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17일 토요일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50회


제50강, 2014, 5, 16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千字文》󰡒說感武丁󰡓-感-《易經》〈咸〉󰡒咸,感也. 柔上而剛下, 二氣感應以相與󰡓感應-先相感知,後有反應의 뜻이다.
* 不作爲-未必的故意

1. 祭-갑골문 ; 肉제물로 바치는 생고기+又손(手)+示제물을 차리는 탁자=祭
《說文解字》󰡒祭, 祀也󰡓《公羊傳》桓公八年의 注󰡒無牲而祭曰薦,薦而加牲曰祭󰡓
《周禮》“天神稱祀,地祇稱祭,宗廟稱享”
2. 成-갑골문, 斧, 완성, 성취
3. 湯-氵+昜볕 양=湯, 뜨거운 물 ; 《論語》〈季氏〉󰡒見善如不及, 見不善如探湯󰡓
4. 明-갑골문 , 밝게 비추다
5. 飛-갑골문, 날다, 빠르다, 근거없다, 의외의 ; 流言蜚語, 流言飛語, 流言飛文, 風言風語-金 玉良言, 藥石之言 ; 飛禽走獸
6. 雉-隹새 추+矢화살 시, 본래지역=雉 ;《尙書大傳》󰡒雉者, 野鷄(雞)󰡓
7. 登-갑골문, 수레에 타다, 오르다, 기록, 즉시, 곡식이 여물다
《孟子》〈滕文公〉󰡒五穀不登,禽獸逼人󰡓
8. 鼎-갑골문 ; 3足2耳의 솥, 대치, 크다, 정권, 국가 ; 一言九鼎
9. 呴-숨을 내쉴 구 ; 지저귀다
10. 懼-忄+瞿놀라서 볼 구=懼 ; 怕, 恐 ;《禮記》〈禮運〉󰡒喜怒哀懼愛惡欲󰡓
《史記》〈屈原列傳〉󰡒楚兵懼,自秦歸󰡓
11. 祖-갑골문, 男根 ; 示 조상+且남근=祖, 생육, 힘을 주다=祖자손에게 힘을 주는 조상
12. 己-고대의 紀실마리 기와 동일 ; 자기, 본인 ;《孫子兵法》〈謀攻〉󰡒知彼知己,百戰不 殆;不知彼而知己,一勝一負;不知彼不知己,每戰必敗。󰡓
13. 勿-원래 의미는 깃발 ; 하지마라, 없다 ;《論語》〈学而〉󰡒過則勿憚改󰡓
14. 憂-頁머리 혈+心=憂마음속의 생각이 얼굴에 나타남, 근심
15. 先-갑골문, 止발가락+人=先 자기 발가락 앞에 있는 사람, 조상, 먼저
《莊子》〈刻意〉󰡒不爲福先,不爲祸始󰡓
16. 修-彡터럭, 장식 삼+攸바 유=修 장식, 다스리다, 자라다 王羲之《蘭亭集序》󰡒此地有崇 山峻嶺,茂林修竹󰡓
17. 政--正+攴째찍질할 복=政 ; 《說問解字》󰡒政,正也󰡓
18. 事-갑골문 史, 문서 기록을 담당하는 관리 ; 《韓非子》󰡒無功而受事,無爵而顯榮󰡓
19. 訓-言권하다+川큰 바다로 흘러가는 작은 물줄기, 귀순=訓귀순을 권유하다
《尙書》󰡒教導之文曰訓󰡓
20. 唯-口대답하다+隹새머리 추, 뾰쪽함=唯큰소리로 대답하다
《論語》〈里仁〉子曰:“參乎!吾道一以貫之。”曾子曰:“唯”
21. 天-갑골문, 원래는 사람 머리 ; 하늘 ; 天長地久-감정, 우의 등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음
22. 監-갑골문, 꿇어앉아서 물속에 비친 자신의 모양을 보고 있음. ; 관청의 명칭 ; 관직
영감-令監-관직상 우두머리 ; 존칭 ; 나이드신 노인 ; 늙은 남편
23. 下-갑골문
24. 典-갑골문, 冊+大=典 중요한 책, 전고, 전례, 법률 ; 《爾雅》〈釋言〉󰡒典, 經也󰡓
25. 厥-其, 乃, 于是
26. 義-양을 제물로 바치는 의식에서 무기를 든 군사의 모습-儀와 통용
管仲,《管子》卷一〈牧民第一〉“四維不張,國乃滅亡。󰡓四維는 一曰禮,二曰義, 三曰廉(정 직),四曰恥
隸書 篆書 金文 甲骨文 圖畵文 岩刻文
27. 降-갑골문, 원래 義와 동일 ; 陟오를 척과 반대
28. 年-갑골문, 禾+人=年곡식이 익어서 사람이 등에 지고 감, 오곡 성숙
29. 永-갑골문, 물이 멀리 흘러감 ; 영구, 영원
30. 非-갑골문, 부정, 위배, 不合
31. 夭-갑골문, 초목이 무성하고 아름다움 ; 막 출생한 동물새끼 ; 단명
32. 民-갑골문, 눈을 찔러 장님을 만듬 ; 대대로 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33. 中-갑골문 깃발 ; 중심 ; 중앙 ; 궁중, 조정 《史記》〈秦本紀〉󰡒趙高用事于中󰡓
指鹿爲馬-鹿馬ばか(바보) 野郞やろう(자식)
34. 絶-絲+刀+人=絶사람이 칼로 실을 자름
35. 命-口+令=命 ; 《文選》󰡒凡尊者之言曰命󰡓 ; 大曰命,小曰令
36. 若-갑골문 여자가 꿇어앉아서 머리를 빗고 있는 모습 ; 순종 ; 같다, 이르다 ; 만약
37. 德-갑골문, 가는 길을 똑바로 보다, 본성을 따르다 ; 彳조금 걸을 척+悳덕 덕=德원래는 올라가다 ; 《論語》〈里人〉󰡒德不孤,必有隣󰡓
38. 聽-형성문자, 耳+德+壬=耳有所得, 또는 웃는 모습 ; 言聽計從
39. 罪-갑골문, 죄, 犯法
40. 附-阜언덕 부+付=附작은 흙 언덕 ; 붙다
41. 嗣-冊+口+司=嗣아버지가 적장자에게 물려줌, 계승, 자손
42. 敬-攴채찍질하다 복+苟진실로, 급박하게 구=敬 ; 《禮記》〈少儀〉󰡒賓客主恭(삼가고), 祭祀主敬(공경하고)󰡓
43. 繼-끊어진 실을 잇다
44. 常-巾수건 건+尙높을 상=常원래는 깃발
45. 祀-원래 천신에 제사《周禮》“天神稱祀,地祇稱祭,宗廟稱享”-
46. 禮-示+豊굽이 높은 그릇=禮, 의례를 거행 ; 《論語》“不學禮, 無以立󰡓
47. 棄-갑골문, 머리를 거꾸로 하고 자궁에서 나오려는 아이
48. 驩-기뻐할 歡과 동일

子謂韶,「盡美矣,又盡善也。」謂武,「盡美矣,未盡善也。」
《韶》-舜 시대의 樂曲 명칭. ; 盡-다될 ; 美-예술 형식방면(멜로디);善-사상 내용방면(가 사) ; 《武》-周나라 武王 시대의 樂曲 명칭
子曰:「居上不寬,爲禮不敬,臨喪不哀,吾何以觀之哉?」
寬-관대포용 ; 敬-엄숙정성 哀-슬픔공감 ; 何-무엇 ; 觀-관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