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월 15일 토요일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40


제40강, 2014, 2, 14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史-《禮記》〈玉藻〉󰡒動則左史書之,言則右史書之󰡓
원래는 이렇게 쓴다. 中+又=中은 기록하는 竹簡, 簡牘이고 又는 손(手)이다.
* 商과 殷
중국의 두 번째 왕조-商--《史記》〈殷本紀〉에 근거해서 殷이라 함. 殷은 왕조 명칭이 아니고 도읍지 명칭임(기원전 1600-기원전 1319에 殷으로 도읍을 옮김-기원전 1046년). 사마천의 실수. 여기에 일본학자들의 농간이 가미됨. 첫째, 중국의 역사시기를 줄여버림(기원전 1319년 이전 부정) 둘째, 중국을 대표하는 왕조가 아니고 殷墟라는 곳의 지방정권으로 전락시킴. 셋째, 그래서 중국을 대표하는 왕조는 주나라(기원전 11세기)부터라고 주장
* 功夫(工夫)-시간 ; 조예 ; 무술 ; 어떤 일을 하는데 소비한 정력과 시간
知공부(朱子)와 行공부(李滉)의 결합--인문학공부-어려운 텍스트를 파고드는 방식-喜悅
대중 인문학 학습은 첫째, 쉽게 요약 전달하는 방식 둘째, 인문학으로 포장한 힐링-잠깐
(예)호머의 《일리아드》를 읽지 않고 영화 「트로이」를 즐기는 방식은......

1. 殷-붉은 흑색, 풍성, 많다
2. 契-丰+刀+木(잘못해서 大)-원래는 새기다 刻-점차 符號-다시 證明, 契約으로 변함.
끊을, 새길 결 ; 부족이름 글(契丹-글안,거란,글단) ; 사람이름 설
3. 浴-물+사람+그릇 ; 머리감음-沐 ; 양치질-漱 ; 몸씻을-浴(澡) ; 손씻을-盥 ; 발씻을-洗
한국은 沐浴 ; 중국은 洗澡 ; 목욕순서-심장에서 먼 곳부터 ; 富者服藥, 貧者洗澡
4. 墮-언덕 부阝+사람 거꾸로+ 흙 ; 墮落
5. 玄鳥-제비, 까치, 공작......부락이 발전하면서 새의 모양도 복잡해짐. 1足 2足 3足
三足烏-중국신화-西王母의 좌우에 삼족오와 구미호 ; 중국 상고시대 많은 문헌에 등장, 진나라, 한나라 유물, 벽화 있음. 그 후에 고구려 벽화에 등장-한국의 신화 전설과 연관시키는 것은 조심해야 함. 중국 동해안 일대와 한국 해안가는 卵生神話 중심지.
6. 呑-甘呑苦吐(한국식 4자성어) ; 咽苦吐甘-어머니의 사랑이 깊음을 비유
7. 孕-乃거듭 + 子 ; 姙 ; 妊
8. 寬-엄하고 각박하게 하지 않음 ; 寬厚

《論語》〈爲政〉
子張學干祿。子曰:多聞闕疑,慎言其餘,則寡尤。多見闕殆,慎行其餘,則寡悔。言寡尤,行寡悔,祿在其中矣。
子張-성은 顓孫, 이름은 師,자는 子張이다.(현실적이고 질문이 많았으며 공자와 나이차가 거의 50년 정도) 干-구하다 祿-관리의 봉급(또는 관직을 구하다) 闕-남겨두다 ; 疑-의혹 ; 寡-적다 ; 尤-착오 ; 殆-疑와 같은 뜻 ; 悔-뉘우치다
공무원-말과 행동 조심
哀公問曰:何爲則民服? 孔子對曰:擧直錯(조)諸枉,則民服;擧枉錯諸直,則民不服。
哀公-魯나라 마지막 군주(기원전 494-기원전 466) ; 服-복종 ; 擧-등용, 천거 ; 直-정직 ; 錯-두다, 조(措)와 동일 ; 諸-之於 ; 枉-부정직
인재등용의 중요성-舜-皐陶 ; 湯-伊尹...
季康子問:使民敬忠以勸,如之何? 子曰:臨之以莊,則敬;孝慈,則忠;擧善而敎不能,則勸。
季康子-노나라 실력자, 공자를 외국에서 불러들임 ; 以-~와(과) 敬, 忠, 勸 ; 勸-근면, 권장, 권면 ; 臨-임하다 ; 莊-엄숙, 장엄 ; 善-능력있는 자
정치가-愛民如子, 以身作則
或謂孔子曰:子奚不爲政?子曰:書云:『孝乎惟孝,友于兄弟,施於有政。』是亦爲政,奚其爲爲政?
或-어떤 사람 ; 奚-어찌, 何 ; 書-《尙書》(書經),《古文尙書》에만 있음. 달리 朱子는 《周書》〈君陳〉을 가리킨다고 함. ; 施-베풀다 ; 有政-정치, 有는 의미 없고 명사에 붙는 말로 쓰임 ; 爲政-내가 직접 정치를 하는 것
정치의 기본은 家庭에서 행하는 것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