傳〉󰡒於是天子乃召拜廣爲右北平太守󰡓;《荀子》〈勸學〉󰡒故言有召禍也,行有招辱也󰡓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