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14일 토요일

하본기 20

2-020.

(원문)
帝舜謂禹曰 : “女亦昌言。” 禹拜曰 ; “於, 予何言! 予思日孶孶。” 皐陶難禹曰 : “何謂孶孶?” 禹曰 : “鴻水滔天, 浩浩懷山襄陵, 下民皆服於水。 予陸行乘車, 水行乘舟, 泥行乘橇, 山行乘梮, 行山栞木。 與益予衆庶稻鮮食。 以決九川致四海, 浚畎澮致之川。 與稷予衆庶難得之食。 食少, 調有餘補不足, 徙居。 衆民乃定, 萬國爲治。” 皐陶曰 : “然, 此而美也。”

(음역)
제순위우왈 : “여역창언。” 우배왈 ; “어, 여하언! 여사일자자。” 고요난우왈 : “하위자자?” 우왈 : “홍수도천, 호호회산양릉, 하민개복어수。 여육행승거, 수행승주, 니행승취, 산행승국, 행산간목。 여익여중서도선식。 이결구천치사해, 준견회치지천。 여직여중서난득지식。 식소, 조유여보부족, 사거。 중민내정, 만국위치。” 고요왈 : “연, 차이미야。”

(주석)
1. 순(舜)-1-016-주석8 참고.
2. 우(禹)-1-026-주석5 참고.
3. 창언(昌言)-좋은 말.
4. 자자(孶孶)-부지런히 힘쓰는 모양.
5. 난(難)-책망할.
6. 고요(皐陶)-1-026-주석6 참고.
7. 홍수(鴻水)-1-018-주석8 참고.
8. 도천(滔天)-1-015-주석12 참고.
9. 호호(浩浩)-1-015-주석13 참고.
10. 회(懷)-둘러싸다.
11. 양릉(襄陵)-1-015-주석14 참고.
12. 복(服)-다스릴.
13. 취(橇)-2-004-주석18 참고.
14. 국(梮)-2-004-주석19 참고.
15. 간목(栞木)-산길의 도표로서 나뭇가지를 꺾거나 나무를 깎아서 표시한 나무.
16. 선식(鮮食)-날짐승이나 뭇짐승을 금방 잡아 죽인 것을 선(鮮)이라고 한다.
17. 결(決)-터뜨릴.
18. 9천(九川)-2-015-주석1 참고.
19. 4해(四海)-2-016-주석10 참고.
20. 준(浚)-치다, 준설하다.
21. 견회(畎澮)-밭 사이의 고랑.
22. 직(稷)-1-026-주석8 참고.
23. 난득지식(難得之食)-2-004-주석31 참고.
24. 만국(萬國)-각 지역.

(국역)
순이 우에게 일러 말하기를 󰡒그대도 또한 좋은 말이 있으면 하시요.󰡓 우가 절하며 말하기를 󰡒오, 제가 무엇을 말하겠습니까? 저는 단지 매일 부지런히 힘쓰려고 생각할 뿐입니다.󰡓 고요가 우를 비난하면서 말하기를 󰡒무엇을 일러 부지런히 힘쓴다는 것입니까?󰡓 우가 말하기를 󰡒홍수로 물이 세차게 흘러서 하늘에까지 이를 정도이고, 거대한 물줄기가 산을 감고 높은 곳까지 올라가니, 아래쪽의 백성들이 모두 물난리에 고통 받고 있습니다. 저는 육로를 다닐 때에는 수레를 타고 다니고, 수로를 다닐 때에는 배를 타고 다녔으며, 진흙길을 다닐 때에는 진흙길을 다니는 썰매를 타고 다녔고, 산을 오를 때에는 바닥에 뾰족한 못을 박은 신발을 신고 다녔으며, 산을 다닐 때에는 산에 도로를 만들고, 도로 표지를 나뭇가지를 꺾거나 나무를 깎아서 표시를 하였습니다. 저는 익과 더불어서 백성들에게 곡식과 날짐승과 뭇짐승의 신선한 고기를 배급하였습니다. 9개의 하천을 소통시켜서 동해, 서해, 남해, 북해로 흘러 들어가게 하였고, 밭도랑의 물길을 준설하여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였습니다. 저는 후직과 더불어서 백성들에게 구하기 힘든 양식을 배급해줬습니다. 양식이 부족한 곳은 양식이 많은 곳으로부터 조달하여 부족한 곳을 보충하게 하였고, 백성들을 생산이 풍부한 곳으로 이주시켰습니다. 백성들은 이에 안정되었고 각 지역은 잘 다스려졌습니다.󰡓 고요가 말하기를 󰡒그렇군요. 이것이 당신의 미덕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