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17일 금요일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37

제37강, 2014, 1, 17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論語》〈述而〉󰡒學而不厭, 誨人不倦󰡓-산동성 曲阜師範大學 교훈

1. 啓-열다, 시작하다, 가르치다, 편지 ; 啓蒙, 啓發, 啓示, 啓閉(開閉)
세습제 확립, 益, 有扈氏 등과 甘에서 전투함. 《尙書》〈甘誓〉-일종의 전쟁동원령
2. 扈-따를, 막을 ; 扈從, 扈駕
3. 5行-木,仁,東,靑,봄 ; 火,禮,南,赤,여름 ; 土,信,中,黃,한여름 ; 金,義,西,白,가을 ; 水,智,北, 黑,겨울
4. 罰-작은 처벌 ; 罪-법을 어기는 것 ; 刑-형법, 처벌을 시행하는 방식, 방법, 큰 처벌(5형 -墨,劓,剕,宮,大辟(死)) ; 法-모두가 지켜야 할 규칙 ; 獄(訟) 죄가 되는지 안 되는지, 나중 에 가축 우리에 가둠 監獄 ; 囚-죄인 ; 檢-단속하다 判-판가름하다 ; 辯-말 잘하다, 변명 하다
5. 社稷-국가를 대표함.
社-갑골문의 여성생식기 모양-共工의 아들 句龍-홍수-흙언덕-백성거주-구룡을 토지신- 제사-社神-천자와 제후는 社 건립-각종활동 거행-社會 글자 생김-토지를 대표.
稷-주나라 시조 后稷-오곡신-혈연을 대표
《周禮》〈考工記〉󰡒左(동쪽)祖右(서쪽)社󰡓王宮之右社稷壇, 王宮之左宗廟-서울거리-동쪽 은 양반, 서쪽은 전문직 중인(효자,통인,옥인,누하,체부,사직)
6. 僇-욕보이다, 僇尸(시체 모욕), 戮屍(시신의 목을 베는 벌), 죽이다(戮)
7. 昆-형, 맏 ; 昆侖(崑崙山), 昆明
8. 須-모름지기, 수염, 기다리다
9. 五子之歌-《尙書》〈夏書〉:“皇祖有訓,民可近,不可下,民惟邦本,本固邦寧。......󰡓중 국 최초의 詩歌, 최초의 망국 탄식, 최초의 민본 정치사상,

《논어》〈위정〉
孟懿子問孝。子曰:󰡒無違。󰡓樊遲御,子告之曰:󰡒孟孫問孝於我,我對曰,無違。󰡓樊遲曰:󰡒何謂也?󰡓子曰:󰡒生,事之以禮;死,葬之以禮,祭之以禮。󰡓
孟懿子-魯나라의 上卿(제후와 천자의 예절을 사용함) 씨는 孟孫, 이름은 何忌, 별명은 맹의자, 시호는 懿, ; 無違-신분에 따른 예절 법도를 위반하지 않는 것 ;
樊遲-공자의 72賢(10哲 3千제자)중의 학생,성은 樊,이름은 須,자는 子遲 ; 御-驾车
孟武伯問孝。子曰:󰡒父母唯其疾之憂。󰡓
孟武伯-孟懿子의 아들, 이름은 彘(체), 시호는 무, 백은 맏아들 ; 唯-오직 ; 其-제3인칭대명사,그의 그들의, 부모님 또는 자식
子游問孝。子曰:󰡒今之孝者,是謂能養。至於犬馬,皆能有養;不敬,何以別乎。󰡓
子游-공자의 학생(10哲),성은 言, 이름은 偃,자는 子游
《論語》〈先進》载,“子曰:德行:顔淵、閔子騫、冉伯牛、仲弓;言語:宰我、子貢;政事:冉有、季路;文学:子游、子夏󰡓 ; 至于-말할 것 같으면, 이르러서도, ~도
子夏問孝。子曰:󰡒色難。有事,弟子服其勞;有酒食(사),先生饌,曾是以爲孝乎?󰡓
色難-부모의 태도, 안색을 살피는 것이 어렵다 ;
弟子:晚輩,나이 어린 사람 ; 服-처리할, 행할 ; 食-사라고 읽음 《朱熹集註》 ; 先生-長輩, 어르신. 父兄 ; 饌:먹고 마시다 ; 曾:副詞, 일찍이 嘗, 또는 竟으로 마침내, 결국 ; 以爲-여기다, 생각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