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0월 25일 목요일

5제본기 5

1-005.
(원문)
東至于海, 登丸山, 及岱宗。 西至于空桐, 登雞頭。 南至于江, 登熊湘。 北逐葷粥, 合符釜山, 而邑于涿鹿之阿。 遷徙往來無常處, 以師兵爲營衛。 官名皆以雲命, 爲雲師。 置左右大監, 監于萬國。萬國和, 而鬼神山川封禪與爲多焉。 獲寶鼎, 迎日推筴。 擧風后、力牧、常先、大鴻以治民。 順天地之紀, 幽明之占, 死生之說, 存亡之難。 時播百穀草木, 淳化鳥獸蟲蛾, 旁羅日月星辰水波土石金玉, 勞勤心力耳目, 節用水火材物。 有土德之端, 故號黃帝。

(음역)
동지우해, 등환산, 급대종。서지우공동, 등계두。남지우강, 등웅상。북축훈육, 합부부산, 이읍우탁록지아。천사왕래무상처, 이사병위영위。관명개이운명, 위운사。치좌우대감, 감우만국。만국화, 이귀신산천봉선여위다언。획보정, 영일추책。거풍후、역목、상선、대홍이치민。순천지지기, 유명지점, 사생지설, 존망지난。시파백곡초목, 순화조수충아, 방라일월성신수파토석금옥, 노근심역이목, 절용수화재물。유토덕지단, 고호황제。

(주석)
1. 환산(丸山)-현재 길산(吉山), 기산(紀山), 범산(凡山)으로 불리며, 산동성(山東省) 유방시(濰坊市)에 있다.
2. 대종(岱宗)-태산(泰山)의 다른 이름으로, 고대에는 태산이 4악(四岳)의 으뜸이므로 대종, 대산(岱山), 대악(岱岳), 동악(東岳), 태악(泰岳) 등으로 불려졌다. 현재 산동성(山東省) 태안(泰安)에 있다.
3. 공동(空桐)-산의 명칭으로 달리 계두(鷄頭)라고 일컬으며 현재 감숙성(甘肅省) 평량시(平涼市) 서쪽에 있다.
4. 계두(鷄頭)-공동산(空桐山)의 다른 이름이다.
5. 강(江)-장강(長江)을 말한다.
6. 웅상(熊湘)-현재 비교적 유력한 주장은 호남성(湖南省) 신화현(新化縣)에 있는 대웅산(大熊山)을 가리킨다.
7. 훈육(葷粥)-흉노(匈奴)를 가리킨다. 흉노는 하대(夏代)에 훈죽(獯鬻),상대(商代)에 귀방(鬼方),주대(周代)에 험윤(獫狁),전국(戰國) 이후에 흉노로 일컬었다. 또 흉노는 진한(秦漢) 이후에 중국 북방에서 유목하는 민족을 통칭하게 되었다.
8. 부산(釜山)-현재 비교적 유력한 주장은 하북성(河北省) 서수현(徐水縣) 경내에 있는 산을 가리킨다.
9. 탁록(涿鹿)-1-004-주석4 참고.
10. 운사(雲師)-황제 시기의 관직 명칭.
11. 대감(大監)-황제 시기의 관직 명칭.
12. 봉선(封禪)-봉은 천자가 태산(泰山)에 올라가서 둥그런 제단을 쌓고 하늘에 제사지내는 것이고, 선은 태산 아래의 작은 언덕에서 땅을 쓸고 사각형의 제단을 쌓고 땅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즉 고대의 제왕이 태평성세 혹은 하늘에서 상서로운 현상이 나타날 때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이다.
13. 보정(寶鼎)-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정(삼발이 솥)의 일종으로 진귀한 것을 표시할 때 보정이라고 한다. 둘째, 고대에 통치자의 상징을 가리키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하(夏)나라 우왕(禹王)의 구정(九鼎)이 있다.
14. 책(筴)-점대 책, 낄 협.
15. 풍후(風后)-전설에 황제의 신하로 등장하며 지남차(指南車)를 발명했다고 한다. 풍백(風伯)이라고 하며, 풍성(風姓) 부락의 우두머리이다.
16. 역목(力牧)-전설에 황제의 신하로 등장한다.
17. 상선(常先)-전설에 황제의 신하로 등장하며, 수렵도구와 북(鼓)을 발명했다고 한다.
18. 대홍(大鴻)-전설에 황제의 신하로 등장하며, 지혜와 용맹을 겸비한 장군으로 유명하다. 원래 이름은 귀용구(鬼容區)이고 대홍은 그의 호(號)이다.
19. 유명(幽明)-3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유형과 무형의 사물을 가리킨다. 둘째, 주야 또는 음양을 가리킨다. 셋째, 삶과 죽음 즉 음간과 인간세계를 가리킨다. 여기서는 두 번째를 채택했다.
20. 순화(淳化)-순박하게 함.
21. 충아(蟲蛾)-벌레와 개미.
22. 방라(旁羅)-널리 이르다.
23. 파(波)-물결, 움직일, 전파될.
24. 토덕(土德)-고대에 5행(五行) 상생상극의 원리를 왕조의 명운에 부화하여 설명한 이론으로 5덕(五德) 중의 하나이다.
25. 황제(黃帝)-1-001-주석1 참고.

(국역)
동쪽으로는 동해 바다에 이르고 환산에 올랐으며 대종(태산)까지 도달하였다. 서쪽으로는 공동산에 이르고 계두산에 올랐다. 남쪽으로는 장강에 이르고 웅상산(대웅산)에 올랐다. 북쪽으로는 훈육을 쫒아내고, 부산에서 제후를 소집하여 천자의 칙명을 내리는 부절을 서로 맞춰보았으며, 탁록의 산기슭에 도읍을 정했다. 황제는 이동과 왕래가 빈번하여 고정적인 거처가 없었고, 군사들로 진영을 만들어 호위하게 하였다. 관직 명칭은 모두 운이라는 글자를 넣어 지었으며 그래서 관직 명칭은 운사였다. 좌대감과 우대감을 설치하여 많은 제후국을 감시하게 하였다. 각 지역의 제후국이 서로 화목하니 귀신과 산천, 하늘과 땅에 제사지내는 의례도 덩달아 많아졌다. 제왕을 상징하는 보정(삼발이 솥)을 획득하였고, 앞으로의 날짜를 세고 역법을 계산하였다. 풍후, 역목, 상선, 대홍 등을 등용하여 백성을 다스렸다. 하늘과 땅의 규율과 음양의 변화와 징조, 삶과 죽음의 의례와 흥망성쇠의 도리에 순응하였다. 때에 맞춰 온갖 곡식과 초목을 심고 새와 짐승과 벌레와 개미를 순화시켰으며, 그 덕행이 널리 해와 달, 별, 물, 흙, 돌, 쇠, 옥에까지 이르렀고, 마음과 힘을 다하고 눈으로 관찰하고 귀로 경청하며 열심히 노력하였으며, 물과 들에서 생산되는 물건을 절약하며 사용하였다. 목, 화, 토, 금, 수 5덕 중에서 토덕의 상서로운 근본이 나타났기 때문에 황제라고 일컬었다.

(참고)
5덕(五德)과 통치자의 설정-《예기(禮記)》〈월령(月令)〉의 해석은 5행설과 5방설에 근거하였다. 즉 동방은 목(木)이고 그 통치자는 태호(太昊)이고, 남방은 화(火)이고 그 통치자는 염제(炎帝)이고, 중앙은 토(土)이고 그 통치자는 황제(黃帝)이고, 서방은 금(金)이고 그 통치자는 소호(少昊)이고, 북방은 수(水)이고 그 통치자는 전욱(顓頊)이다. 황제는 중앙에 위치하고, 황색은 황토의 색이다. 후대에 황색은 제왕이 전용하던 색이 되었으며, 가장 존귀하고 지고무상한 권위를 나타내게 되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